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7 13:18:27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수정됨)

weimar_carnival_horst_naumann_1929.jpg

"Weimarer Fasching", Horst Naumann 1928-1929


1929년 작품입니다.

제목은 "바이마르의 축체"

나치문양을 한 사람을 묘사한 최초의 그림 중 하나라고 합니다.

당시 나치는 요즘 우리나라 민중당만큼이나 존재감이 없었던 듣보잡 마이너 그룹이었는데

이 그림의 통찰력은 정말 대단하네요. 


이 그림에는 1차세계대전으로 죽은 사람들의 묘비

힌덴부르크 대통령

부패한 은행가들

신음하는 노동자들

발가벗은 채 춤을 추는 퇴폐적인 카바레 무용수 

무기력한 성직자 등을 그려넣고 있는데

한 가운데에는 스와스티카 문양을 한 군인이 무섭게 쳐다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는 빨간 자켓을 입고 있습니다.

그는 빨간 자켓에 군인 철모.... 그는 공산주의자인가 파시스트인가.... 

실제로 공산당 활동 하던 사람 중 나치로 180도 전향해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고 합니다.

 

이 그림을 그린 저자는 당시 예술가들이 대게 그러했듯이 공산주의자였고, 

극우단체를 극혐했었는데...


나치가 갑자기 부상하게 되는 상황을 아주 우려스럽게 바라본 거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소름끼치는 예언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템플러
18/12/17 13:35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참 히틀러라는 개인이 없었을지라도 그 양상은 달랐을뿐 파시즘의 도래는 막을수없었을것같습니다.
Zoya Yaschenko
18/12/17 13:44
수정 아이콘
하필 또 이탈리아 옆이 독-오 였으니까요..
18/12/17 13:48
수정 아이콘
근데 또 프랑코 파시즘 처럼 국내 독재에만 열을 올린 케이스도 있으니 지도자가 히틀러가 아니었다면 번지는 양상이 달랐을 가능성은 높을 거 같습니다.
네로울프
18/12/17 14:05
수정 아이콘
스와스티카라고 하기 보단 하켄 크로이츠라고 하는 게 정확하겠죠.
18/12/17 14:48
수정 아이콘
NAZI가 거창한 명칭의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이었으니 민족주의에 혹한 공산주의자나 사회주의자가 많이 넘어갔겠지요.
처음과마지막
18/12/17 19:13
수정 아이콘
다큐보니가요 히틀러가 젊은시절에 화가가 되고 싶어했으나 미술학교에 탈락하더군요
교장이 유대인이였다는 썰이 있구요
미술학교에가고 화가로서 평생 살아갔다면 역사가 달라졌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745 [일반]  사회복무요원 1년차의 뻘글 (추신 추가) [103] 아타락시아114683 19/01/15 14683 29
79744 [일반] 의도가 보이는 경찰서 사회복무요원 배치 [290] 뜨와에므와23533 19/01/15 23533 38
79728 [일반] 부채의식의 부재가 만연한 사회 [318] 수지느21320 19/01/12 21320 82
79603 [일반] (본문 약스포) 블랙미러 최고의 에피소드를 뽑아보아요. [51] OrBef20336 19/01/03 20336 4
79535 [일반] 군대인가 학원인가…병사는 병사 다워야 정상 [220] 홍승식20228 18/12/30 20228 26
79483 [일반] 오늘도 국군 장병은 죽어가고 있다. [185] 여왕의심복19277 18/12/26 19277 178
79377 [일반] [MCU] 어벤져스의 천상천하 유아독존 3인방 + 캡틴 이야기 [52] HesBlUe9889 18/12/18 9889 10
79365 [일반] 1929년 나치의 부상을 예견했던 베를린의 한 그림 [6] aurelius9043 18/12/17 9043 2
79264 [일반] 군필자 왈, 나만 X될 수 없지 [449] 사악군21759 18/12/10 21759 139
79222 [일반] 그래서 군대 없앨거야? [414] 수지느14858 18/12/10 14858 48
79140 [일반] 다스뵈이다 41회 태양광, 공개수배, 우먼스플레인(1) [15] 읍읍11762 18/12/04 11762 5
79094 [일반] [단상] 러시아 공산혁명은 필연적이었나? [14] aurelius6393 18/11/29 6393 6
79040 [일반] 음주운전 방조죄, 음주운전자의 차량에 동승했다 사고를 당한 휴가 중 군인 [19] 청운지몽10237 18/11/27 10237 1
79038 [일반]  최초의 여신과 고자 아들이 로마제국에 취직한 이야기 - 키벨레와 아티스 [13] Farce9450 18/11/27 9450 32
78975 [일반] 세탁소와 철물점이 있는 거리 [34] 치열하게8866 18/11/22 8866 13
78950 [일반] [역사] 1차대전 말기 1918-19년 독일혁명 [9] aurelius6032 18/11/20 6032 13
78948 [일반] 삼국지 이후 - 동진 왕조 백여년의 역사 [13] 신불해13199 18/11/20 13199 45
78941 [일반] 어느 훈련병의 일기 (102보충대편) [17] 6270 18/11/19 6270 1
78901 [일반] 제가 좋아했던 대전 음식점들 [108] 나플라13856 18/11/17 13856 13
78859 [일반] 고기가 먹고 싶었던 제국 - 아즈텍 [67] Farce20266 18/11/14 20266 80
78839 [일반] 영국의 역사 - 노르만 왕조의 성립까지 [21] 신불해11521 18/11/12 11521 55
78760 [일반] 산업위생이야기 2. 국내 직업병의 역사 [10] rectum aqua4711 18/11/04 4711 15
78754 [일반] 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120] Danial10644 18/11/04 10644 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