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9/04 22:41:06
Name KID A
Subject [일반] 책 몇권을 추천합니다.
그동안 pgr에서 좋은 책 추천을 많이 받았습니다. 많은 책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책을 좋아하는 입장에서 제가 읽은 책 중에 추천할만한 것을 몇 권 소개해 보려합니다. 문학 쪽은 거의 읽지 않는 관계로 거의 비문학 책들 입니다.


l9788964353417.jpg

제가 좋아하는 버트란드 러셀 형님의 에세이 모음입니다. 에세이치고 페이지 수를 처음 보면 조금 놀랄 수 있는데 한 챕터 당 페이지 수는 2~3페이지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하루에 한 주제씩 차분히 읽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상당히 오래전에 쓴 책이지만 지금 현재의 우리에게도 생각해볼만한 여러 주제를 러셀 형님 특유의 시니컬함으로 풀어낸 책입니다.


l9791187313144.jpg

인수공통 전염병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바로 와 닿지 않겠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메르스나 조류독감 이라고 예를 들면 바로 알 수 있겠죠. 아쉽게도 메르스 이야기는 다루지 않았지만 이 책은 에볼라, 에이즈, 조류독감 등 최근에 발생되어 현재진행형이거나 아니면 갑자기 사라진 인수공통 전염병의 진원지를 저자가 직접 탐사하면서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 소멸 등을 추적하고 동시에 과학적 사실도 군데군데 곁들인 흥미로운 책입니다.


l9788932917092.jpg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저술가 볼프 슈나이더의 군인에 대한 역사책입니다. 군인에 대한 추도사로 시작되는 이 책은 전쟁의 주역으로 취급받는 장군들이 아니라 군인들에 포커스를 맞추고 고대에서 지금까지 그리고 미래에 예상되는 군인 개념의 변화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책입니다.


l9788991972094.jpg

이 책은 1945년 폐허가 된 유럽이 다시 일어나 EU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다룬 역사서입니다. 꽤 오랜 세월을 담아낸 만큼 두 권 인데다가 분량도 상당한 편이지만 정말 알게 되는 것이 많은 훌륭한 역사책입니다. 참고로 이 책은 절판되어 도서관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재발매 please~)


l9788959406258.jpg

지금 미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결혼을 둘러싼 여러 가지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고 있는 책입니다. 다시 요약하자면 경제적 불평등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책이라 하겠습니다.   미국의 사례를 다루고 있음에도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현재 한국 상황에도 어느 정도 들어맞는 분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l9788932917108.jpg

