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2/05 11:14:13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15세기 르네상스가 음악에 기여한 점

우리가 보통 기독교 성가 하면 당장 떠올리는 게 오간의 멜로디를 배경으로 해서 소프라노와 테너 그리고 베이스가 합창하는 모습입니다. 중세를 배경으로 한 게임이나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멜로디이죠. 오간 연주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여성과 남성의 합창은 거의 반드시 등장합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음악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것입니다. 

 

사실 중세의 성가는 무반주로 오직 남성의 목소리에 의존했었습니다.

 

이를 두고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하죠. 

 

<그레고리안 성가>의 특징은 남성 수도승들이 장엄한 목소리로 신을 찬미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중세 기독교 세계관에서 여성은 불완전한 존재였기 때문에 찬송가를 부를 수 없었고, 그리고 음악은 불결한 것이었기 때문에 찬송가를 장식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날의 이슬람교와 굉장히 유사하죠. 

 

백문이 불여일견

 

한 번 들어보도록 하죠.

 

 

중세내내 이것이 스탠다드였지만, 15세기에 들어서 엄청난 파격을 선보인 이가 있었습니다.

 

Josquin Des prez라는 인물입니다.

 

josquin-des-prez-2-sized.jpg

 

프랑스 출신인 그는 이탈리아에서 음악을 배웠고, 당시 번지고 있었던 인문주의 사상에 매료되, 다양한 파격적인 기법을 선보입니다.

 

먼저, 음악에 여성을 참여시켰습니다.

 

이는 남성이 독점하고 있었던 음악계에 큰 충격을안겨다주었습니다. 리고 더욱 충격적이게도 당시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악기를 미사 연주에 사용했습니다. 

 

그의 지휘 아래 단성(하나의 목소리)의 음악은 곧 다성(여러 목소리 - 엘토, 소프라노, 베이스 등)음악으로 발전했고, 2성, 3성을 넘어 심지어 6성까지 확대하기도 했습니다.

 

불행중 다행으로 당시 가톨릭 교회의 교황은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었고, 오히려 지원을 하는 성향의 인물이었고, 이에 그는 교황합창단의 일원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가 작곡한 곡을 한 번 들어볼까요?

 

<아베 마리아>

https://www.youtube.com/embed/LUAgAF4Khmg%22%20frameborder=%220%22%20allowfullscreen%3E%3C/iframe%3E"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 none;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vertical-align: base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line-height: normal;">

 

Josquin Des Prez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후학들이 없었다면 이러한 트렌드는 이어지지 못했을 수도 있었습니다.

 

교황청의 보수적인 성직자들은 다성음악을 신성모독으로 간주했고, 끊임없이 다성음악을 금지하고자 노력했기 때문입니다.

 

전임자의 명성을 훨씬 뛰어넘는 괴수가 등장합니다.

 

그의 이름은 Giovanni da Palestrina

 

25625-2.jpg'> 

 

이탈리아 태생인 그는 일찍이 음악에 두각을 나타냈고, 그의 고향인 팔레스트리나의 주교는 그를 로마에 적극적으로 추천했습니다.

 

로마에 도착한 그는 수많은 미사곡을 작곡했고, 결국 교황의 눈에도 띄게 되어 성베드로성당의 공식 음악가로 뽑혔습니다.

 

그는 Josquin Des Prez에 이어 더 파격적인 다성음악을 선보였습니다.

 

단조로운 멜로디를 뛰어넘어 다양한 기교를 도입했고, 그리고 악기도 전례없는 수준으로 사용했습니다.

 

일부 주교들은 그를 신성모독으로 비난했었지만, 당시 교황은 아무래도 그가 마음에 들었던 모양입니다.

 

그는 왕성한 활동을 했고, 수많은 미사곡을 작곡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보수파들의 반발에 못이겨서인지 교황은 그를 성베드로대성당에서 쫓아냈고... 대신 성 라테란 대성당의 책임자로 임명했습니다.

 

그런데 아이고! 성 레테란 대성당은 베드로대성당 다음 가는 최고 명성의 교회였습니다. 아무래도 교황은 그를 완전히 내치고 싶어하진 않았던 모양입니다.

 

팔레스트리나의 지휘 아래 수많은 명곡들이 탄생했고, 그가 도입한 다성음악과 현란한 기교는 후대까지 이어져 유럽의 음악이 풍성해지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팔레스트리나의 명곡들을 한 번 감상해보시죠.

