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7/23 12:47:50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17-18세기 유럽인들은 중국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http://snulife.com/modules/editor/styles/default/img/bg_qmark.gif); background-attachment: initial; background-size: initial; background-origin: initial; background-clip: initial; background-position: 0% 0%; background-repeat: no-repeat;">중국, 이 세상에 현존하는 최선(最善)의 제국이다" - 볼테르(Voltaire, 1764)


우리는 보통 우리(중국, 한국)가 서양을 잘(거의) 몰랐기 때문에 서양도 동양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을 거라는 막연한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서양은 생각보다 동양(중국)에 대해 훨씬 많이, 그리고 자세히 알고 있었습니다. 17세기 유럽에서는 이미 중국에 대해 수많은 저서가 발간되었고 이런 저서들은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그리고 영국 등지에서 널리 읽혔죠. 

물론 중국에 대한 최초의 이야기는 13세기 마르코 폴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보다 체계적이고 폭넓은 이해는 16세기에 이르러서 이루어졌습니다. 

그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예수회였습니다. 

16세기에 해외포교를 위해 결성된 예수회는 생각보다 꽤 일찍 중국에 와서 선교활동을 하고 있었고 그 중 일부는 중국 조정에서도 관직을 얻는 등 크게 출세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마테오 리치와 아담 샬이 있죠. 

그들은 그들이 중국에서 보고 들은 것을 혼자 삭히지 않고 고향인 유럽에 널리 알리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습니다. 

중국에서 선교를 하던 예수회 선교사들은 유럽에 돌아와서 중국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전하였는데, 프랑스 신부 한명은 루이 14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중국의 황제들은 루이 14세만큼이나 현명하고 자애롭고 능력이 있고, 제국은 매우 잘 통치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물론 그 신부는 중국의 황제가 루이14세보다 더 위대하다고 감히 말할 수는 없었습니다.... 태양왕님 자비 좀 ㅠㅠ)

근대 이전의 중국은 명실상부 세계 최대 최강의 제국이었습니다. 압도적인 규모와 세련된 문화 그리고 우수한 품질의 공예품을 자랑하던 국가였으며 주변의 모든 국가들로부터 조공을 받던 국가였습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그런 중국에 모습에 당연히 압도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그들이 진실로 중국에 완전히 매료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들이 진정 중국이 완벽하다고 생각해서 중국을 예찬하는 글을 썼다기보다는 사실 다른 목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사실 당대 최고의 지식인 집단이었고, 계몽주의의 씨앗을 잉태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성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권위주의, 미신, 종교전쟁 등을 한심하게 생각했고, 유럽인들에게 다른 <대안>을 소개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적에 맞게 <잘 포장해서> 유럽에 전달했고, 이에 감명받은 유럽의 계몽주의 지식인들은 그들이 혐오하던 당대의 시대상을 비판하기 위해 중국을 활용했습니다. 

심지어 쟝밥티스트 뒤 알드(Jean-Baptiste du Halde)라는 프랑스인은 1735년에 <중국개론(Description de la Chine)>이라는 제목의 책을 저술하여 중국에 대해 많이 알리려고 (그리고 유럽을 까고자...) 했습니다. 

위 책이 놀라운 건 중국에 대해 정말 자세하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하은주 시대부터 당대의 청조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었고, 중국의 18 성에 대한 자세한 묘사, 만리장성에 대한 묘사, 중국의 시, 문화, 전통, 도덕, 종교, 가족관계, 혼례, 장례, 군주들의 전기, 정치체제, 법률, 등에 대해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었던 것입니다. 심지어 부록으로는 몽골, 시암(태국), 조선의 약사까지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정말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었던 책이고, 백과사전 두깨로 4권에 달했으며 발간되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으로 신속히 번역되었습니다. 

볼테르는 이 책을 두고 <중국에 관련된 최고의 책>이라고 말하면서 엄청난 호평을 했습니다. 

볼테르(프랑스)나 라이프니츠(독일) 같은 지식인들은 중국에 호감을 품는 것을 넘어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하여 <찬미>했습니다. 그들은 당대의 권위, 즉 가톨릭 교회를 혐오했고, 기독교 없이도 합리적이고 자애로운 통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역설하고자 했습니다. 

그들에 따르면 중국은 합리적 계몽군주가 다스리는 제국이었고, 군주정 귀족정 그리고 민주정의 요소가 모두 아우러져 인민의 행복을 가능케했으며, 샤를마뉴가 세운 제국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강력한 제국(마지막 부분은 이론의 여지없이 사실이었음...)이었습니다.