데이비드 버스의 ‘진화 심리학’이라는 책이 진화 심리학을 입문하는데 이정표 같은 역할을 하는 책이라 한다면 이 책은 제목대로 뇌 과학에 입문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비교적 어렵지 않은 선에서 아주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04 22:49
수정 아이콘
왠지 결혼 시장이라는 책이 눈에 들어와서 구글 리뷰를 읽어봤는데, 재미있는 책일 것 같네요.
홍삼모스키토골드
18/09/04 22:56
수정 아이콘
저 중에 읽은 책은 런던통신 하나인데, 저도 넘나 잼께 읽어서 나머지 책도 잼날 것으로 추정되네요
스테비아
18/09/04 23:47
수정 아이콘
전부 재밌어보이네요ㅠㅠ
18/09/05 00: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페로몬아돌
18/09/05 00:19
수정 아이콘
이것 중에 하나만 딱 추천 해주신다면 뭘로 하시겠어요? 그것만 딱 볼 기력이 될 듯 하네요 ㅠㅠ
18/09/05 00:30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런던통신이 에세이니까 읽기가 제일 쉽지 않을까 싶네요
안경쓴여자가좋아
18/09/05 01:22
수정 아이콘
볼프 슈나이더 시리즈 중 위대한패배자들 읽고 또 읽어도 재밌는 책 입니다. 을유문화사가 이런 책 많이 내는가 본데, 같은 출판사 다른 작가의 책인 지식인의 두얼굴도 재밌습니다!
cluefake
18/09/05 01:47
수정 아이콘
포스트 워..
전에 사뒀는데 절판이 되어버렸군요.
QuakeChampions
18/09/05 02:29
수정 아이콘
포스트워는 몇년전쯤에 한번 올라왔었던거 같은데 못 봐서 아쉽네요.
aurelius
18/09/05 11:26
수정 아이콘
포스트워는 정말 역대급 띵작입니다. 강추합니다. 문장이며, 디테일이며, 비유며 정말 놓칠 게 없는 갓띵작.
18/09/05 12:55
수정 아이콘
좋은책 추천 감사합니다. 얼른 읽어보고 싶네요
vanillabean
18/09/05 15:07
수정 아이콘
내 포스트워... 지인이 갖고 가서 안 돌려주고 있는데... 절판이군요. 출판사가 없어진 모양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697 [일반] [뉴스 모음] No.207. 채널A의 거짓말, 박근혜 정부 청와대의 나라 망가뜨리기 외 [11] The xian8015 18/10/31 8015 32
78672 [일반] 영화<창궐>을 보고. (스포있음) [36] 알레그리8162 18/10/28 8162 3
78666 [일반] 이름부터가 북쪽의 땅 - 노르웨이 [36] 이치죠 호타루11026 18/10/27 11026 41
78569 [일반] 현재 여군은 전역시 예비군을 선택할 수 있다네요. [69] 홍승식11276 18/10/19 11276 12
78456 [일반]  [뉴스 모음] No.200. 가짜뉴스에 대한 자유한국당의 우디르급 태세 전환 외 [36] The xian12419 18/10/08 12419 52
78429 [일반] 고려 말, 요동의 정세는 어떤 상황이었을까? [25] 신불해14336 18/10/05 14336 60
78387 [일반] 긴 역사, 그리고 그 길이에 걸맞는 건축의 보물단지 - 체코 [20] 이치죠 호타루11884 18/09/29 11884 27
78348 [일반] 청산리 전역 이야기 [35] 류지나14684 18/09/26 14684 66
78319 [일반] 남북정상회담때 사과요구가 없었다는게 불만이신분들에게 [54] 오리와닭9367 18/09/22 9367 40
78263 [일반] 문재인과 페미니즘 [283] 윤광14526 18/09/18 14526 51
78250 [일반]  [뉴스 모음] No.194. 게임업계의 노조 이야기 외 [26] The xian8709 18/09/16 8709 18
78230 [일반] [다큐추천] "전간기 동안 사라진 꿈들, 1918-1939" [20] aurelius7981 18/09/14 7981 2
78176 [일반] 유럽이라고 다 잘 사는 건 아니라만 - 몰도바 [46] 이치죠 호타루18804 18/09/09 18804 45
78119 [일반] 책 몇권을 추천합니다. [12] KID A7499 18/09/04 7499 13
78077 [일반] 카고 컬트(Cargo cult) [33] 시드마이어10362 18/08/31 10362 35
77984 [일반] 기무사 현역 중사 "원대복귀 추진 중단 요청"…靑 청원 [120] kicaesar14230 18/08/23 14230 0
77958 [일반] 호레이쇼 넬슨, 영웅의 스캔들 [31] 신불해10065 18/08/22 10065 58
77863 [일반] 기무사와 관련된 내 인생의 에피소드들.. [11] 마우스질럿8345 18/08/11 8345 0
77821 [일반] 사람과 괴물 사이의 이야기 2 : 나쁜놈들 전성시대 [18] Farce8854 18/08/06 8854 16
77812 [일반]  [뉴스 모음] No.191. 양승태 대법원과 조선일보의 수상한 거래 외 [8] The xian8219 18/08/05 8219 33
77771 [일반] 7월의 어느 토요일, 평행 세계의 소녀를 만나는 것에 대하여 [28] 위버멘쉬6034 18/08/01 6034 37
77764 [일반] "'성정체성 혼란' 군인권센터 소장이 군 개혁 주도" [98] 길갈11008 18/07/31 11008 13
77700 [일반] 후추통의 울화통 소식 [39] 후추통13033 18/07/24 13033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