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25 14:03:52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6.25를 맞이하여 쓰는 저희 친가 6.25때 이야기.
이 글을 쭉 생각하고 있었는데
오늘 밖에 시간이 없어서 벼르고 있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오늘이 육이오~)
근데 다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별거 아닌 이야기입니다.

서론은 요쯤에서 줄이고 바로 시작할게요~

1. 할아버지

6.25 당시 살던 곳이 용인이었습니다.
전쟁발발 3일만에 서울이 점령당했는데 용인이라고 무사할리 없죠~
서울에 살았어서 한강다리 건너서 피난가는 입장이었다면 덜덜덜 했겠지만
그렇진 않았고요... 그냥 고향에 있기로 결정합니다.
이유는 딴건 없고,,,
일단 자기 땅에서 농사짓는 농사꾼이셨고,,,
전쟁이 누가 이길지도 모르는 일이었기에 일단 자리 지키면서 주변 눈치 좀 살폈죠..

북한인민군이 마을에 들어오고,,
마을 사람들 모아다가 공산주의 사회의 우수성을 설파하면서
점점 주민들은 동화되어가던 즈음...
주민들 중에 무슨 반장, 어떤 반장 등등
사회주의 사회의 행정체계에 맞는 직함을 임명했었죠~

저희 할아버지는 그냥 공산주의에 동화되는 듯 안되는 듯
전략적으로 어영부영 하였고,,, 결국 그 무슨 장 자리는 안맡았습니다...

결국 그해 후반기 국군이 다시 수도를 회복했고,,
그 마을도 다시 들어와서 해방시켰고,,,
그 무슨 장자리 차지하던 사람들은.......(아마도 끔살...)

결국 할아버지의 선택 덕에 생명과 재산은 지킨 셈이죠...
할머니가 살아 생전 할아버지를 웬수처럼 여겼는데
이 시기 이 공로만큼은 인정하셨음....

2. 첫째 큰 아버지

그 당시 나이가 18세 정도 되었습니다.
전쟁 발발하자 곧 징집이 되셨는데
그게 바로 국민방위군!!!

이건 뭐 군복도 안주고 총도 안주고 훈련도 안시키고
가장 중요한 밥도 안주는데 군인이래...
근데 군인이니깐 명령을 받는데 오늘은 저기서 모이라고 명령떨어지고,
다음에는 저기소 모이라고 명령떨어지고...등등

그렇게 전국일주를 쫄쫄 굶어가며 하셨죠~

그 국민방위군 땜에 팀킬 당하신 분들도 많으신데
큰 아버지는 용케도 살아오셨습니다...

3. 둘째 큰 아버지

그 당시 나이가 10세 정도였습니다.
동네에 하나뿐인 라디오에서 북괴놈이 새벽에 기습공격해서 내려오고 있다고
보도가 되자마자 큰 아버지께서는 만세를 부르셨답니다..

학교 안가도 되고 숙제 안해도 된다고.....ㅡㅡ

그 지역에 주둔군이 많이 바뀐 편인데
북한군 주둔할 때도 거기 숙영지에서 놀고,
국군 주둔할 때도 거기 숙영지에서 놀고,,
다른 외국군 유엔군이든 중공군이든 주둔했을 때도
군부대 숙영지를 돌아다니며 노셨답니다...

뭐 애들 가지고 해코지하는 군은 없었던듯 합니다...

4. 아버지

전쟁나던해 11월에 태어나셨는데
하마터면 버려질 뻔도 하시고....ㅠㅠ
방공호로 피하는데 걸리적 거리셔서...
근데 마침 앞에 가던 신혼부부가 아기 버리고 먼저
달려나가다 폭격에 맞는걸 보시고는 할머니께서
저희 아버지를 더 챙기시게 되었죠...

그렇게 시간이 지난 후 중공군이 몰려올 때였죠..
그 마을도 점령당했고 중공군이 민가를 뒤졌었죠..
마침 중공군이 저희 친가를 털고(?) 있었고,,
저희 가족은 모두 허겁지겁 헛간으로 숨어들어갔었습니다..
나머지 가족들은 다 통제가 되는 사람들인데
돌쟁이 우리 아버지는 그렇진 않았죠...
마침 그 돌쟁이가 깨어있었는데
다행히도.....
중공군이 나갈 때까지 조용히 가만있어주는 큰 활약을 하십니다 ㅡ.,ㅡb

나중에 집을 확인해보니 별거 없었고,,
부엌에 먹거리가 없어졌었다고....
이름 모를 중공군 누군가 원샷한 참기름병이 나뒹굴.....

/////

써놓고 보니 별거 없긴하네요...
그래도 별 피해없이 무사히 그 전쟁통을 보낸게 참 다행이구요..
그 덕에 제가 피쟐에 글을 쓰지 않겠습니까??크크

나라를 지키다 돌아가신 분들께 묵념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분해매니아
16/06/25 14:17
수정 아이콘
참기름 한병 원샷하면 폭풍 설사 나올 것 같은데 아닌가요?
표절작곡가
16/06/25 14:30
수정 아이콘
저희 할머니가 몰래 문틈으로 봤는데
중공군 한놈이 원샷하더랍니다..

