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13 00:41:45
Name 신불해
Subject [일반] 바지사장 태조 이성계?



조선은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500년을 갔던 나라에, 현대의 대한민국이 수립되기 이전 가장 가까운 시대에 있었던 왕정 국가였던 만큼 여러모로 인지도도 높은 편이고, 조선의 역대 왕들도 한반도의 다른 왕들에 비해 네임맬류가 높습니다. 게중에서 그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는 조선의 여러 왕들 중에서도 탑클래스의 네임맬류를 자랑합니다.



다만 그 네임맬류와는 별개로, '왕으로서 무엇을 했느냐. 그 이전에 대략적인 왕으로서 스타일이 무엇이었느냐'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인식이 크게 대중적이진 않은 편입니다. 


왕으로서 이성계에 대한 그나마 꽤 인식되는 이미지 중에 하나는 '바지사장 이성계' 라는 이미지 입니다. 특히 근래에 접어들어 정도전 등의 유명세가 높아지면서 이성계는 일종의 이들에 의해 '선택' 된 사람이고, 실질적으로도 정치에서 앉아만 있었으며 사실상 조선을 좌지우지한 사람들은 이들이라는 인식도 큽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이렇게 생각될 법도 합니다. 정치 대부분을 정도전, 조준, 남은 등이 해먹었다면, 이성계는 왕권이 허약한 군주 아니었나? 힘이 없으니까 그냥 호호할배처럼 뒤에 물러나 있고, 힘쎈 신하들이 대신 정치 하고, 거기에 불만을 품고 이방원이 뒤집어 엎어버리고 왕권을 강화하고 등등....


VmajHM2.jpg

"내가 바지사장의 관상처럼 보이나?"




그런데 우리가 말하는 바지사장, 얼굴마담이라는 표현은 두 가지 측면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하나는 실제 권력자가 운영은 아랫사람들 맡겨놓고 자신은 손을 놓고 있는 경우. 일종의 전문 경영인을 쓰는 셈입니다. 이 경우에도 우리는 바지사장이라는 표현을 종종 사용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바지사장이라는 표현이 더 많이 쓰이는건, 정말 말 그대로 '이름' 이나 '얼굴' 만 빌려주고 모든걸 좌지우지하는, 그리고 '할 수 있는' 사람이 따로 있을때 더욱 그런 표현이 많이 사용됩니다. 정확히 말해서 실권자가 따로 있는 상황이죠.




그렇다면 다시 이야기로 돌아가서, 이성계는 바지사장이었을까. 정답은 이렇습니다. 앞서 말한 '바지사장' 이라는 표현의 사용에 있어 1의 경우로 사용한다면 맞는 이야기지만, 2의 경우라면 전혀 아닙니다. 





……개국공신들은 그 출신과 능력이 매우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학문, 정치 능력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생략) 정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도당임원 가운데서도 극히 적은 수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도당의 임원이라기보다는 '공신' 으로서 이 시대 국정운영의 중추가 된 것으로 생각한다. 정도전, 조준, 남은 등이 바로 그러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개국공신이고 도당의 임원이었지만 '도당의 임원으로서가 아니라' 중신으로서 태조의 신임을 받고 중용된 사람들이었다.

 

 

(생략)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은 도당의 임원으로서가 아니라 여러 직함을 가진 재신, 공신으로서 정사를 다루고 재결받았다. 이처럼 태조는 소수의 재신을 중용하여 운영했기 때문에, 이들 재신들의 정치, 군사 권력이 과대해져 오히려 왕권을 위협하는 상태까지 이르지 않았는가 생각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당시에 그러한 혐의를 받기도 했다. (생략)

 

 

변중량은 당시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이 병권과 정권을 장악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의 부당함을 말했다. (생략) 어쨌든 몇몇 재신이 병권과 정권을 장악했다고 본 것은 태조가 소수의 재신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변중량의 말은 소수 재신 중심 정치에 대한 종친이나 다수의 개국공신들의 불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새각된다. 이에 대하여 태조는 노하여

 

 

"이 몇 사람은 나와 한 마음을 가진 자들이다. 만약 의심을 한다면 누가 믿을 수 있는 자인가."

