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6/26 08:21:44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우주] 달의 "바다"와 "고지" 알아보기 (수정됨)
image.jpg

달은 인류에게는 가장 친숙한 천체입니다. 지구와 제일 가깝게 있기도 하고 아직까지는 유일하게 인류가 직접 방문했던 천체이기도 하죠. 지금은 우주탐사의 초점이 화성에 맞춰져 있지만 인류 우주 탐사의 첫 관심지는 달이었습니다. 오늘은 달의 지형들 가운데서 "바다"와 "고지"에 대해서 좀 알아볼까 합니다. 저 역시 이 분야의 문외한이기에 그냥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내용을 나열할 수밖에 없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맨 눈으로 달 표면을 보게 되면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달이 밝은 부분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육안으로만 봐도 쉽게 구분이 되는 것으로서 달을 관찰할 때 제일 처음 알아보게 되는 특징입니다. 달의 어둡게 보이는 곳을 "바다(maria)"라고 부르고 밝게 보이는 부분은 "고지(highlands, 또는 terrae)"라고 부릅니다. 딱 봐도 뭔가 차이가 있어 보이는 이 두 지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the-moon-near-side.en.jpg


고지(The Highlands)
달의 지각은 약 45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달이 형성된 바로 직후에는 용암이 마치 지구의 바다처럼 달의 표면을 덮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때 주로 알루미늄이나 규산염과 같은 마그마 안에 있는 밀도가 낮은 물질들이 표면 위로 떠올랐는데 그러다가 이런 물질들이 식으면서 달 표면의 지각이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그로부터 약 4억년 후 우리 태양계는 "후기 대폭격기(Late Heavy Bombardment)"라 불리는 시기를 맞게 됩니다. 이때 달 뿐만 아니라 태양계 내의 많은 천체들은 소행성들과 유성들의 융단폭격을 맞게 되었죠. 현재 달에 있는 많은 크레이터들이 거의 다 이때 생겼다고 합니다. 달의 고지는 이러한 융단폭격에 살아남은 초기의 달 지각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고지는 거의 달의 형성 시까지 생성시기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지역이 색깔이 엷게 보이는 것은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초기 마그마 속에 있던 밀도가 낮은 가벼운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고지는 이어 설명드릴 "바다"지형보다 더 오래된 지형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달의 대부분 크레이터들은 다 이 고지 지형에 몰려있습니다.  


바다(The Maria)
달의 바다 지형은 달의 평원으로서 색깔은 고지에 비해 더 어둡고 고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지형적 특징이 더 단조로운 곳입니다. 이 지역이 바다(라틴어로 maria는 바다라는 뜻입니다)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예전의 천문학자들이 달의 이 어두운 지역이 실제로 바다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변변한 대기가 없던 달은 후기 대폭격기에 정말 제대로 두들겨 맞았습니다. 강력한 소행성의 충돌은 생성된 지 얼마 안 된 달의 지각에 큰 충격을 안기면서 커다란 균열을 만들었고 이 벌어진 사이로 지각 밑에 있던 용암이 다시 지표면 위로 분출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지각 활동은 달 표면에 커다란 현무암 용암평원 지대를 만들었으며 이 현무암으로 된 용암평원이 식으면서 지금의 바다 지형이 형성된 것입니다. 현무암은 화산 활동으로 흔하게 형성되는 암석이고 색깔이 어둡습니다. 따라서 달의 현무암 지대인 바다 역시 우리 눈에는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후기 대폭격기 이후에 형성이 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지에 비해서 크레이터들의 수도 적습니다(이전의 크레이터들은 다 현무암 용암에 덮혀 버리고 그 이후로는 그렇게 두들겨 맞지를 않았죠).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달의 바다 지형을 측정해 보면 연대가 약 30억에서 35억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바다는 위의 고지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젊은 지형이지요. 지금까지 달 표면에서23개의 바다지형이 확인이 되었고  각각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리고 이 바다 지형의 대부분은 달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쪽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달을 봤을 때 보이는 쪽의 반대쪽, 소위 말하는 "dark side"쪽에는 상대적으로 바다 지형이 적다고 하네요.  

