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1/04 12:54:43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수정됨)

예전에 몰랐던 사실인데, 최근 1차세계대전 관련 서적을 여럿 읽다보니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어 무척 재미있네요. 

다름이 아니라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국내여론에 의외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 


제1차 세계대전은 본질적으로 "제국주의 전쟁"이었으나, 전쟁이 더욱 지속되고 참혹해지면서 

각국은 자국의 국민들에게 전쟁의 명분을 보다 극적으로 포장해야 했습니다. 

전쟁의 발발 이유는 기억에서 지워지고, 점점 새로운 이유로 전쟁을 계속해야만 하는 당위를 부여하려고 했던 것이죠.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오스트리아/오스만제국의 전제주의"에 맞서는 "민주주의 동맹"이 승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를 위해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을 계속 끌어들이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참전 직전까지 계속 망설이고, 직접 개입하는 걸 극도로 꺼려했습니다.

그러나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짐머만 전보 사건으로, 거의 등떠밀려 참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참전했음에도 전쟁에 대해 매우 시큰둥한 반응이었다고 하네요. 


그런데 러시아 2월 혁명 소식이 전해지고 러시아가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고 알려지자 

미국 지식인들은 환호했고 미국이 왜 전쟁에 전력을 다해야 하는지 선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윌슨 대통령은 드디어 전쟁의 목적이 

"민주주의를 위해 안전한 세계(A world safe for democracy)"를 만들기 위함이라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한편 독일에서도 독일 정부는 "야만적인 차르 정부"에 맞서 "계몽되고 자유로운 독일"이 조국을 방위해야 한다고

선전했었는데, 독일의 최대 정당이자 진보정당이었던 SPD는 이를 이유로 전쟁에 찬성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러시아가 민주화되자 SPD는 전쟁을 지속할 이유가 없다면서 서둘러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그리고 러시아의 노동자들이 전쟁을 무리하게 지속시키는 정부를 전복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도 노동자 파업과 반란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는데, 

당대 뉴스 헤드라인을 실시간으로 살펴보았을 레닌 입장에서는

러시아 혁명이 전유럽의 혁명의 시발점이 될거라고 생각한 것도 무리는 아니었던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1/04 12:58
수정 아이콘
러시아 혁명 이후 장기적으로 전유럽에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긴 했죠.
레닌이 생각하는 그런 혁명과는 거리가 멀겠지만, 아무튼 아주 거대한 변화들이 일어났습니다.
원더보이
19/01/04 13:25
수정 아이콘
러시아 내전에 대해 자세하게 다룬 책이 있나요?
관심이 있긴 한데
패스파인더
19/01/04 14:18
수정 아이콘
러시아 혁명 1891~1991 읽고있습니다
내전 직전부분까지만 읽은 상태인데, 개인적으로 만족스럽습니다.
원더보이
19/01/07 15: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조말론
19/01/04 16:04
수정 아이콘
카이저라이히..
19/01/04 19:41
수정 아이콘
SPD의 협조적인 태도에 독일 공산당이 될 극좌파가 뛰쳐나갔듯이 분명 평화의 시대에는 노동자들이 한편이 되서 제국주의 전쟁을 총파업이나 전쟁예산 반대 등등으로 무산시키자고 선언해놓고서는, 프랑스 좌파고 독일 좌파고 세계대전이 막상 등장하니까 모범시민들이 되었지요...

레닌이 아무리 정치적인 꿍꿍이를 가지고 혁명 이후 전쟁지속반대를 외쳤던들, 그의 유지를 이은 트로츠키의 세계혁명론으로 이어지는 낭만적인 이미지가 괜히 생긴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64 [일반] [단상] 러시아를 반드시 한반도에 끌어들여야 하는 이유 [92] aurelius14514 19/01/08 14514 34
79616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6] aurelius5941 19/01/04 5941 1
79605 [일반] 자유한국당 “신재민, 광주민주화운동 이래 최대 양심고백” [87] aurelius11346 19/01/03 11346 11
79595 [일반] 여러분께서 가장 즐겨보는 주간지/매체는 무엇인가요? [34] aurelius6445 19/01/03 6445 9
79589 [일반] [잡상] 외교관에게 허용된 국내정치간섭은 어디까지인가? [12] aurelius7199 19/01/02 7199 9
79577 [일반] 신재민 건 관련 기재부 공식 반박 [113] aurelius16135 19/01/02 16135 33
79518 [일반] [잡담] 민주당 의원들에게 메일을 보내고 답장을 받았습니다. [35] aurelius11244 18/12/28 11244 27
79452 [일반] [단상] 미국 이후의 시대를 준비해야 할 때 [55] aurelius10474 18/12/23 10474 17
79449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감상한 소감을 저도 올려봅니다. [9] 작고슬픈나무6391 18/12/23 6391 8
79432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정주행 완료한 소감 [6] aurelius7816 18/12/22 7816 5
79397 [일반] [넷플릭스] 러시아 드라마 - 트로츠키 [6] aurelius9557 18/12/19 9557 4
79384 [일반] [외신] 프랑스, 내달부터 구글, 페북, 아마존, 애플 과세 [34] aurelius9519 18/12/18 9519 4
79373 [일반]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이란 사람의 발언 [211] aurelius17999 18/12/18 17999 25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9001 18/12/17 9001 2
79358 [일반] [독일 드라마] 1929 바빌론 베를린 [2] aurelius9883 18/12/16 9883 4
79351 [일반] [도서추천] 근래 구매한 책들 목록입니다. [8] aurelius6505 18/12/16 6505 7
79327 [일반] [해외뉴스] 앙겔라 메르켈의 후계자가 결정되었습니다. [11] aurelius9421 18/12/14 9421 2
79308 [일반] [역사] 히틀러 이후의 유럽 [9] aurelius8729 18/12/13 8729 17
79293 [일반] [단상] 역사에 만약이란? 보다 진지한 IF 놀이를 위한 제언 [40] aurelius7289 18/12/12 7289 2
79288 [일반] [질문] 소련 해체를 기억하시는 분 계신가요? [40] aurelius7507 18/12/11 7507 1
79223 [일반] [단상] 2030대 남성의 분노를 깨닫지 못하는 민주당 [233] aurelius15465 18/12/10 15465 39
79188 [일반] [서평] 숀 맥미킨 - 러시아 혁명사 外 [5] aurelius4690 18/12/07 4690 3
79160 [일반] 중국 자본의 유럽진출 현황 [99] aurelius12958 18/12/05 1295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