 

 

고 하고 변중량 등을 추국하라고 명령하고 있다. 즉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은 모두 태조의 고굉지신으로서 계속 한마음을 가진 자들이므로 이들을 믿고 정사를 위임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생략)

 

 

태조 왕권의 허약설은 일제식민사학의 조작으로 이루어졌다. 이성계의 왕권을 무력한 것으로 만들어놓은 의도는 조선왕조를 시작부터 암담한 국가로 보이게 하려는 고의가 담긴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태조의 왕권은 결코 도평의사사에서 내린 결의를 재가하는 데 그친 허약한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과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만큼 강력하였다. (생략) 태조대 국정운영의 또 하나의 특징은, 도평의사사나 개국공신 등 다수의 관료를 동원하지 않고 소수의 재신을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했다는 것이다.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은 태조의 정치에 밀착한 소수 재신에 속하였다. 태조대의 정치는 그들과 밀착되었기 때문에 당시 정치에서 소외된 종친과 다수의 공신들은 정권과 병권이 그들 소수 재신에게 집중된 데 의혹과 불만을 품기도 했다. (생략)

 

 

다시 말하면, 태조의 왕권은 결코 개국공신이나 도평의사사의 정치권력에 눌린 것이 아니었고, 오히려 태조는 강력한 왕권으로 정치를 주도해갔으며, 다양한 국정운영으로 적극적인 정치를 행하였다. 그러나 태조대 정치를 긍정적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이 시대는 개국초창기로 정치제도는 미비했고, 국정운영은 미숙했다. 소수 재신을 중심으로 한 정치는 소외된 다수의 불만을 가져왔다.

 

 

조선초기정치사연구 ─ 최승희 저







 사실 태조 시기 정도전, 조준, 남은 등의 권력이 너무 강하지 않았는가, 이러다가 왕권을 위협하지 않겠는가 하는 말은 다름 아닌 '태조 시절' 그 당시에도 나왔던 여론 중에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여론은 바로 묵살 되었는데, 그 묵살은 정도전이나 조준의 차원에서 벌어진 일이 아니라 '이성계' 의 손에서 이루어진 일이었습니다. 즉 정도전이나 조준은 자신의 힘으로 자신을 보호한 것이 아니라, 태조 이성계의 힘을 빌려 자신을 보호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렇습니다. 태조 시기 정도전이나 조준 등의 신하들이 막강한 힘을 누릴 수 있었던 모든 실권의 원천은, 바로 이성계 그 자체였습니다. 오직 이성계가 이들에게 힘을 주고 싶었기에 그들이 힘을 가질 수 있었을 뿐입니다. 군주마저도 함부로 할 수 없는 권신? 그런거 없습니다. 이성계가 마음을 바꿔서 이들을 문자 그대로 조지고 싶었다면, 얼마든지 그럴 수도 있었습니다.



 말하자면 이성계는 최고 경영 책임자 몇몇을 고용한 오너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장이 이 책임자들에게 절대적인 권한을 부여했기에 이들은 절대적인 힘을 일선에서 휘두르지만, 그들의 힘은 어디까지나 자신을 고용한 회장의 손에서 나옵니다. 태조는 권력이 없던 왕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태조의 권력이 강력하기에, 이들 중신들은 그만큼 막강한 힘을 휘두를 수 있었던 겁니다.




이성계의 이런 측근 정치는 어떤 스타일이었는가? 일단 태조가 측근들에게 어떤 식으로 힘을 부여했는지는 살펴보면...




'....태상왕이 즉위하던 날 저녁에 조준을 와내로 불러들여 말하기를, 

“한 문제(漢文帝)가 대저에서 들어와서 밤에 송창(宋昌)으로 위장군(衛將軍)을 삼아 남북을 진무(鎭撫)하게 한 뜻을 경이 아는가?” 