maxresdefault.jpg

결론적으로 달의 밝은 부분인 고지는 달 생성 초기에 형성된 지각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부분이 되겠고 달의 어두운 부분인 바다는 그 이후 후기 대폭격기에 지각이 갈라지면서 그 밑에 있던 현무암 용암이 흘러나와 달의 지각을 한번 도포한 지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어렸을 땐 앞으로 미래에 달에 수학여행을 가는 시대가 올 거란 얘기를 듣곤 했었는데 그건 이미 틀려먹은 것 같고 앞으로 우리 미래세대의 아이들은 달의 바다를 직접 걸어보는 기회가 주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26 09:12
수정 아이콘
돌아와요 달묘전설!
Hammuzzi
20/06/26 09:29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도라지
20/06/26 09:34
수정 아이콘
달의 뒷쪽에 바다가 없는건, 지구의 중력 때문에 용암이 지구쪽으로만 분출되어서 라고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醉翁之意不在酒
20/06/26 11:35
수정 아이콘
위키페디아를 보면 최신연구에 따르면 달이 형성될때 지구를 향한쪽이 지구에서 오는 열을 더 많이 받았기때문에 차거운 뒷면이 먼저 식으면서 더 두터운 지각을 형성했고, 따라서 운석충돌같은게 앞뒤면에서 같은 확률로 일어나도 앞면은 지각이 엷기 때문에 마그마분출로 이어지지만 뒷면은 든든해서 그런게 없다고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8799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49210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70594 31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49317 3
103665 [일반] 개인 서명 갖고 계신가요. [16] 김삼관1638 25/02/03 1638 1
103664 [정치] 윤석열, 언론사 단전·단수 이상민에 직접 지시 [1] 빼사스2165 25/02/03 2165 0
103663 [정치]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 앞 反中 집회… 대만 출신 華商 “이유 없이 시비 걸어” [27] 기찻길3039 25/02/03 3039 0
103662 [일반] [설문] 영화 산업의 위기, 누가 우선 희생해야 할까 [73] 슈테판4604 25/02/03 4604 2
103661 [정치] 트럼프의 협상방식이 국제 무대에서 실패하는 이유 [63] 크레토스9640 25/02/03 9640 0
103660 [일반]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이거 겁나 야한 소설이었네요 [18] 마술의 결백증명5014 25/02/03 5014 6
103659 [정치] 40세 이준석 "세대교체로 정치판갈이"…사실상 대권도전 선언 [210] 철판닭갈비9524 25/02/03 9524 0
103658 [정치] 오세훈, AI인재 1만명 양성하겠다. [98] 바람돌돌이12451 25/02/02 12451 0
103657 [정치] 안철수 "20조 규모 AI·민생 추경 추진해야" [73] 호옹이 나오10529 25/02/02 10529 0
103656 [일반] 美,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전면 관세…中에 10% [142] 유머12180 25/02/02 12180 4
103655 [일반] AI가 수능 수학 킬러문제도 맞추네요2 - 오류 수정 및 기타 AI모델 테스트 결과 [1] Quantumwk3643 25/02/02 3643 0
103654 [일반] <러브레터> - 어쩌면, 우리 모두는 그림자를 그리워하는지도 모른다. (약스포) [17] aDayInTheLife4412 25/02/02 4412 4
103653 [정치] 남산 판타지 - 그 아름다운 곳 [6] singularian3142 25/02/02 3142 0
103652 [정치] 尹측 "헌재 문형배·이미선·정계선 재판관 스스로 탄핵 심리서 빠져야" 의견서 제출 [81] 빼사스11413 25/02/01 11413 0
103651 [일반] AI가 수능 수학 킬러문제도 맞추네요 - 오류 발견, 수정 글 추가 작성 [58] Quantumwk9553 25/02/01 9553 2
103650 [일반] 미국 필라델피아 도심지에서 경비행기 추락사고가 발생했습니다 [8] EnergyFlow8211 25/02/01 8211 0
103649 [일반] 눈 내리는 서울, 겨울 출사(사진 多) [4] 판을흔들어라5226 25/01/31 5226 20
103648 [일반] 그 여자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16] 글곰9602 25/01/31 9602 15
103645 [정치] 트럼프 "워싱턴 항공 충돌 사고, FAA의 다양성 채용이 문제일 수도 있다" [94] EnergyFlow14727 25/01/31 147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