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11 22:36:54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56 MB), Download : 84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현금 결제를 가장 적게 하는 국가 Top10


전 세계에서 현금 결제를 가장 적게 하는 국가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미국 CNBC가 2014년 11월 21일에 발표한자료입니다
현금결재 좀 번거롭죠 카드결재가 편하긴합니다
저도 언제부턴가 카드결재만 하는거 같습니다
1위는 벨기에입니다 현금으로 결재하지 않는 비율이 무려 93%네요
2위는 프랑스입니다 현금으로 결재하지 않는 비율이 92%입니다
3위는 캐나다로 90%,공동 4위인 영국과 스웨덴이 89%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10위네요 70%가 현금으로 결재하지 않는 비율입니다
성인중 카드 사용 인구 비율이 58%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카세
15/06/11 22:37
수정 아이콘
프랑스는 애들이 카드를 많이 쓰는건가요?
서건창
15/06/11 22:43
수정 아이콘
독일은 카드 사용률이 굉장히 낮은 국가로 알고 있는데 이상하네요.
신의와배신
15/06/11 23:00
수정 아이콘
현금 거래시 카드보다 낮은 금액으로 판매하면 처벌하는 국가가 대한민국 외에 어떤 나라들인지가 궁금하네요
15/06/11 23:02
수정 아이콘
미국이 한국보다 순위가 높다는데서 개인적으로 으응?
15/06/12 00:04
수정 아이콘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프랑스도 생각보다 카드 많이 안쓰던데... 음..
파우스트
15/06/12 00:07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저번부터 항상 한국은 12 11 10 이정도 순위네요?? 우연인가..?
영원한초보
15/06/12 02:04
수정 아이콘
프랑스는 이상한데요
비현금결제가 92%
카드사용 비율이 69%
카드가 아닌 비현금 결제가 그렇게 많은 건가요?
블랙탄_진도
15/06/12 04:02
수정 아이콘
독일에 5월24일부터 6월5일까지 잇었는데

마트에 물건사러가면 보통 90%이상이 현금냅니다.

식당에서도 마찬가지였구요.

카드 쓰는사람 몇명 못봤는데 희안하네요.....
나가사끼 짬뽕
15/06/12 09:28
수정 아이콘
이건 핀테크 발달 정도에 따라 순위가 나뉜거 같은데 그래도 순위가 사실 납득이 안되네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6/12 09:46
수정 아이콘
뭐.. 현금으로 결제하지 않는 비율이야 금액에 따라 갈릴테니까..
1000만원을 카드로 긁었다면 마트나 식당에서 100만원을 현금으로 내도 비율은 90% 나오겠죠.
디자이너
15/06/12 10:25
수정 아이콘
캐나다 살고있는 입장에서 개인적인 분석아닌 분석을 좀 해보자면...
캐나다의 경우 10불짜리를 살 경우에 세금이 따로 5~12퍼센트가 추가됩니다. 평소에 동전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의 경우 10불은 지폐로, 세금은 동전으로 내면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20불짜리를 내죠.. 이때 깔끔하게 10불을 돌려주는게 아니라 9불+@을 돌려주게 됩니다.. 그리고 동전은 집에 쌓이구요..
또한 캐나다는 화폐가 5불부터 시작입니다. (1불과 2불은 동전입니다.) 만약 1~2불이 화폐였다면 9불+작은 동전을 받은것에 큰 거부감이 없겠지만, 지폐로 5불 + 큰동전 2~4개+작은동전 여러개를 받는다는건 생각보다 불편한 일입니다. 그렇다보니 캐나다의 순위가 높은것 같네요..
아마도 다른 나라도 비슷한 이유로 카드사용이 높은곳도 있을것 같네요.
자루스
15/06/12 15:48
수정 아이콘
꼭 그렇지는 않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 이유라면 일본도 많이 사용해야 합니다.
일본은 카드 쓰는것을 본적이 없어요.
현지인에게 물어보니 일본에서는 카드는 고가의 전자제품을 살때만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카드사용이 많구요.
가라한
15/06/13 02:11
수정 아이콘
가끔 네덜란드에 출장 올 일이 있고 현재 네덜란드 출장중인데 이 통계는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하는 비율이 아니라 현금 결제를 안 하는 비율입니다.
즉 현금 카드를 많이 쓴다는 얘기죠. 신용카드가 아니구요.
이 통계상으로 보면 네덜란드가 우리나라 보다 위에 있어서 처음엔 좀 황당했네요.
얘네들 신용카드 거의 안 쓰거든요.
심지어 마트에서도 신용카드 안 받고 기름 넣을 때 빼면 거의 쓸일이 없어요.
단 현금카드는 많이 씁니다.
현금 카드로 이해하지 않으면 순 엉터리 통계가 될 듯 하네요.
그런데 우리나라 성인 카드 사용 비율이 58% 안 되나요? 그것도 좀 이상하긴 한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8] jjohny=쿠마 25/03/16 2114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371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776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0761 4
104233 [일반] 반향실 효과와 현대인의 소자아 다크드래곤194 25/05/29 194 0
104232 [일반] [스포주의(?)][보컬로이드][상록수][UNI + UNI SV] 10년 뒤의 나에게 카페알파675 25/05/29 675 0
104231 [일반] 현장에서 쫓겨났습니다...당분간 집에 처박혀 있으래요... [37] 공기청정기8557 25/05/28 8557 14
104230 [일반] <페니키안 스킴> - 웨스 앤더슨 판 '스크루지' 이야기. (노스포) [3] aDayInTheLife2163 25/05/28 2163 0
104229 [일반] 창의와 나르시시즘 [1] 번개맞은씨앗3029 25/05/28 3029 0
104227 [일반] 옥스퍼드대 연구팀 "위고비 복용 중지한 사람 대부분 1년 이내 원래 체중으로 복귀" [106] EnergyFlow10591 25/05/28 10591 2
104226 [일반] 오늘자 지름 보고 - 피마새 바둑미니어처 세트 [6] 닉언급금지3919 25/05/28 3919 2
104225 [일반] 기연 [2] 초모완4707 25/05/27 4707 12
10422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9)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1) [6] 계층방정3884 25/05/27 3884 3
104223 [일반] AI야~ Timeless풍으로 pgr에 글 하나만 써줘! [11] Timeless6724 25/05/27 6724 9
104222 [일반] 희귀병에 걸렸을까요 [36] 삭제됨8727 25/05/26 8727 38
104221 [일반] ChatGPT 열풍과 강방천의 관점: 엔비디아 이후의 시대 [7] Eternity5189 25/05/26 5189 4
104220 [일반] BYD의 4월 독일 전기차 판매량 분석 [31] 타츠야5405 25/05/26 5405 2
104219 [일반] 경제침체와 연금붕괴는 모두 저출산 때문인가? [15] meson3962 25/05/26 3962 9
104218 [일반] WWF의 추억. 레슬매니아6를 다시 보고 [8] 빵pro점쟁이1313 25/05/26 1313 0
104217 [일반] 나라가 망하는 것보단, 이민을 대규모로 받는게 맞지 않을까요? [184] 마르키아르7365 25/05/26 7365 5
104216 [일반] 삼대가 모여사는 대가족이 받아들이는 국민연금 개혁안 [180] 호텔아프리카9976 25/05/26 9976 26
104215 [일반] 식당 자영업 문제 해결 방송(TV,유튜브)에 나오는 것에 대한 생각 [39] 깐부9811 25/05/25 9811 2
104214 [일반] <전,란> - 한국판 그래픽 노블을 기대해..도 될까요? (노스포) [2] aDayInTheLife6406 25/05/24 640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