하고, 인하여 도통사(都統使) 은인(銀印)과 화각(畫角)·동궁(彤弓)을 하사하면서 이르기를, 

“5도 병마(五道兵馬)를 모두 경에게 위임하여 통솔하게 한다.” 하고, 드디어 문하 우시중(門下右侍中) 평양백(平壤伯)을 제수하고, 1등의 훈작(勳爵)을 봉(封)하여 ‘동덕 분의 좌명 개국 공신(同德奮義佐命開國功臣)’의 호(號)를 주고, 식읍 1천 호(戶), 식실봉(食實封) 3백 호(戶)와 전지(田地)·노비 등을 하사하였다. ─ 조준 졸기





이성계는 자기가 왕으로 즉위한 바로 그 날 저녁, 조준을 불러들이더니 난데없이 "야! 조준이 너 임마, 병권 가져라!" 하면서 전국 5도의 군사 병마권을 내려줬습니다. 밑도 끝도 없이 조선 전체의 절반이 넘는 지역의 군사권을 '재상 한 명' 에게 넘겨준 셈입니다. 


어떻게 보면 태조 시기는 조선 역사상 가장 재상의 파워가 강하던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두 '세력' 도 아닌 한 두 '명' 의 정치인이, 정권, 심지어 '병권' 마저 손아귀에 넣고 있던 시대는 조선 역사를 통틀어도 태조 시기 정도 밖에 없을테니 말입니다. 아이러니한것은, 그러면서도 정작 국왕의 왕권은 허약하기보다는 오히려 강력하고, 이러한 특정 정치 세력을 왕이 견제하기보다는 오히려 한 배가 된 것처럼 여겨 밀어줬다는 점입니다. 




IccDvki.jpg

"신하가 권력을 너무 많이 가지면 안된다" 고 했다는 이유로 목이 달아날뻔한 변중량.


O9jS4lA.jpg



이런 경향이 가장 잘 들어난 사례 중에 하나가 '변중량 사건' 이었는데, 당시 조정의 신하였던 변중량은 이성계의 동생인 이화를 만나 "아 글쎄, 본래 병권은 왕실 종친들이 가져야 하고 재상은 정권만 담당하면 되는데, 지금 조준하고 정도전, 남은 등이 다 해먹고 있으니 이거 되겠습니까?" 하고 푸념을 늘어놓았습니다. 



그런데 이화가 무슨 생각이었는지 이 말을 이성계에게 전하자, 말을 들은 이성계는 "음, 그렇지! 이러다 내 권력이 위험하니 이런 말이 나오는걸 이용해서 조져놓아야지." 라고 하기는 커녕, 갑자기 벌컥 화를 내며


"그 사람들은 전부 내 팔, 다리 같은 사람들이야! 어떤 놈이 그 사람들을 욕하는거냐? 딴 생각이 있으니까 그러는 거 아니냐?" 하면서 바로 잡아서 국문 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이성계가 반대로 '절대적인 권력' 을 가지고 있었기에 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자신에게 힘이 있고, 그 사람들이 자신을 거스르지 못할거라는 확신이 있기에 이들을 견제한다거나 힘을 뺴앗아야 한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의 힘으로 그들을 보호해줬던 겁니다.



aaXKufb.jpg



윗 사건과 비슷한 사례는 기록에 또 남아 있습니다. 감찰 직을 맡고 있던 김부와 황보전이라는 두 사람이 어느날 조준의 잔뜩 술을 먹고 취해서 조준의 집앞을 지나가다가, 위세가 대단했던 조준의 집을 보고 술에 취해서 "에라, 지금 권력이 아무리 쎄서 집 으리으리 해봐야 이거 얼마나 가겠나? 나중에 가면 다른 사람 집 되겠지!" 하고 껄껄거렸더니, 그 말을 전해 들은 이성계가,


"조준은 개국 공신이며, 이 나라의 기쁨과 걱정을 같이 한 사람인데, 조준이 오래가지 못한다는건 조선이 오래가지 못한다고 한 것과 진배없다!" 며 황보전은 잡아다 빠따를 때렸고, 김부는 아예 목이 달아났습니다. 



보면 느낄 수 있지만, '절대적인 권력' 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에는 조준, 정도전 등은 꽤나 공격을 자주 당했습니다. 여기저기서 많은 사람들이 대놓고 쑥덕거렸고, 비토하는 말들도 잦았습니다. 이성계의 보호가 없었다면 이들은 버티기 어려웠을 겁니다.



