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07 23:30:05
Name 비타에듀
Subject [일반] 독일 분데스리가 50+1규정과 예외 클럽에 관하여..
50+1 규정.

- 개인 또는 단체가 구단의 49%이상의 지분들 가지지 못하게 하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규정
- 단 개인 또는 단체가 해당 구단에 20년 이상 전폭적인 지원을 한것이 인정될 경우 예외적으로 50+1규정에서 벗어날 수 있음.

그러니까 한마디로 EPL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만수르가 맨시티 인수할당시 바로 인수가 아니라 20년 이상 맨시티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하고 그것이 FA에게 인정을 받았을 경우에 비로소 맨시티를 인수할수 있게 되는거죠..;

예외 클럽

1) 바이엘 04 레버쿠젠
2) VfL 볼프스부르크

- 바이엘사가 소유하고 있는 "바이엘 04 레버쿠젠"은 구단 창설 부터 50+1규정이 생기기전까지 20년 이상 전폭적인 지원을 해왔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단 50+1 규정이 생기기전에 바이엘사는 "바이엘 05 위르딩겐"이라는 또 하나의 분데스리가 클럽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독일축구협회는 당시 바이엘사에게 두 개 구단중 한 개만 선택할것을 요구하여  바이엘사는 위르딩겐을 포기하고 레버쿠젠을 선택하게 됩니다.

-  폭스바겐사가 소유 하고 있는"VfL 볼프스부르크"는 태생자체가 폭스바겐사의 사내 조기축구회 수준이었고 50+1규정 창설당시에는 아마추어리그소속이라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갑자기 프로로 승격하고 1부리그 우승을 할것이라고 생각을 못했기 때문에...;; 그런데 독일 현지에선 폭스바겐 등에 업고 돈XX한다고 자주 까이는 클럽이기도 하죠. 전통적인 명문팀만 있는 분데스리가에서 따지고보면 폭스바겐 등에 업은 신흥강호 같은 팀이라...

3) TSG 1899 호펜하임

- 세계적인 소프트기업 SAP의 회장인 디트마르 호프가 금의환향하여 고향팀에 1989년부터 전폭적인 투자합니다. 8부리그 소속의 조기축구회팀 수준이었던 호펜하임을 20년뒤인 2008/09시즌 1부리그로 승격시켰고 위에 나와있는 20년 이상 전폭적인 지원을 했기때문에 50+1규정에서 벗어나게 되었죠.

4) FC 잉골슈타트 04

- 2004년 바이에른 주의 잉골슈타트에 있던 ESV 잉골슈타트와 MTV 잉골슈타트가 재정난으로 파산하자 잉골슈타트에 위치해 있는 자동차 회사 "아우디"사가 두 클럽을 인수해 FC 잉골슈타트 04 라는 이름으로 재창단하며 우선 50+1규정에서 벗어나는것을 독일 축구협회가 인정합니다. 20년 이상 후원.. 같은건 아지만 우선 지역팀을 살리는게 우선이었기 때문에...

이후 2015/16시즌 1부리그로 승격. 단, 노골적으로 아우디사가 잉골슈타트에 돈을 쏟아붓지 않고 어느정도 운영이 될 정도로만 지원을 하는데다 같은 바이에른 주에 소속되어있는 "FC 바이에른 뮌헨"에 오히려 더 많은 스폰 비용을 지불하고 있어 욕을 먹지 않죠. 애초에 아우디가 원해서 만들어진 구단도 아니고...

5) 하노버 96

- 역시 20년 이상 전폭적인 지원을 인정받아 2016/17시즌 부터 50+1규정에서 벗어나게 되었지만.. 전 시즌 2부리그로 강등되어 50+1규정에서 벗어나게 되었는데도 2부리그에서 시작할수 밖에 됩니다.

