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27 13:40:46
Name emonade
Subject [일반] The shining(1978)
어렸을 때부터 2명의 작가를 특히 좋아했습니다. 신필이라 불리는 김용과 공포 소설의 대가로 유명한 스티븐 킹입니다.
쉽게 읽히고 캐릭터는 얄팍하지만, 미스테리부터 에스컬레이터식 성장까지 다수의 캐릭터와 사건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서
한 번 시작하면 눈을 떼기가 어려운 김용의 소설들과 달리, 어린 시절의 제게 스티븐 킹의 소설은 진입장벽이 있는 편이었습니다.

처음 읽은 책이 'it'을 번역한 해적판인 '신들린 도시';;였는데, 대략적인 플롯만 간신히 이해하고 따라가면서도 글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광기어린 분위기가 저를 킹의 팬으로 만들었습니다. 이후에 번역되서 나온 그의 작품들은 다 읽기 시작했고,
국내에 발매된지는 조금 되었던 '닥터 슬립'을 읽기 위해 그 전작인 '샤이닝'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최근 눈이 많이 내려서 분위기도 잘 맞았던 것 같습니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 잭 니콜슨 주연의 영화로 유명하지만, 저는 그 영화를 본 적이 없어서..)

샤이닝의 이야기 구조는 간단합니다. 과거 몇 건의 살육극이 일어난 호텔이 있고, 절박한 사정을 가진 가족이
겨울의 폐쇄된 호텔을 관리하기 위해 들어옵니다. 하지만 그 호텔은 저주받았습니다!

아마 이런 줄거리를 가진 영화라면 시놉시스만 보고 관심도 갖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킹의 이야기 솜씨가 놀라운 것은
이런 단순한 플롯에서도 조금씩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어느 순간부터는 읽는 이조차 그 광기에 몰입하게 한다는 점입니다.
초반 몇가지 묘사를 통해 캐릭터의 성격을 보여주고 희미한 불안감을 조성하더니, 어느 순간 그 불안감들이 하나 둘씩 현실화되고
결말로 갈수록 파국이 시작되는 이 모든 사건을, 한 문장 안에서도 인물의 생각과 행동과 시제를 뒤틀고 깔아뒀던 복선을 명료하게 보여주는
특유의 글솜씨로 빠져나갈 수 없게 합니다.

등장인물은 간단하게 3명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다소 신경질적이고, 알콜 중독이었지만 큰 사건을 겪고 또 가족을 위해 술을 끊은 아버지 잭 토렌스,
잭과 아들을 사랑하지만 다시 술을 마시는게 아닐까 의심을 풀지 않는 어머니 웬디 토렌스,
그리고 '샤이닝'이라는 일종의 초능력을 가진 어린 아들 대니 토렌스.

물론 요리사 딕 할로란도 비중있는 인물이고, 배경이 되는 오버룩 호텔도 별도의 캐릭터로 보는 것이 맞겠지만,
가족이라는 특별한 구성에 있는 3명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작품의 주된 요소입니다.

3명의 가족이, 눈으로 둘러쌓인 저주받은 호텔에서 위기를 겪는 액션 모험 활극 '샤이닝'
이번 설 연휴에 강력 추천합니다.

-----------------------------------------------------------------------------------

1. 여담으로, 어제 샤이닝을 다 읽고 닥터 슬립을 시작했는데
초반부 전개가 마치 드래곤볼에서 트랭크스가 첫 등장할때를 떠올리게 해서..
이 사람 소설을 읽을 때 이렇게 깔깔대고 통쾌하게 읽은 적이 있었나 싶을정도로 웃었습니다.