이들 덕분에 시누와세리(Chinoisserie, 중국학)는 유럽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수많은 철학자, 예술가 심지어 군주들에도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런데 18세기 말에 이르면 중국에 대한 호감은 점점 악감으로 변하게 됩니다. 

유럽의 경제성장과 해외팽창에도 그 이유가 있겠으나, 다른 한편으로 계몽철학의 변화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18세기 말, 몽테스키외나 루소는 볼테르르 비판하면서 중국을 깎아내리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사상에 있어 제일 중요했던 것은 <자유>, <권력의 분립> 또는 <인민주권> 등이었고 <자애로운 제국>의 이미지는 부정되어야 할 대상이었습니다. 그들은 이미 그 어떠한 형태의 전제주의도 부정했었고 이를 위해 당대 교회와 왕권신수설 뿐만 아니라 <유가적 전제주의>도 부정해야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계몽주의(?) 학파들에게 중국의 이미지는 급격히 나빠지게 되었고, 중국은 유럽의 봉건제만큼이나 정체된 과거의 유물이었던 것입니다. 

게다가 영국 상인들이 중국에 더욱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중국에 대한 정보 소스가 다원화되었고, 이들은 많은 여행기를 저술하여 유럽에 예수회가 전하는 이야기가 아닌 다른 관점에서 다른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중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했습니다.그들은 중국이 더럽고, 비도덕적이며, 나태하다고 묘사했던 것입니다. 

그런 이야기를 접한 독일의 헤르더나 헤겔 등의 철학자들은 중국이 역사발전의 단계에서 도태되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중국은 암흑과 무지의 대륙으로 묘사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비판 및 비난이 점점 심화되자 한 가지 흥미로운 현상이 일어나는데....

그게 뭐냐면 중국인의 피부색깔이 점점 변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18세기 초 중반 유럽에서 중국인들은 <백인>처럼 묘사하고, 실제로 백인으로 분류했지만

중국에 대한 이미지가 점점 악화되면서 중국인들을 점점 어둡게 묘사하고, 그리고 급기야 <황인>으로 분류했습니다. 

그러한 인식으 변화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준 인물은 영국의 외교관 조지 매카트니였죠. 그는 건륭제 앞에서 절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고, 심지어 귀국하는 길에 중국은 허례허식에 가득찬 실속 없는 제국이며, 중국은 필히 파멸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아편전쟁을 계기로 <위대한 중국>의 이미지는 완전히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7/23 12:57
수정 아이콘
시대적 상황도 좀 요인이 되었겠지요. 강희-옹정 이후로 점점 군주의 질이 떨어져가니...
햇여리
15/07/23 12:59
수정 아이콘
써주시는 글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한 가지 드는 질문은 17세기 말 - 18세기 초와 18세기 말의 중국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데에 강희제와 건륭제의 치세 아래라는 점은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제가 알기로는 강희제는 중국 역사상 가장 훌륭한 통치자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인물로 알고 있어서요.
15/07/23 19:31
수정 아이콘
당시 강희제가 1692년에 천주교에 대한 포교를 허락한 것이 유럽에서 큰 센세이션을 일으킨 것 같습니다.
유럽이야 당시 카톨릭 VS 개신교 이렇게 박터지게 싸우고 있었고, 그나마 30년 전쟁 이후에 잠잠해지는데,
먼 타국의 황제가 포교활동을 허락하는 것 자체가 그들에게는 놀라움 그 자체였죠.
근데 카톨릭 내부에서 중국문화에서 제사가 우상숭배다 VS 아니다. 이 논쟁이 붉어지는 바람에
당시 중국선교에서 영향력이 있었던 예수회의 포교활동에 제동이 걸립니다.