08LeWeh.jpg



다른 심각한 결격 사유가 있던것도 아니고, '국왕의 총애가 너무 심해' 사람들의 원망을 들은 조준. 이런 여론을 의식해서인지 조준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식읍과 도통사 관직을 내려놓기도 했으나, 그럴때마다 이성계가 관직 사표 수리서를 안 받아서 뜻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신하가 제발 자기 권력을 좀 덜어주라고 통사정을 하는데도 왕이 오히려 아니 됬다면서 더 권력을 더해주는 기이한 상황...




대체 어떻게 이런 기묘한 정치적 관계가 지속될 수 있었을까?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성계는 정도전, 조준, 남은 등을 국가 신료들 중에서 일을 맡길만한 '관료' 로 본것이 아니라, 자신과 큰 일을 이루었던 '동지' 로 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앞서 인용한 '조선초기정치사 연구' 를 부분만 다시 인용하면,



[정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도당임원 가운데서도 극히 적은 수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도당의 임원이라기보다는 '공신' 으로서 이 시대 국정운영의 중추가 된 것으로 생각한다. 정도전, 조준, 남은 등이 바로 그러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개국공신이고 도당의 임원이었지만 '도당의 임원으로서가 아니라' 중신으로서 태조의 신임을 받고 중용된 사람들이었다.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은 도당의 임원으로서가 아니라 여러 직함을 가진 재신, 공신으로서 정사를 다루고 재결받았다.]





이성계는 자신이 힘을 준 재신들을 정부 조직의 임원으로 본 것이 아니라, 공신으로서 자신과 뜻을 같이한 동지, 파트너로 여겼습니다. 그게 어느정도였느냐면, 심지어 이성계는 왕이 되고 나서도 옛 동지들과 반쯤 야자를 트기도 했을 정도입니다.



[소마동(所磨洞)에 이르러 거가(車駕)를 머무르고, 우정승(右政丞) 김사형(金士衡)·의성군(宜城君) 남은(南誾)과 더불어 잠저(潛邸) 때의 서로 친숙하던 정(情)과 개국(開國)하느라고 근로(勤勞)하던 일을 담론(談論)하며 술잔을 서로 주고 받아 친하기가 옛날과 같았다.]




이성계가 거가를 타고 가다가 소마동에서 멈춰 술판을 벌이면서 남은 등과 왕 되기 전에 조선 만드는 일 하며 이야기를 하는데, 그 친근하기가 옛날과 같았다는 기록입니다. 왕이 된 이성계의 옛날이라고 하면야 당연히 왕이 되기 이전이고, 즉 이성계는 남은 등과 같이 술마시게 되면 왕관 때고 술 마셨다는 소리.




449nDcg.jpg




이성계와 남은 등이 어찌나 친근한지, 둘이 술 마실때면 둘만 마시는게 아니라 남은의 아버지인 남을번도 같이 껴서 술을 마시기도 했습니다. 남을번은 검교 시중이긴 했지만 그게 조정의 관료였다는 의미가 있다기보단 남은이 개국공신이라 검교 시중직을 받은것에 가까웠는데....


이렇게 모여서 술이 마시다가 술이 취하자, 당시 나이가 74살이었던 남을번이 갑자기 일어나 꼬부랑 춤을 추기 시작했습니다. 요즘 기준으로도 74살이면 그렇게 적은 나이는 아닌데 당시 기준으로라면야 말할 것도 없구요. 


체통이고 뭐고 말 귀도 잘 못알아먹는 늙은 아버지를 껴서 같이 술을 마시고, 급기야 노인이 반쯤 인사불성으로 춤을 춰대는데, 이성계는 그걸 보고 오히려 남은을 보고는,


"야, 내가 왕이 되면 뭐하냐! 우리 부모님 진작에 돌아가신지 오래인데. 넌 벼슬로는 재상이고 부모님이 아직도 살아계셔서 저렇게 춤을 추고 있는데, 내가 왕이라고 해봐야 너보다 나을게 뭐가 있냐?"