2. 김용과 스티븐킹의 닮은 점이 있다면 자신의 작품 내에서의 연계성입니다.
김용은 잘 알려진 사조 3부작부터 천룡팔부, 소오강호등의 작품들도 나름의 연계를 가지고 있고,(하지만 처음 읽는 사람도 불편하지 않은)
스티븐킹은 대놓고 엮는 편이라서.. 읽다보면 반가울때도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anderthal
17/01/27 13:55
수정 아이콘
킹옹 오래 사셔야 할텐데...
17/01/27 13:58
수정 아이콘
닥터 슬립이 공식 후속작이라는데 아직 못 읽어봤네요 흑흑...
최신작 리바이벌은 엊그제 전자책으로 샀는데, 평이 꽤 좋길래 기대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쿠조도 전자책으로 나와줘서 아주 기분이 좋네요 호호호.
개미핥기
17/01/27 14:22
수정 아이콘
저는 스티븐 킹 소설은 '애완동물 공동묘지'만 보긴 했는데, 확실히 재밌더라구요. 분량이 엄청 많아서 이걸 언제 다 보지 하는데, 생각보다 금방 봤어요.
17/01/27 15: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티븐 킹 소설 중 가장 좋아합니다... 작품성으로 논하면 중간 정도에 끼이겠지만요 흐흐.
제리드
17/01/27 17:52
수정 아이콘
타고난 이야기꾼이죠. 킹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411 [일반] 박근혜게이트가 아니었으면 정국은 어떠했을까 [23] Gloomy9981 17/02/06 9981 2
70410 [일반] 전인범, 당신은 부하들의 죽음을 잊었습니까 [320] ZeroOne21812 17/02/06 21812 10
70409 [일반] 성폭행을 예고한 일베 회원이 검거되었습니다. [52] Gimni12016 17/02/06 12016 0
70408 [일반] 후쿠오카 식도락여행(1) [20] 유지애8801 17/02/06 8801 5
70407 [일반] 제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이유 (매우 개인적인 이유) [32] i_terran11906 17/02/06 11906 24
70406 [일반] 새박사 윤무부 박사 근황 [58] ZeroOne18719 17/02/06 18719 1
70405 [일반] "매직 아이" 보기 (3.3mb) [37] Rorschach7876 17/02/06 7876 3
70403 [일반] 선거 게시판 오픈 일정에 대한 운영진의 입장입니다 [12] OrBef6262 17/02/06 6262 16
70402 [일반] 자유 게시판 운영위원을 두 분 모셨습니다. [9] OrBef6515 17/02/06 6515 7
70401 [일반] [모난 조각] 3주차 주제 "신발끈, 심지" 마스터충달3953 17/02/05 3953 1
70400 [일반] 윈도우 10 무료 업그레이드 아직 가능하네요 [13] I.O.I8014 17/02/05 8014 2
70399 [일반] 서울촌놈이 보는 지방은? [75] 장난꾸러기13611 17/02/05 13611 7
70398 [일반] 200년전 사라졌던 그의 그림자가 어른 거리는 듯 [12] 블랙번 록8069 17/02/05 8069 7
70397 [일반] 어제 문재인 북콘서트가 있었습니다. [35] ZeroOne9645 17/02/05 9645 11
70396 [일반] 유승민 "트럼프도 4번 파산…청년이여, 창업하라" [206] 아라가키15666 17/02/05 15666 2
70395 [일반] [삼국지] 조조의 종묘 정원에서 제사를 지낸 공신들. [9] 靑龍5462 17/02/05 5462 0
70394 [일반] 신도림 테크노마트 방문 후기. [23] 아케르나르18078 17/02/05 18078 2
70393 [일반] 한 종편 패널의 말 [17] 블랙번 록8628 17/02/05 8628 4
70392 [일반] 상식이 결여된 광기의 천박함 [55] The xian11653 17/02/05 11653 20
70391 [일반] The Korean Zombie Is Back!!! [22] Neanderthal8043 17/02/05 8043 2
70390 [일반] 명왕이 금괴 많이 풀었나봐요. [43] 만우14341 17/02/05 14341 1
70389 [일반] 우주의 몬스터들 – R136a1 그리고 UY Scuti [8] Neanderthal9172 17/02/05 9172 8
70388 [일반] 미국 EU대사 후보 "소련처럼 유럽연합도 해체되어야" [29] aurelius9511 17/02/05 95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