 

Missarum Liber Primus

 

 

https://www.youtube.com/embed/sJ4i83OdsqI%22%20frameborder=%220%22%20allowfullscreen%3E%3C/iframe%3E"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 none;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vertical-align: baseline; font-size: 13px; font-family: 'Malgun Gothic';">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05 12:18
수정 아이콘
정말 흥미롭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몽키매직
16/02/05 12:45
수정 아이콘
초기 그레고리안 성가는 남성 2부에 멜로디는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 5도 간격으로 진행해서 현대 음악에 익숙하신 분들이 들으면 으스스한 느낌이 드실 겁니다. 바로크 시대 (17세기말~18세기초) 에 가야 3화음 및 7화음이 정리가 되어서 좀 익숙한 느낌이 날 겁니다.

위에 언급된 조스깽 데 프레가 성악에 여성을 참여시키는 노력을 했지만, 실제로 교회음악에 여성이 참여하는 건 여전히 정착되지 않았습니다. 이보다 후세기 사람인 바흐 (17~18세기) 도 여성을 성가대에 정말 넣고 싶어했다죠. 그래서 4성부 음악은 여러 가지 세팅이 있었지만 여성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직전에는 보이 소프라노, 카운터-테너 (알토역할), 테너, 베이스의 구성을 갖추고 있었고, 요즘에도 고증(?) 을 위해 이렇게 구성을 하는 합창단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8UjjwzJBFE
이런 식? (이건 알토 파트까지 변성기 안 지난 소년들이 합니다)
파르티타
16/02/05 22:5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표절작곡가
16/02/05 23:41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제가 배워갑니다....
할러퀸
16/02/06 16:01
수정 아이콘
다성구조로 바뀌고 화음도 추가되어 확실히 더 풍성하고 다채로운 느낌도 들지만 '성가'의 기본적인 이미지는 유지하고 간다는 게 너무 신비해요~
-안군-
16/02/06 21:45
수정 아이콘
팔레스트리나야말로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이자, 이후 시대의 클래식 전성기를 여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 작곡가죠!! 바흐가 음악의 아버지라면, 팔레스트리나는 할아버지쯤 된다고 봅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635 [일반] 걸그룹 포켓몬론 : 레인보우와 플라이곤 [9] 좋아요6809 16/02/20 6809 2
63634 [일반] [노스포] 스포트라이트 보고 왔습니다. [4] 王天君3227 16/02/20 3227 5
63632 [일반] [프로듀스101] 생존자들 순위 및 득표수 이야기 [76] Leeka9018 16/02/20 9018 2
63631 [일반] 전 세계에서 경제자유도가 가장 높은 국가 Top10 [10] 김치찌개3914 16/02/20 3914 1
63630 [일반] 초중등 학생에게 역사를 가르친다는 것 [50] 6년째도피중4960 16/02/19 4960 4
63629 [일반]  삼성 기어 VR 사용기- 이것은 광고글이 아닙니다.(엄격,진지) [37] 삼성그룹10561 16/02/19 10561 0
63628 [일반] 로봇으로 인해 개발도상국 일자리 85%가 소멸 예정 [56] 군디츠마라8417 16/02/19 8417 1
63627 [일반] [야구] 한상훈, 13년간 몸담았던 한화 떠난다 [69] 이홍기7989 16/02/19 7989 0
63626 [일반] 우주소녀/태민/레이디스코드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1] 효연덕후세우실3781 16/02/19 3781 0
63625 [일반] 윤미래/유영진x디오/매드클라운x브라더수/지오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효연덕후세우실2678 16/02/19 2678 1
63622 [일반] [축구] 전북현대 김기희 상하이 선화 이적.. 이적료 6m$ [26] 친절한 메딕씨6684 16/02/19 6684 0
63621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03 (2. 형주에 바람이 불어오다) [51] 글곰7705 16/02/19 7705 101
63620 [일반] Role & Responsibility, 그리고 임금 [15] SkyClouD4403 16/02/19 4403 10
63619 [일반] 심심해서..... 최후의 테스트 [11] 아수라발발타6768 16/02/19 6768 3
63618 [일반] 믿음이 충분한 나라 [25] 수면왕 김수면7096 16/02/19 7096 11
63617 [일반] UEFA League Ranking 유에파 리그 랭킹 및 전망 [18] D.TASADAR5963 16/02/19 5963 0
63615 [일반] 새누리당과의 아침 [110] 글자밥청춘10915 16/02/19 10915 33
63613 [일반] 소매치기 후기입니다! [26] 에버쉬러브10024 16/02/18 10024 11
63612 [일반] 정치유머들 [68] 에버그린9426 16/02/18 9426 8
63611 [일반] 아이유 동화 1부를 추억하며 [28] 좋아요5945 16/02/18 5945 14
63610 [일반] [짤평] <데드풀> - 시동은 잘 걸었는데... [84] 마스터충달10523 16/02/18 10523 1
63609 [일반] 배구의 발전과정.TXT [77] 비타에듀9991 16/02/18 9991 10
63608 [일반] 여러분이 바라던 정동영 안철수 퓨전이 이루어졌다는 소식입니다. [144] 갈색이야기14082 16/02/18 1408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