하면서 갑자기 중년의 감수성이 폭발하며 눈물을 줄줄줄 흘리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그런 꼴을 서로 보일 정도로 친근했던 사이.



SvZbiag.jpg



기록을 찾아보면 이성계가 정도전, 남은 등과 같이 술을 마실때면 "임금이 술에 취해 건국했던 일을 같이 이야기하며..." 라는 기록이 꽤 자주 보입니다. 


왕이고 재상이고 간에, 같이 하루하루 배 나오며 늙어가는 아저씨들인데 술 마시면 할게 뭐가 있겠습니까. 잘나갔던 옛날 이야기들이죠. "캬, 그때는 내가 조정에서 하마터면 털릴 뻔 했는데..." "그때는 제가 쨘하고 나서서 다 산거 아닙니까?" 등등...




MlAXNdE.jpg
72kMgLi.jpg

그런 술자리 기록 중에 또 다른 하나. 드라마 등에서 정도전 곱사춤의 유래가 된걸로 유명한 기록입니다. 노래가 연주되자 이성계가 정도전보고 "야, 이 노래는 네가 주문한 노래니 춤춰!" 하니까 정도전이 뭔 기다렸다는듯이 즉시 벌떡 일어나 "자, 추겠습니다!" 하고 춤을 추고, 이성계가 그걸 보고 "윗통 벗고 춤춰!" 하니 정도전이 진짜로 윗통벗고 춤춘 기록.



앞서도 봤지만 이성계는 이들을 자신의 "팔과 다리" 로 비유하며, 단순히 왕이 쓸만한 신하에게 보내는 신뢰 이상의 절대적인 신뢰를 보냈습니다. 기록을 보면서 느껴지는 인상을 보면 정도전, 남은과는 거의 사석에선 형님 동생 하는 수준 아닌가 싶을 정도의 느낌이고, 조준에 대해서는 "아이고, 선생님" 하며 호들갑스럽게 손 싹싹 만져주는 그런 느낌입니다. 아끼기는 다들 아꼈구요. 정도전 - 조준의 틈이 요동 문제로 벌어지던 당시에는 남은이 조준의 험담을 늘어놓자 이성계가 남은에게 성질 내면서 "내 앞에서 그런 소리 하려면 아예 하덜 말어라." 라는 식으로 한 적도 있고.




JPZoFyg.jpg



태조 시기의 국정운영은 완비되지 않은 시스템 대신, 이런 몇몇 절대적인 힘을, 정확히 말해 신뢰를 가진 신하들의 손에 의해 굴러갔습니다. 다만 이런 방식은 몇가지 문제가 있었는데, 행정을 담당하는 인물들이 사실상 국왕급의 권력을 행사하며 불도저처럼 밀어붙이니 시원시원하게 국정 운영이 되는 점은 좋았습니다. 해당 실무자 입장에서 보자면, 일하기에는 '완벽' 그 자체였습니다. 다만 상당히 많은 대상에게 불만을 가져올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불만을 가질 사람들은 '왕족' 들. 조선이 세워지며 이씨 세상이 되었으니 자연히 떵떵거리며 살아야 할 것 같은 이씨들이었는데, 왠 정씨니 남씨나 조씨니 하는 몇몇 사람들이 머리 꼿꼿이 세우고 다니면서 자기들 제끼고 국왕 곁에 붙어서 쑥쑥 거리며 있으니 기분이 좋을 리가 없었습니다. 



두번째로 공신은 공신인되 이런 상황에서 배제된 공신들. 자기들 딴에는 자신들도 나라 세우는 과정에 공이 있다고 여기는데 권력은 천지차이니 기분이 좋을 리가 없습니다. 특히 공신들 중 '무인 세력' 의 불만이 극심했습니다. 



그 외에 새롭게 들어오는 신하들도 자기들이 뭐 할 수 있는건 없고 상감 마마와 술자리 같이 하는 몇몇 대감들 얼굴만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어야 하니 입이 삐죽 튀어나오지 않을 수가 없었고.... 다시 복기해서 보면 변중량이 "몇몇 사람들이 권력이 너무 많다." 고 푸념한 대상이 다른 사람이 아닌 이성계의 이복동생으로서 왕실종친인 이화라는 점도, 제법 의미심장해 보입니다. 왕자의 난 한참 전부터 신료들이 왕족들과 같이 사석에서 태조의 측근들에 대한 불평을 서로 늘어놓고 다녔다는 이야기니까요.