예수회는 제사같은 조상숭배를 받아들이는 입장에 있었다고 하네요.
이런 와중에 강희제는 예수회를 제외한 다른 선교사들은 선교금지를 시키고 이후 옹정제때가 되면 기독교 선교자체가 금지됩니다.
갑작스런 쇄국정책에 중국에 대한 평가가 비판적으로 바뀌게되고,

이외에도 당시 광동항에 있었던 유럽상인들이 당시 기록에서 중국인들을 자신들을 등쳐먹는 교활한 장사꾼 이런 식으로 묘사를 하는데,
이게 나중에 유럽으로 번졌다고 하네요. 더군다나 당시 유럽은 대중국무역에서 항상 적자였기 때문에 더 그랬을 것 같습니다.
마스터충달
15/07/23 13:03
수정 아이콘
정말 잘 읽었습니다. 추천합니다!
Otherwise
15/07/23 13:1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공허의지팡이
15/07/23 13:15
수정 아이콘
서양은 그 100년 사이에 급속도로 발전을 한 것 같아요.
처음에는 중국이 대단해 보였는데 100년만에 까네요.
하긴 100년이면 3,4대고 문화권의 우열이 바뀌기 충분한 시간인 것 같아요.
15/07/23 15:22
수정 아이콘
저 루이 14세 시절에 선교사가 한 말은 립서비스가 아니었을겁니다. 강희제 보고 왔으니
15/07/23 18:50
수정 아이콘
그 많은 황제 중에 하필 강희제 크크
15/07/23 19:06
수정 아이콘
여담으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중국빠돌이였죠.
볼테르나 당시 독일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아서 "계몽군주"가 되었고 그 롤모델이 강희제였다고 합니다.
SugarRay
15/07/23 19:28
수정 아이콘
저는 마찬가지로 한국에선 같은 역할을 북유럽이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끔씩 북유럽은 그 가능한 체제의 조건은 도외시되고 약간 이상적인 국가로 묘사되는 것 같아요.
구들장군
15/07/25 12:20
수정 아이콘
글 잘 읽고 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160 [일반] [스압] 우리는 변화를 한 번만 겪은 것이 아닙니다 [9] cienbuss8555 16/08/22 8555 10
66835 [일반] 역사상 피해가 큰 전쟁 및 학살(스압, 데이타 주의) [21] 홍승식13877 16/08/07 13877 36
66547 [일반] 돌하르방은 왜 제주목형이 채택되었나?... [30] Neanderthal6681 16/07/24 6681 6
66508 [일반] 한국인의 조상들이 온 곳 [10] blackroc13292 16/07/23 13292 1
66504 [일반] 집도 절도 없는 언어 - 한국어... [39] Neanderthal11409 16/07/23 11409 15
66407 [일반] 중국인 "수천년 전 조상들이 이렇게 말했다고? 믿을 수 없어" [58] 군디츠마라16957 16/07/18 16957 1
66352 [일반] 성주의 민심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328] 에버그린16983 16/07/15 16983 1
66148 [일반] 보스턴홍차사건 (Boston Tea Party) [26] 모모스201311855 16/07/05 11855 9
65861 [일반] [역사] 강화도 점령을 몽골은 실패하고 후금은 성공한 이유 [12] sungsik7960 16/06/21 7960 13
65850 [일반] 강화도가 무너지던 날 [12] 눈시6037 16/06/20 6037 9
65754 [일반] 천연두 바이러스 [6] 모모스20139949 16/06/15 9949 17
65554 [일반] [스포] 초인 보고 왔습니다. 王天君2748 16/06/03 2748 1
64132 [일반] 일본, 섭정의 역사 - 2 [18] 눈시6908 16/03/16 6908 5
63940 [일반] <단편?> 카페, 그녀 -38 (부제 : 연애하고 싶으시죠?) [14] aura3521 16/03/07 3521 4
63203 [일반] 348일간 미니버스로 유라시아 횡단한 빼빼가족 [16] 어리버리8543 16/01/21 8543 1
63035 [일반] 트럼프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jpg [10] 군디츠마라6865 16/01/11 6865 0
62921 [일반] 몽골칸은 교황에게 어떤 편지를 보냈을까? [83] 삭제됨10062 16/01/05 10062 15
62862 [일반] [도서추천] 아랍세계의 팽창과 이슬람 제국의 형성 [5] aurelius5126 15/12/31 5126 0
62409 [일반] 조선 왕조의 영의정, 조준에 대한 이모저모 [29] 신불해12080 15/12/07 12080 106
61223 [일반] 황룡사는 몽골이 아니었어도 유생들 땜에 남아나질 못했을듯 [49] 군디츠마라9100 15/09/28 9100 3
60874 [일반] 재미로 보는 세계 여러 나라의 헌법 1조. [47] Dj KOZE9574 15/09/11 9574 5
60808 [일반] 동아시아인의 외모에 대한 재밌는 학설 [71] ThreeAndOut19066 15/09/08 19066 9
59966 [일반] 17-18세기 유럽인들은 중국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11] aurelius7993 15/07/23 7993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