걔네 기름 많이 먹는 애들이란걸 감안하면..
재간둥이
16/06/25 14:19
수정 아이콘
당시에 참상은 영화로 보여지는 모습보다 더욱 잔혹했겠죠? ㅠㅠ 상상도 안되네요.
저희 할아버지께서는 피난가시던중에 여자 인민군에게 잡혀서 인민군으로 끌려갈뻔하셨는데 기지를 발휘하셔서 도망하셨다고 하네요. 그랬음 할아버지께서는 지금과는 매우 다른 삶을 사셨을 거란 생각하면 아찔해요.
16/06/25 18:59
수정 아이콘
제 할아버지 할머니께서는 살고계신 곳이 전략적으로 별로 필요가 없는 곳이었는지 그냥 인민군들이 지나갔다고 하더라구요
전쟁이 뭐여? 이런 느낌이었다고 들었었네요
Knights of Pen and Paper
16/06/25 19:41
수정 아이콘
저희 처가도 그랬다고 합니다;;;
Deadpool
16/06/25 21:46
수정 아이콘
저희할머니는 태백이셨는데 전쟁이 터졌을 때 거동이 좀 불편하셨던 할머니의 할머니와 함께 집에 남고
다른 가족들은 전부 피난을 가셔서 홀로 할머니의 할머니를 챙기시면서 시골에서 계속 지내셨다고 하더군요.
마을 한가운데에 효수된 뒤 매달린 시체의 머리들을 보신 것도 얘기해주셨습니다.
당시 10대 초중반의 나이였을껀데 겁도 많이 나고 그래셨데요.

할아버지는 할머니보다 연상이신데 전국 최초로 자발적 학도병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후에 삼척 무장공비작전때 예비군 중대장이셨는데 공을 세우셔서 대통령 표창장도 수여하셨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289 [일반] 방산비리 군인의 80%가 석방되었습니다. [44] 밴크9055 16/07/11 9055 3
66000 [일반] 군인들의 품위유지? [51] 성동구8435 16/06/27 8435 0
65954 [일반] 6.25를 맞이하여 쓰는 저희 친가 6.25때 이야기. [6] 표절작곡가4076 16/06/25 4076 7
65919 [일반] 스타벅스 군인 우대 논란-사실상 논란이 될 이유도 없는 그런 일. [88] 홉스로크루소9832 16/06/23 9832 10
65822 [일반] 5만원의 추억 [30] Eternity8530 16/06/19 8530 188
65800 [일반] 하늘에서 개구리 비가 내린다...진짜로... [27] Neanderthal12574 16/06/17 12574 5
65643 [일반] 군문제와 20대 남성의 경쟁력에 대한 생각 [91] aurelius9663 16/06/09 9663 21
65436 [일반] 반기문의 무능을 실토한 외신들 [44] 달과별24411 16/05/28 24411 31
64897 [일반] JTBC 대기실보면 아이오아이 예능감은 많이 아쉽네요 [78] naruto05110222 16/04/28 10222 0
64886 [일반] [단편] 소실점(消失點) : 인류가 멸망한 순간 [22] 마스터충달5885 16/04/28 5885 41
64859 [일반] 시빌 워 - 미국 남북전쟁 (끝) [27] 눈시7505 16/04/27 7505 24
64858 [일반] 캡틴 아메리카3 시빌워 - 초인등록법안 앞에 선 영웅들(찬성편 : 아이언맨 사이드) [13] 빵pro점쟁이6048 16/04/27 6048 1
64765 [일반] 기생충 이야기 [5] 모모스20138031 16/04/22 8031 9
64710 [일반] 오늘은 56주년 4.19혁명기념일 입니다. [38] 여자친구9495 16/04/19 9495 68
64645 [일반] 복수는 나의 것! 과거사와 음모론에 빠져버린 공화국 1 [1] santacroce5654 16/04/16 5654 7
64611 [일반] [스포] 400번의 구타 [3] 王天君5618 16/04/14 5618 4
64609 [일반] 최고의 반전극장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 이치죠 호타루14950 16/04/14 14950 8
64543 [일반] 남미를 뒤흔든 어떤 전쟁 이야기: 루쏘에서 니체의 여동생까지 [16] santacroce8094 16/04/10 8094 29
64533 [일반] 바운티 호의 반란과 뒷 이야기...문명의 의미 [15] santacroce8143 16/04/09 8143 41
64383 [일반] (군생활 주저리) 혹시 특이한 군대 경험을 갖고 계신 분들 있나요? [162] Janzisuka22510 16/03/31 22510 0
64142 [일반] [역사] 1844년, 네덜란드 국왕이 일본 쇼군에게 보낸 친서 [9] aurelius7085 16/03/17 7085 6
64093 [일반] '귀향'을 본 소감 (스포 有) [6] 블루투스4540 16/03/14 4540 5
64041 [일반] 브라질의 어두운 과거 이야기 [12] santacroce5953 16/03/12 5953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