이런 특수한 재상 정치, 즉 왕의 절대적인 권력으로 지탱되는 재상의 힘은 그 힘의 원천인 이성계가 물러난 후 자연스레 사라지게 됩니다.


 정도전, 남은이야 불귀의 객이 되었으니 그렇다쳐도, 이방원의 난에 소극적 협조를 했던 조준은 협력에도 불구하고 정종 시기엔 밑에서부터 사정없이 공격을 받아 "음란하고 방자하며 사치스럽고 남의 노비를 빼앗는 난신 적자이니 마땅히 주살해야 한다" 는 비난을 받을 정도로 위상이 한없이 추락하고 말았습니다. 어느정도냐면 이런 정치적 공격과 인신모욕의 수준이 하도 심하자 조준이 분해서 부들부들 떨며 항변하며 눈물을 줄줄 흘릴 정도로.


아버지인 태조를 따라 오랫동안 '아버지의 친구였던 아저씨들'을 곁에서 봐온 정종이 얼마 되지도 않은 힘으로 조준을 적극 보호한탓에 겨우 목숨줄을 유지했고, 태종이 즉위하며 새삼스레 신정권의 대통합 분위기 이런게 조성되자 끝없는 공격세례에서 겨우 벗어나 원로로서 얼굴마담으로 정승이 되었지만,  기록에서 대놓고 "뭐 할려고만 하면 태클이 들어와서 암것도 못하고 자리나 지켰다." 고 할 정도의 신세로 추락하고 맙니다.



물론 이방원의 난으로 한번 판이 갈리긴 했지만, 전대에 정권과 병권을 모두 휘둘렀던 조선 역사상 손에 꼽을만한 파워의 정치가가 눈깜짝할 사이에 뒷방 늙은이로 추락한다는건, 그만큼 그들의 힘이 태조의 절대적인 지지과 도움에서 비롯 되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DFQPRu1.jpg



- 이성계는 개국 공신 세력 측근들 중에서 이렇게 문인들은 종종 터무니 없어 보일 정도로 배포도 보이며 대단히 아낀 편이었는데(이 세명 외에도 가령 권근은 정몽주 일파 출신에다 정도전 등에게 공격 받는 입장이었는데 이성계 덕분에 목숨을 건짐), 반대로 무인들에 대해선 얄짤 없었습니다. 앞에서 다룬 것처럼, 측근 문인들이 병권까지 가져가는 와중에서도 비교적 소외되어 입이 삐죽 튀어나온 무인 세력들의 경우도 있고...


그나마 여기는 이성계 개인의 부하들이었던 무인 세력이라 그 정도지, 여말 무렵에 부하가 아니라 '협력자' 였던, 즉 경쟁자가 될 수도 있었던 다른 무인세력들은 이런저런 옥사에 말려드는 등 숙청을 면치 못했습니다. 그런 주요 인물로 위화도 회군에도 협력했던 정지가 있구요.


협력도 아니고 아예 대항하려고 했던 무인 세력의 말로야 뭐... 


