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7/07 15:51:16
Name aurelius
Subject [정치] [뉴스] 이낙연 "가장 먼저 김종인 만나겠다…야당에 민생·평화연석회의 제안"

https://news.nate.com/view/20200707n23683?mid=n0200


(중략)


여야 협치가 말뿐이 아닌 실제 제도로서 구체화될 수 있도록 민생과 평화 분야 연석회의를 각각 가동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의원은 "저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두 연석회의가 충실히 운영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정쟁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중략)


한편 이 의원은 당 대표가 된다면 협치 차원에서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을 가장 먼저 만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의원은 기자회견 후 취재진과 질의응답에서 "제가 기회를 갖게 된다면 가장 먼저 김종인 위원장을 찾아뵙겠다"며 "(김종인 위원장과)35년쯤 되는 기간동안 좋은 선후배로 지내왔고, 제가 배울 것은 배우고 부탁드릴 것은 부탁드리며 협조요청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


이낙연의 당대표 출마를 환영합니다.


그가 당대표에 당선된다고 하여도, 대표로서 실질적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은 1년 남짓

이제 관건은 민주당 주류세력을 제끼고 실질적 권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입니다. 


현재 민주당에는 아주 큰 혁신과 변화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군사독재 시절의 적폐를 몰아내기 위해 줄곧 민주계열에 표를 주었으나

변화에 대한 열망을 등에 업고 집권한 세력은 또 다른 적폐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과거 군부/사법/관료 집단이 공포와 공작을 통해 시민사회를 위협했다면

오늘날 민주당은 포퓰리즘의 광기로 시민사회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자칭 지지자들이 금태섭과 조응천에 가하는 비난을 보면, 

온라인 린치가 무엇인지 똑똑하게 볼 수 있습니다. 


아이돌팬덤처럼 행동하는 지지자들과 이에 부화뇌동하는 정치인들에 맞서

이낙연은 과연 본인의 세력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세력을 만든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고, 고도의 전략전술이 필요한 일인데

과연 그가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지, 


그가 출사표에서 언급한 소명을 다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표범
20/07/07 15:54
수정 아이콘
평화로운 협력 관계 제안일지, 평화로운 거수기 역할 요구일지...
20/07/07 16:10
수정 아이콘
금태섭...의 이름이 나오다니 재밌네요
이선화
20/07/08 00:09
수정 아이콘
[문재인 정부의 반 공수처, 반 조국인사 죽이기]라는 프레임 만큼 잘 먹히는 게 또 없죠. 진중권도 물었고.
현실은 경선에서 65대 35로 패배해서 잘린 거지만요.
홍대갈포
20/07/07 16:10
수정 아이콘
이낙연이 당대표가 되도 박근혜시절 김무성쯤 되겠죠 대통령이 되면 다르겠지만 ‥ 친문이 가만히 있을리도 없고
Bulbasaur
20/07/07 22:46
수정 아이콘
친문이 이낙연을 당대표로 만들겠죠
LightBringer
20/07/07 16:11
수정 아이콘
이해찬 대표가 금태섭 징계, 윤미향 사건 관련해서 보여준 모습이 정말 별로였는데 이낙연은 좀 다를까요?
20/07/07 16:14
수정 아이콘
이낙연은 그래도 정치적인 감이 살아있는거 같습니다.
미통당 트롤짓과는 별개로 민주당에서는 협치하려는 시도는 계속 보여주는게 좋죠.
NoGainNoPain
20/07/07 16:23
수정 아이콘
일단 총선때 한 종부세 완화약속은 지키고 이야기하시죠.
유료도로당
20/07/07 16:25
수정 아이콘
김부겸 당대표 - 이낙연 대선후보 체제로 가는게 낫지않겠나 싶었는데 이낙연도 대표 출마하는군요.
고스트
20/07/07 16:29
수정 아이콘
이거 여당내의 야당색 내려고 저러는 건가 싶기도 해요
20/07/07 16:29
수정 아이콘
넓게 잡아서 7개월짜리는 들어봤어도 1년이라고 표현하는 사람은 첨 봤네요.
대략 6개월 정도 임기입니다. 1년이 아니고 반년이에요.

민주당 주류세력을 제끼고? 뭘 제껴요? 민주당 주류세력 몰살시키고 사살이라도 하나요? 참나
구혜선
20/07/07 16:33
수정 아이콘
저도 민주당 내에서는 그래도 이낙연 후보가 가장 차기 대선 후보로 적합하다고 생각하기에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Cafe_Seokguram
20/07/07 16:48
수정 아이콘
무난하게...당 대표 - 대선후보...테크 타려는 행보죠...

이변이 없는 한...무난히...대선후보 될 거라고 봅니다...
뿌엉이
20/07/07 16: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치공학적으로 여권 최유력 대권후보 인데 법사위 정도의 큰 양보을 안하면 미통당이 협조해 줄일 없을거 같은데
그냥 워딩만 하지 실제로 뭔가 해볼려다 하다가는 뒷통수 맞고 고꾸라질 겁니다
더민주와 미통당이 뭔가 하기엔 두당의 간극이 너무 커서 힘들거라고 봅니다
OnlyJustForYou
20/07/07 16:50
수정 아이콘
빠른 순발력의 소유자인줄 알았으나 다 연습의 결과라고.. 당대표는 무난히 될 거 같은데 당대표로 어떤 모습을 보여주냐겠죠.
조금 인물에대한 피로도도 생긴 거 같고요. 다만 민주당내에 새로운 인물이 없으니 대권주자까진 갈 거 같죠.
미통당은 이낙연 이기려면 새인물이어야 할 거 같은데..
캐러거
20/07/07 16:56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낙연은 아직 감이 있어요
bspirity
20/07/07 16:59
수정 아이콘
여권이 방대해졌으니

한결같은 후라이드치킨만 팔기보단

양념치킨까지 섞어서 반반으로 팔아야죠
20/07/07 17:24
수정 아이콘
감각있는 행보네요.
20/07/07 17:4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대놓고 나 대선나갈거니 당대표좀거쳐갈게 하눈 사람은 처음 봅니다.