그 외:  50+1규정에서 명목상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벗어난 클럽 "RB 라이프치히"

- 레드 불에서 2009년 라이프치히에 있는 SSV마르크란슈테트를 인수하여 재창단하였고 이후 레드 불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결국 2016/17시즌 분데스리가 승격 확정되었습니다. 단 레드 불은 RB 라이프치히의 지분 49%만 소유하고 있는데 어차피 나머지 51%야 레드불 말 듣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사실상 레드 불 소유죠.. 레드 불이 제대로 돈XX을 할것이 예고되어 반기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싫어하는 사람도 있고.. 이 구단에 대한 여론은 거의 반반수준입니다. RB라이프치히에서는 대놓고 현질은 안한다고 하는데 그걸 믿는 사람은 거의 없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덕선생
16/06/07 23:43
수정 아이콘
볼프스부르크를 돈질한다고 독일 내에서 비판한다지만 사실 웃긴거죠.

요즘 EPL발 이적료 거품탓에 합리적인 영입(?)을 한다는 말도 듣습니다만 원조 분노의 영입, 바이에른 뮌헨이 있는데... 루카토니, 클로제, 제 호베르투, 리베리를 한방에 영입하던건 그러면 착한 돈질(...)이라고 보는걸까요.

독일인들은 어떻게 받아들일지 모르겠습니다만 축알못 입장에선 저 시스템은 가난한팀은 그냥 그대로 있어냐한다고 느껴집니다.
비타에듀
16/06/07 23:47
수정 아이콘
근데 그게.. 독일 현지 팬들은 50+1규정에 반대하는데 협회가 강하게 지지하는거면 모를까 저 규정은 독일 현지에서 서포터들 상당수가 저 규칙을 지지하는지라.. 해외에서 분데스리가 보는 우리가 그걸 깨라마라 하기가 좀 그렇긴 하죠..;;
최종병기캐리어
16/06/07 23:54
수정 아이콘
바잉에른 뮌헨은 '쟤네는 원래 저런 애들이니까...'라는 기저심리가 깔려 있다보니...
캬옹쉬바나
16/06/07 23:59
수정 아이콘
저 시스템을 깨면 일단 티켓 가격부터가 엄청 올라갈 겁니다. 어마어마한 돈 지랄을 메꾸는 데 가장 확실한 방법은 충성도 높은 팬들을 통한 회수거든요...그래서 EPL 구단들 티켓이 다른 리그에 비해 엄청 비싸죠... 물론 맨시티는 제외합니다...
네이버후드
16/06/08 01:19
수정 아이콘
EPL 의 다른 리그에 비해서 티켓이 비싼거는 돈지랄을 메꾸기 위해 비싼게 아니고, 그냥 원래 물가 자체가 비싼 동네입니다.
세계에서 가장비싸다는 영국이니깐요. 요즘에 티켓값이 비싸지는 것은 경기장을 새로 짓는 팀들이 많아지면서 그 부분에 대한 보상으로 많아지는 것이지요.
EPL의 돈지랄을 할 수 있는 이유는 티켓이 아니라 타 리그에 비해서 인기가 엄청나게 높고 그것때문에 중계권료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배분이 잘 되고 있기 때문인거죠
16/06/08 03:03
수정 아이콘
이게 결국에는 분데스리가 내 "자본"을 우위로 독주하는 구단을 없게 하는 것이 골자인데,
"현재"만 놓고 봤을 때 이게 정말 좋은건지 나쁜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자본"을 골자로 달리는 경쟁팀이 이제는 "리그내"가 아니라 "UEFA내 팀"이 되어버린지 오래이고,
UEFA 리그 랭킹에서 분데스리가가 TOP3 안에 들어온 것이 비교적 최근인 07-08시즌 부터이기에(그 이전에는 세리에아에 밀려 4위),
즉, 저 조치가 분데스리가의 질적상승(당연히 돈이 제한되니 양적상승은 버거울테고..)을 이끌어냈느냐? 는 다른 문제인 것 같습니다.

모든 구단들이 저렴한 티켓가격을 유지 & 전세계 TOP급의 관중동원률을 자랑하며 & 리그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
지금의 이 조치가 세가지 좋은 상황을 모두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 득이 될지 실이 될지 잘 모르겠네요.

