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21 10:23
    
        	      
	 예전같으면 국뽕에 취하겠지만 요즘 생각해보면 나름 선진국에서 국민들 쥐어짜내면서 밀어주는데 6위밖에 못하냐는 생각이 듭니다..; 
 
	17/03/21 10:55
    
        	      
	 전기세 혜택을 부당이익거래로 봐서 외국에서 세금이었나 벌금 맞은적도 있지 않나요?
 
사실 전기 뿐 아니라 온갖 특혜를 받고있는게 맞죠. 
	17/03/21 19:01
    
        	      
	 그렇게 따지면 다른 기업들은... 삼성과 다른 기업들이 받는 특혜가 저 정도로 벌어지진 않을 거 같은데 말이죠. 
 
잘 하는 건 잘 하는 거죠. 
	17/03/21 11:12
    
        	      
	 다른 건 다 글로벌 기업 상표라 이해가 가는데 AT&T와 버라이즌, 중국공상은행은 자국내 영업만 하고 있는데 여기 들어갔다는게 좀 신기하네요.
 
특히 AT&T가 MS보다 높다는 것이요. 그리고 브랜드 가치 순위에서 코카콜라와 맥도날드가 빠진 것도 격세지감이네요. 
	17/03/21 12:00
    
        	      
	 삼성은 갤럭시 시리즈 성공이 굉장히 큰 몫을 한 것 같네요.
 
자동차는 예전에 망했고 반도체나 가전따위로 절대 범접할수 없는 위치까지 간것이 바로 갤럭시 때문.. LG는 그전 눙물만.. 
	17/03/21 13:54
    
        	      
	 최근이 아니라 삼성은 당연히 반도체가 레알이고 핵심이고 코어죠. 
 
근데 삼성보다 훨씬 유명한 AMD, intel이 저순위에 있나요? 없죠~ 무선사업부 수익이 대단하다는게 아니라 삼성 갤럭시 시리즈가 전세계적인 히트를 쳤기때문에 저 순위에 들어갈수 있었다고 봅니다. 
	17/03/21 13:58
    
        	      
	 amd, intel이 더 이상 없는 이유는 워크스테이션 로직이라서 그렇죠. i시리즈보다 엑시노스나 스냅드래곤 판매익이 얼마 차이나는지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물론 삼성전자 ds는 b2b 기반이고 갤럭시는 b2c니 말씀하신대로 일반 커스토머에게 이미지 재고에 있어 갤럭시는 지난 8여년간 꽤나 잘 해왔다는것엔 동의합니다. 
	17/03/21 13:08
    
        	      
	 상대적으로 덜 유명한 B2B기업은 없습니다. 예를들면 쉘이나 BP, 그리고 각종 투자은행들이 포함되어 있지않죠. 
 
영미권 내 인기순위에 가깝습니다. 페북많이 떨어졌네요.... 
	17/03/21 14:45
    
        	      
	 테슬라 등이 뜨면 LG순위 올라갈겁니다. 베터리 쪽에서는 최고거든요. 삼성이 반도체 휴대폰으로 주도하였다면 LG가 베터리 가전으로 다시 주도할 겁니다. 
 
	17/03/21 19:19
    
        	      
	 코카콜라는 27위네요.
 
토요타는 12위, 벤츠는 21위, 폭스바겐 41위, 맥도날드 16위, 나이키는 28위, 정유회사 로열더치쉘은 18위, 말보로는 26위고요. 10위 안에 들지 못해서 그렇지 50위 내에는 유명한 회사들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17/03/21 19:03
    
        	      
	 사실 이런 브랜드 가치는 사람들에게 친숙한 B2C 기업.. 더 좁히면 IT 계열 회사에 유리할 수밖에 없지 않나 싶어요. 나이키나 코카콜라도 없고, 위에서 언급된 정유회사 같은 회사들도 없구요. 
 
	17/03/21 20:44
    
        	      
	 사실 1등은 금융 공기업들이 되죠 이미 중국은 한개 올렸네요
 
우리나라도 순위 넣음 국민연금 산은 수은 kb등이 싹쓸이 할듯 추가 한전 포스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