대통령 중 당대표 한 사람이 많아, 필수코스처럼 느껴지긴하나 박근혜나 문재인이나 당대표맡으면서 어려운 선거 승리로 이끈 실적은 있거든요.

180석도 먹었겠다 그렇게 당이 어려운 상황도 아니고 다른 지선 등이 급한 것도 아니고 6개월 있으면 또 전대니 뭐니 하며 한번 바꾼 당 조직체계 등 또 엎어야할텐데 본인의 대권에 대한 욕심말고 당에게 도움이 되는게 있나요
푸른호박
20/07/07 19:51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은 전혀 공감이 안됩니다만, 이낙연 정치인의 행보는 지켜 볼 흥미요소는 있죠.
브롬톤버디
20/07/07 20:23
수정 아이콘
뭘해도 불만갖는 사람들은 있겠죠. 어차피 답정너로 떠드는 투덜이들 기대에 맞춰줄 필요도 없구요. 무난히 당대표~대통령까지 가길 기대해봅니다.
20/07/07 20:25
수정 아이콘
이낙연은 참 인물이에요
Supervenience
20/07/07 20:59
수정 아이콘
다른거 안 보고 정의롭길 바래서 문재인 찍었는데 조국건에 너무 실망해서... 이낙연은 좀 다르려나...
코드읽는아조씨
20/07/07 21:49
수정 아이콘
뭐 이낙연이 대선까지 가겠죠 조국처럼 또 억지로 밀어줄 사람이 생기긴 힘들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181 [일반] [뉴스] 김여정 “美 독립기념일 DVD 달라” 이례적 요청…대미 유화 제스처? [37] aurelius11305 20/07/10 11305 1
87166 [정치] [단상] 선출직 고위 정치인에게는 큰 책임이 따릅니다. [95] aurelius12663 20/07/10 12663 0
87142 [정치] [뉴스] 집 팔아라"…고위공직자 승진 심사에 '부동산' 반영 [104] aurelius12649 20/07/09 12649 0
87116 [정치] [뉴스] 이낙연 "가장 먼저 김종인 만나겠다…야당에 민생·평화연석회의 제안" [24] aurelius9442 20/07/07 9442 0
87087 [일반] [역사] 격동의 중국 근현대사도 참 재미있습니다 [2] aurelius8083 20/07/06 8083 7
87065 [일반] [도서] 민족자결을 부정한 중국, 소수민족을 보호한 일본 (2) [8] aurelius9467 20/07/05 9467 2
87063 [일반] [도서] 민족자결을 부정한 중국, 소수민족을 보호한 일본 [19] aurelius10531 20/07/04 10531 4
87027 [일반] [도서소개] 대격변: 세계대전과 대공황, 세계는 어떻게 재편되었는가 [11] aurelius9681 20/07/02 9681 13
86976 [일반] [역사] 도나텔로의 다윗상의 뒷이야기 [4] aurelius7997 20/06/29 7997 4
86926 [일반] [왓챠] "메디치, 피렌체의 지배자"를 소개합니다 [8] aurelius9435 20/06/26 9435 6
86900 [정치] [단상] 북한에 대한 추가적 잡설 [27] aurelius9549 20/06/24 9549 0
86890 [정치] [단상] 북한인들은 세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72] aurelius10863 20/06/24 10863 0
86865 [일반] [역사] 1803년, 일본 최초의 서양사 입문 서적 및 지리백과사전 [8] aurelius8616 20/06/23 8616 1
86846 [정치] [폭로] 볼턴이 원했던 대북해법은 무엇이었나? [75] aurelius11792 20/06/22 11792 0
86744 [일반] [역사] 프랑스 혁명이란 무엇이었나? [21] aurelius9175 20/06/16 9175 18
86737 [일반] [역사] 은의 제국: 은이 만든 세계 [16] aurelius9988 20/06/15 9988 4
86728 [일반] [역사] 1942년 이탈리아 외교관이 본 독일 [9] aurelius7489 20/06/15 7489 5
86697 [일반] [역사] 프랑스의 현충원, 팡테옹은 어떤 곳인가? [12] aurelius8008 20/06/12 8008 6
86680 [일반] [역사] 드골은 어떻게 독일의 마음을 얻었는가? [2] aurelius7316 20/06/11 7316 8
86663 [일반] [역사] 87년 6월 10일의 항쟁은 결코 우연히 일어난 게 아닙니다 [38] aurelius11138 20/06/10 11138 75
86618 [일반] [역사] 1963년 프랑스-독일 화해조약의 뒷이야기 [4] aurelius7354 20/06/07 7354 13
86562 [일반] [유럽] 프랑스인이란 무엇인가? 끝나지 않는 역사논쟁 [8] aurelius8706 20/06/04 8706 12
86552 [일반] [미국] 매티스 장군, 트럼프 강도높게 비판하다 [72] aurelius10423 20/06/04 10423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