자본의 논리를 따르자면, 이전이었다면 중소클럽의 에이스는 바이에른 뮌헨으로 가거나 팀에 남았겠지만,
이제는 EPL의 중상위권 구단으로도 갈 수 있는 상황이니까요.
그 공백을 유망주 + 리그 경쟁력을 바탕에 둔 감독 역량으로 언제까지 메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회에서 소득의 격차보다 자본에 의한 부익부 빈익빈의 격차가 더욱 심해지듯,
축구클럽에서도 자본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듯 한데, 이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FPP로는 막을 수 없을 듯 합니다..
MUFC_LukeShaw
16/06/08 08:42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16/06/08 12:27
수정 아이콘
엄청 재밌는 글 이네요.
잘 봤습니다.
써니지
16/06/08 12:56
수정 아이콘
소프트기업이 뭔가요? 소프트웨어 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646 [일반] 밑에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with TED talk 설명글 [9] 모모스20138772 16/06/09 8772 4
65645 [일반]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with TED talk [9] 초식성육식동물 4802 16/06/09 4802 2
65644 [일반] 가온차트 5월 걸그룹 앨범판매량...I.O.I 6만장 육박, 트와이스 11만 돌파 [53] pioren6622 16/06/09 6622 0
65643 [일반] 군문제와 20대 남성의 경쟁력에 대한 생각 [91] aurelius10307 16/06/09 10307 21
65642 [일반] [나인뮤지스] 이유애린, 민하 탈퇴 [63] 유나8855 16/06/08 8855 1
65641 [일반] 신뢰의 리더십 박근혜 [67] 어강됴리15075 16/06/09 15075 27
65639 [일반] 미국의 '성별에 따른 교육 현황' [43] OrBef11304 16/06/09 11304 16
65638 [일반] [시] 어느 30대 취준생의 하루 [57] 마스터충달10074 16/06/08 10074 22
65637 [일반] [방송] 어서옵쇼 생방4회 + 본방 까지의 후기.. [23] 솔마6072 16/06/08 6072 1
65636 [일반] 아가씨 다르게 보기 - 죄, 그리고 죄값. [6] 유유히6019 16/06/08 6019 0
65635 [일반] [축구] 2016 시즌 MLS 지정선수 연봉.TXT [8] 비타에듀5722 16/06/08 5722 0
65634 [일반] 최근 남초사이트 걸그룹 인기투표 [72] 달라이라마14469 16/06/08 14469 2
65633 [일반] YG 새 걸그룹과 7과의 관계 [37] 삭제됨7328 16/06/08 7328 3
65632 [일반] 지난 5년간 걸그룹 가온 연간 앨범차트 TOP 5 [18] pioren6501 16/06/08 6501 0
65631 [일반] [펌]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우에노 치즈코 초청 특별 강연 [110] 죽엽11772 16/06/08 11772 2
65630 [일반] 메피아, 박 시장의 대처와 2013년의 경고 [68] 쇼미더머니9423 16/06/08 9423 4
65628 [일반] 한화의 연승, 그리고 불펜진의 과부하 [145] 제르12464 16/06/08 12464 4
65627 [일반] 워크래프트 (2016) - IMAX 3D 시사회 후기 [43] 리니시아10160 16/06/08 10160 10
65626 [일반] 초록색, 빨간색, 그리고 파란색... [37] Neanderthal6001 16/06/08 6001 9
65625 [일반] [프로듀스101] 이해인, 이수현양 소식입니다. [58] LiXiangfei8953 16/06/08 8953 5
65624 [일반] 30대 여성이 노인을 마구 폭행했네요. [120] 릴리스13723 16/06/08 13723 4
65623 [일반] 연애는 어렵다.. 여자는 어렵다... [7] BlueSKY--10020 16/06/08 10020 25
65622 [일반] 독일 분데스리가 50+1규정과 예외 클럽에 관하여.. [9] 비타에듀9719 16/06/07 971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