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21 13:26:19
Name Zelazny
File #1 2016071414000074806_2.jpg (68.2 KB), Download : 50
Subject [일반] 부산행 '스크린X' 간단 감상기 (스포 없음)


CGV 에서 기사용으로 제공한 이미지 입니다.



스크린X는 CGV에서 개발, 보급 중인 기술로, 기존의 스크린에 맞닿은 좌우 벽면에 확장된 영상을 비추어 공간감을 극대화하는 방식 입니다. VR 등의 경험을 통해 충분히 설득력 있는 기술이라는 생각이 들어 호감이 있었는데 '부산행'에서 처음으로 '체험'을 해보았습니다.

전체적인 감상은 '아직은 아니다' 였습니다. 분명 몇몇 빛나는 장면들이 있습니다. 좀비떼가 갑자기 달려드는 장면이 진저리지치게 실감난다거나 폐허가 된 기차역을 원경으로 잡는 장면의 스펙타클이라던가. 그런데 그런 몇 초씩의 경이감을 위해 희생하는게 많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스크린X'로 전환될 때의 위화감 입니다. 시야가 극적으로 바뀌는데다 극장 안이 너무 밝아 집니다. 갑자기 주위 관객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부산행'은 낮씬이 많아서 더 심했을 것 같습니다. 또 전환이 너무 잦아요. '스크린X'로 처리된 부분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너무 자주 들어왔다 나가서 피로할 지경입니다.

그리고 기술의 한계인지 상영관의 문제인지 모르겠는데, 저 기사 사진이나 몇몇 블로거들이 공개한 이미지들과는 달리 저렇게 이음매가 매끈하지가 않습니다. 이어지는 부분이 약간씩 어긋나 보입니다. 물리적으로 큰 차이는 아닐지 몰라도 몰입감을 방해하는 데에는 치명적입니다. 이 문제는 제가 방문한 극장의 시설 문제일 수 있겠고 이 부분은 앞으로 정보 공유가 이뤄지면 분명해지겠지만- 그렇더라도 애초에 극장에 따라 이 만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 자체가 문제입니다.

보면서, 충분히 매력적인 기술이지만 아직은 설익었다는 느낌이 들었고, 이 정도 단계에서 이만큼의 추가비용을 받고 상영하는게 정당한가에 대해 다소 회의감도 들었습니다. 아무튼 경험상 보러 가는 것 말고는 비추 입니다. 부산행을 보고 싶으시다면 그냥 스크린 큰데 가서 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16/07/21 13:31
수정 아이콘
좀 뜬금없는 댓글이리라 생각되지만..
뷰잉 이벤트같은거 할 때, 스크린에 맞게 찍어서 쏴주면 볼만하겠네요.
영원한초보
16/07/21 13:35
수정 아이콘
VR이 완벽해지면 극장이 종말을 맞을까요?(정확히 종말은 아니겠지만요)
16/07/21 13:53
수정 아이콘
혹시 어느 영화관인가요?
강남 cgv에서 도전예정인데요
16/07/21 14:00
수정 아이콘
송파 입니다.
16/07/21 13:58
수정 아이콘
검은사제들을 포항에서 screenX로 봤는데
그땐 벽에는 스크린이 없어서 그냥 프로젝터만 2개 더 설치해서 우둘투둘한 방음벽에 쏴주더라고요;
그래도 없는 것보단 낫긴하던데 좀 실망했었어요.
16/07/21 14:01
수정 아이콘
스크린은 원래 다 없을 겁니다. 제가 본 데는 프로젝터가 양쪽에 각각 3개씩 추가로 달려 있더라구요.
16/07/21 14:16
수정 아이콘
저 위 사진을 포함한 광고 사진들은 전부 스크린에 쏴주길래
원래는 다 스크린에 쏴주는데 포항이라 없는건가라고 생각했었네요;
원래 다 없는거면 저거 과장광고 아닌가요 ㅠㅠ
빵pro점쟁이
16/07/21 14:50
수정 아이콘
히말라야 판교에서 봤었는데
잠깐 잠깐씩만 나오는데다
중요한 화면은 센터에서만 뜨고
사이드는 의미없거나 설원 배경만 뜨더라고요
게다가 한눈에도 잘 안들어오고요
굳이 이걸;;; 이란 느낌이었는데
본문처럼 좀비가 서라운드로 덮치는 식이라면
대박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보드타고싶다
16/07/21 23:51
수정 아이콘
히말라야 cgv에서봤는데.. 벽질감과 굴곡이 그대로 느껴지던데요.
제가본영화관이 이상한즐알았는데 진짜 벽에다 쏘나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10 [일반] <일상생각> 죄책감의 소비 [19] Timeless3995 16/07/27 3995 5
66609 [일반] [야구] 양상문 감독을 위한 변명 [25] 이홍기6238 16/07/27 6238 2
66608 [일반] 주식 전업투자자 입니다. 주식투자로 돈 벌기 쉽지 않습니다. [120] 오딘30671 16/07/27 30671 19
66607 [일반] 미모가 폭발한 이수민 [20] 피로사회12266 16/07/26 12266 2
66606 [일반] 마지막 정리. [80] 상여선인11551 16/07/27 11551 25
66605 [일반] [해외축구] BBC 여름이적시장 가쉽, [29] V.serum4946 16/07/27 4946 0
66604 [일반] 정의당의 되새김질? 무한동력? 순환출자? [102] 오카리나8540 16/07/26 8540 0
66603 [일반] 2016년 KBO 저평가 그 자체인 투수 [22] 길갈7060 16/07/26 7060 1
66602 [일반] 식당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서비스? [35] 성동구5959 16/07/26 5959 1
66601 [일반] . [7] 삭제됨4342 16/07/26 4342 2
66600 [일반] 오늘도 카카오대리를 이용하는 이유 [16] 동해원짬뽕밥7040 16/07/26 7040 1
66599 [일반] [프로야구] 엘지트윈스 양상문감독의 마법의 단어 '리빌딩' [47] 삭제됨7627 16/07/26 7627 0
66598 [일반] [WWE/스포주의] 레알못의 배틀그라운드 후기 [24] 피아니시모3462 16/07/26 3462 0
66597 [일반] [페미니즘]'접혔던 종이' 이론(확실하지 않음) [55] 불타는밀밭5241 16/07/26 5241 5
66595 [일반] 이진욱씨 고소인이 무고혐의에 대해 인정했습니다. [35] Ahri9728 16/07/26 9728 7
66594 [일반] 10년전으로 타입슬립할 당신을 위한 8천원으로 122억 벌기 [54] 예루리7637 16/07/26 7637 7
66593 [일반] 양성평등은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한것일까? [85] 다빈치5395 16/07/26 5395 3
66592 [일반] 지난 4년간 KOSPI 200에 투자했을 경우 기대 수익은 얼마나 될까 [27] 예루리6706 16/07/26 6706 1
66591 [일반] 엄지와 검지로 원을 만들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펴면?... [23] Neanderthal11237 16/07/26 11237 0
66590 [일반] 싸우지마!! 싸우지 말고 XX해!! [34] 세인트8441 16/07/26 8441 2
66589 [일반] [야구] KBO 승부조작 은폐시도 [45] 이홍기8947 16/07/26 8947 0
66588 [일반] 글쟁이로서 평생 한번 있기 힘들 아주 사소한 일과 감사 [14] 좋아요5170 16/07/26 5170 4
66587 [일반] 악동뮤지션 스페이스공감 공연 영상 모음. [11] 홍승식4605 16/07/26 460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