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7 13:18:2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수정됨)

weimar_carnival_horst_naumann_1929.jpg

"Weimarer Fasching", Horst Naumann 1928-1929


1929년 작품입니다.

제목은 "바이마르의 축체"

나치문양을 한 사람을 묘사한 최초의 그림 중 하나라고 합니다.

당시 나치는 요즘 우리나라 민중당만큼이나 존재감이 없었던 듣보잡 마이너 그룹이었는데

이 그림의 통찰력은 정말 대단하네요. 


이 그림에는 1차세계대전으로 죽은 사람들의 묘비

힌덴부르크 대통령

부패한 은행가들

신음하는 노동자들

발가벗은 채 춤을 추는 퇴폐적인 카바레 무용수 

무기력한 성직자 등을 그려넣고 있는데

한 가운데에는 스와스티카 문양을 한 군인이 무섭게 쳐다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는 빨간 자켓을 입고 있습니다.

그는 빨간 자켓에 군인 철모.... 그는 공산주의자인가 파시스트인가.... 

실제로 공산당 활동 하던 사람 중 나치로 180도 전향해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이 그림을 그린 저자는 당시 예술가들이 대게 그러했듯이 공산주의자였고, 

극우단체를 극혐했었는데...


나치가 갑자기 부상하게 되는 상황을 아주 우려스럽게 바라본 거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소름끼치는 예언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템플러
18/12/17 13:35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참 히틀러라는 개인이 없었을지라도 그 양상은 달랐을뿐 파시즘의 도래는 막을수없었을것같습니다.
Zoya Yaschenko
18/12/17 13:44
수정 아이콘
하필 또 이탈리아 옆이 독-오 였으니까요..
18/12/17 13:48
수정 아이콘
근데 또 프랑코 파시즘 처럼 국내 독재에만 열을 올린 케이스도 있으니 지도자가 히틀러가 아니었다면 번지는 양상이 달랐을 가능성은 높을 거 같습니다.
네로울프
18/12/17 14:05
수정 아이콘
스와스티카라고 하기 보단 하켄 크로이츠라고 하는 게 정확하겠죠.
18/12/17 14:48
수정 아이콘
NAZI가 거창한 명칭의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이었으니 민족주의에 혹한 공산주의자나 사회주의자가 많이 넘어갔겠지요.
처음과마지막
18/12/17 19:13
수정 아이콘
다큐보니가요 히틀러가 젊은시절에 화가가 되고 싶어했으나 미술학교에 탈락하더군요
교장이 유대인이였다는 썰이 있구요
미술학교에가고 화가로서 평생 살아갔다면 역사가 달라졌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64 [일반] [단상] 러시아를 반드시 한반도에 끌어들여야 하는 이유 [92] aurelius14496 19/01/08 14496 34
79616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6] aurelius5916 19/01/04 5916 1
79605 [일반] 자유한국당 “신재민, 광주민주화운동 이래 최대 양심고백” [87] aurelius11323 19/01/03 11323 11
79595 [일반] 여러분께서 가장 즐겨보는 주간지/매체는 무엇인가요? [34] aurelius6431 19/01/03 6431 9
79589 [일반] [잡상] 외교관에게 허용된 국내정치간섭은 어디까지인가? [12] aurelius7185 19/01/02 7185 9
79577 [일반] 신재민 건 관련 기재부 공식 반박 [113] aurelius16119 19/01/02 16119 33
79518 [일반] [잡담] 민주당 의원들에게 메일을 보내고 답장을 받았습니다. [35] aurelius11227 18/12/28 11227 27
79452 [일반] [단상] 미국 이후의 시대를 준비해야 할 때 [55] aurelius10450 18/12/23 10450 17
79449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감상한 소감을 저도 올려봅니다. [9] 작고슬픈나무6381 18/12/23 6381 8
79432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정주행 완료한 소감 [6] aurelius7803 18/12/22 7803 5
79397 [일반] [넷플릭스] 러시아 드라마 - 트로츠키 [6] aurelius9548 18/12/19 9548 4
79384 [일반] [외신] 프랑스, 내달부터 구글, 페북, 아마존, 애플 과세 [34] aurelius9509 18/12/18 9509 4
79373 [일반]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이란 사람의 발언 [211] aurelius17979 18/12/18 17979 25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8995 18/12/17 8995 2
79358 [일반] [독일 드라마] 1929 바빌론 베를린 [2] aurelius9871 18/12/16 9871 4
79351 [일반] [도서추천] 근래 구매한 책들 목록입니다. [8] aurelius6496 18/12/16 6496 7
79327 [일반] [해외뉴스] 앙겔라 메르켈의 후계자가 결정되었습니다. [11] aurelius9410 18/12/14 9410 2
79308 [일반] [역사] 히틀러 이후의 유럽 [9] aurelius8713 18/12/13 8713 17
79293 [일반] [단상] 역사에 만약이란? 보다 진지한 IF 놀이를 위한 제언 [40] aurelius7278 18/12/12 7278 2
79288 [일반] [질문] 소련 해체를 기억하시는 분 계신가요? [40] aurelius7491 18/12/11 7491 1
79223 [일반] [단상] 2030대 남성의 분노를 깨닫지 못하는 민주당 [233] aurelius15444 18/12/10 15444 39
79188 [일반] [서평] 숀 맥미킨 - 러시아 혁명사 外 [5] aurelius4676 18/12/07 4676 3
79160 [일반] 중국 자본의 유럽진출 현황 [99] aurelius12939 18/12/05 12939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