이렇게 자신의 체격만큼이나 흡사 곰을 보는듯한 우직함, 단순명료함과 무인적 호방함 -천진함으로까지 보이는 - 더불어, 흡사 여우를 보는듯한 지혜와 교활함을 갖춘 타고난 정치가의 감을 모두 갖춘 양면성을 가진게 이성계라는 인물이다, 라고 개인적으로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굴곰
17/05/13 00:55
수정 아이콘
결론, 아무나 역성혁명 하는거 아니다.
3대가 괴수인 집안...
17/05/13 09:29
수정 아이콘
4대인데 명줄이 짧아서...
호모 루덴스
17/05/13 01:04
수정 아이콘
한고조 유방과 그의 개국공신들을 보는 듯 하네요.
17/05/13 01:26
수정 아이콘
이성계는 스스로가 왕을 죽이고, 왕이 되고 싶었던 그만큼의 권력욕이 있은 사람은 아닌 분 이지 않나요?
자신이 생각했던 정치적 동지들은 아들이 철퇴로 쳐죽이고, 나중에 알아도 화만 내지, 어쩌지도 못하고,아들들에 등 떠밀려서 왕 되었고,
왕 되어서는 도읍을 갖다 옮기고, 거기서 아들한테 뒤통수 맞고 유폐(?) 아니면 칩거(?)를 하고,
자기가 이뻐한 아들은 또 다른 아들이 처단하는 걸 눈으로 뻐끔뻐끔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어려서는 아버지에, 좀 커서는 왕에게, 나중에는 아들에 이용당한 전투력은 엄청 강했으나, 휘둘린 사람의 느낌입니다.
그래서 글 쓰신 분이 신하들 위에 군림했다고 하셔도, 왠지... 그것 조차도 버럭버럭 거리기만 했지,
신하들을 움직이지도 못하게 조정해 낸 냉철한 권력자의 느낌은 아니네요.
상계동 신선
17/05/13 01:43
수정 아이콘
그런 점에서 당태조 이연과도 닮은 점이 있지요.
23/02/15 14:14
수정 아이콘
아니요. 이성계는 당고조 이연과 다른 타입의 인물입니다만..
신불해
17/05/13 02:00
수정 아이콘
이성계가 이리저리 떠밀려 다녔다는 모습은 일종의 이미지에 가깝고, 본문에선 마지막에 가볍게 넘어가긴 했지만 아직 조선개국 이전 고려말 김저 사건 및 윤이-이초 사건 당시 추종자들을 이용해 폭풍처럼 정적들을 쳐내는 모습은 실로 교활한 정치가 그 자체입니다. 특히 무신들은 문자 그대로 이때 수두룩하게 죽어나갔구요. 나중에 이때의 일을 한번 다뤄서 글을 써보고 싶네요.


그런 여우같은 면과 더불어서 또 어떤면으로는 천진할 정도의 면모도 있는 이중적인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3/02/15 14: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는겁니까?
이성계는 실제로 권력욕이 엄청나고 황산대첩에서 승리한 후에 대풍가를 부르며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기를 바라는 야망을 품으며 살아온 사람이고 자기가 왕이 되고 싶어서 위화도 회군을 시작으로 정적들을 숙청하고 스스로 왕이 된 사람인데 무슨 아들들에게 등 떠밀려서 왕이 되었다고 지어내는 겁니까?

그리고 아들에게 이용당한적도 휘둘린적도 없는데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는건지?

이성계는 단지 버럭버럭 거리기만 한게 아니라
불만을 표하는 신하들에게 벌까지 내리면서 꼼짝못하게 하고
자기가 한번 밀어붙이고 싶은건 강하게 미는 자기주관이 강한
권력자입니다.

제대로 알고 말해주시기를 바랍니다.
뻐꾸기둘
17/05/13 02:37
수정 아이콘
이성계는 순수하게 본인의 의사에 따라 정도전을 비롯한 창업 동지들을 밀어 준 쪽에 가깝죠.

말씀하신 것처럼 정도전에 대한 불만을 본인의 힘만으로 눌러버렸다는데서 그 권력의 강력함을 유추할 수 있고요.
17/05/13 09:10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사악군
17/05/13 09:33
수정 아이콘
개국을 한 왕이 바지일리가 없으며 올타임 no1 무장후보에 오르는 이성계가 바지일 수가 없지요. 바지사장이란 말을 전문경영인을 쓰는 1.의 의미로 쓰는 경우는 별로 없지요. 별로 없다기보다 단어 사용이 틀린거고..
선동가
17/05/13 10:46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읽었습니다 필력도좋고잘보고갑니다
검은별
17/05/13 12:3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잘 모르던 내용이 많네요.
쌀이없어요
17/05/13 12:48
수정 아이콘
몰입해서 읽었어요
굉장히 글이 쉽게 읽히게 쓰시네요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05/13 13:34
수정 아이콘
문인들이 가진 병권은 언제든지 다시 가져올 수 있다라는 역대 최고의 장수로서의 자신감이 아닐까..
보통블빠
17/05/13 16:06
수정 아이콘
애초에 태조가 바지였으면 방원이가 왕자의 난을 눈치보면서 계획 안하고 대놓고 했겠지요 크크...
펠마리온
17/05/16 12:36
수정 아이콘
이성계 포스 대단하내요 하긴 왕조를 열었는데 정말 대단한 인물이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600 [일반] "백만이 죽건, 천만이 죽건, 오천만이 죽건 오늘도 계속 굴러간다." [50] 신불해16571 17/06/29 16571 58
72412 [일반] 도종환 의원과 하버드대 프로젝트 관련 문제에선 정정될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41] 신불해8646 17/06/15 8646 15
72329 [일반] 동북공정에 부역하는 식민사학자라고 욕먹은 한 서양 학자의 역사관 [36] 신불해12771 17/06/10 12771 68
72290 [일반] 정도전의 '공요론' 에 대한 색다른 주장 - 공요론은 '큰 이슈' 조차 못되는 일이었다? [14] 신불해6347 17/06/08 6347 15
72265 [일반] 어째서 역사학계는, 그토록 예민하게 경계하고 있는 걸까? [82] 신불해23441 17/06/07 23441 93
72261 [일반] 정부에서 내세운 '가야사 복원' 이야기에 비판적 시각이 많은 역사학계 상황 [183] 신불해16990 17/06/06 16990 42
72168 [일반] 고려 말 양백연의 이야기 - 어느 정치적 인물의 초상 [11] 신불해7743 17/05/31 7743 27
72002 [일반] 정몽주 "피눈물을 흘리며, 신이 하늘에 묻겠습니다." [36] 신불해15089 17/05/23 15089 89
71959 [일반] 고려 말 한반도를 유린한 왜구의 신출귀몰한 모습들 [54] 신불해18318 17/05/20 18318 43
71918 [일반] 주원장 "뭐? 사직 하고 싶다고" [6] 신불해11878 17/05/18 11878 9
71912 [일반] "윤허하지 아니하였다." [46] 신불해17510 17/05/18 17510 27
71767 [일반] 바지사장 태조 이성계? [17] 신불해11071 17/05/13 11071 23
71748 [일반] 어린 시절 로마 역사의 대략적인 면을 알게 해준 학습만화, '팔방이 로마 이야기' [20] 신불해11034 17/05/11 11034 2
71649 [일반] 청나라 황제 강희제의 '호기심 천국' [22] 신불해11230 17/05/03 11230 28
71646 [일반] 서초패왕 항우에 대해 고금의 시인들이 내린 평가 [14] 신불해11177 17/05/03 11177 2
71570 [일반] 상남자 루쉰 [10] 신불해9769 17/04/26 9769 17
71510 [일반] 주원장 "중국의 군주들이여! 다른 나라를 치지 마라. 의미 없다!" [38] 신불해13976 17/04/20 13976 20
71498 [일반] 이상이 밥 먹여주냐? 극도의 현실주의를 추구한 초한쟁패기의 '사상계' [9] 신불해8426 17/04/20 8426 18
71485 [일반] 명분? 개뿔이 그런게 무슨 필요 있어. 상남자 냄새나는 초한쟁패기의 패기 [33] 신불해11926 17/04/18 11926 21
71392 [일반] 18세기 유럽 지식인들의 대표적인 지적 경향 - 중국, 그리고 중국 황제의 '이상화' [9] 신불해10030 17/04/10 10030 18
71330 [일반] [WWE] 위대한 전설 언더테이커, 25년 넘게 바친 충성의 대가(데이터주의) [72] 신불해18697 17/04/03 18697 5
71293 [일반]  최전성기 청나라 역사상 가장 참혹한 최대의 참패 - 호톤노르 전투 [20] 신불해15884 17/03/31 15884 19
71275 [일반] 한국사 최강의 전투 부대 중 하나, 이성계의 사병 집단 [52] 신불해35285 17/03/30 35285 1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