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5/23 01:41:14
Name 캐터필러
Subject [일반] 달러 하이퍼 인플레이션 은 올것인가
미국 국가부채 14조 달러. 메디케어등의 공공채무를 합치면 60-70조 달러 상회.

대다수의  경제전문가들은 현재상황만으로도 갚을수 없는 빚 이라고 판단.

현재 미국 재정지출의 40% 정도를 국채발행. 즉 빚을 내서 쓰고있음.

과거 이정도 수준의 지출대비 빚   비율은   짐바브웨.  아르헨티나. 바이마르 공화국이 보여준바 있으며

3국 공히 하이퍼인플레이션 발생.

해결책은
1. 미국땅에 갑자기 엄청난 유전이나 금광이나 다이아몬드광산이 발견되거나.(대량공급으로 값이 떨어지겠지만..)
2. 세금을 많이 걷어서 갚거나( 세금을 높이면 안그래도 취약한 경제가 더욱 침체되어 세율은 높지만 세금은 적어지므로  불가능한 방법)
3. 재정지출을 세금수입에 맞춰서 감소시키거나(국방비등을 삭감하더라도 의료.연금.공무원급여등 의 의무적 지출비중이높아 불가능)
4. 돈을 찍어서 빚을 갚거나(유일한 , 가능한 방법, 그러나  짐바브웨등 3국에서 보듯이  하이퍼인플레를 일으킴)

(참고로 이런상황에도불구하고 최근  미국예산안은 연간 1조달러이상의 적자재정편성되었음.즉  허리띠를 졸라맬 생각이 없음.)

이미, 미국은 국가부채한도 14조 달러에 도달하여 더이상 빚을 내지 못하고있으며 국가기능정지의 위기를 맞았음.

5월 22일 현재 몇가지 비상재정수단을 동원해  채무디폴트를 연기하고있으며 약 8월까지는 임시변통가능함.

그러나  실제로 2011년도에 미국 부채 디폴트의 가능성은 낮음.-  

공화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약 2조달러의 채무한도 증액이 거의 확실함.

그러나. 이러한 증액은   위의 해결책 중 4번에 해당하는 방법으로서  , 제대로된 해결책이라 할수없고.  미봉책임.


달러부채증가와 그에따른  유동성 증가는. 금. 은 , 원유.등 원자재의 급등을 불러왔음.

많은 경제전문가(마크 파버.  짐로저스.  빌 그로스.  피터 쉬프등.)들은   미국달러의  하이퍼인플레를 기정사실화 하고있음.

심지어  세계최대 채권투자 기관  핌코는  미국국채를 전량 매도 하고 공매도 까지 했음.


하이퍼인플레 발발시 지폐및 화폐 표시자산은 그 의미가 없어지며
최소한.
금;5천달러 이상. 은 300달러 이상.(온스당)  오일; 200달러 이상.

의 가격폭등이 예상되며

기축통화의 붕괴(세계경제역사상 최초)로 인한 극심한 혼란이 예상되며 . 예를 들자면.
  식량가격폭등으로 각지에서 식량을 구하지 못한 이들의 폭동.  기아. 난민.발생.
금.은 및  실물자산의 물물교환을 통해 경제활동이 이루어질것으로 예상.
각국 달러보유 자산은 가치가 소멸. 막대한 손해발생.


즉.하이퍼 발생 후  30년대 대공황보다 훨씬 심각한 전세계적인 초거대 공황발생. (하이퍼- 디플레 연쇄발생)

버냉키를 위시한 케인즈 경제학의 논리상
현재의  화폐 주입(양적완화라 일컫는)은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마중물의 역할을 하여야하나
실제로는 유동성이 물가상승, 자산시장 거품을 일으키는 부작용만 발생.








-------------------------------------------------------------------
이상이  최근 넷상에 떠도는  달러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한 간략한 소개입니다.
들어본바 있으신가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D.루피
11/05/23 01:43
수정 아이콘
점선 윗부분은 퍼온 글인거죠? 내용을 추가하셔야 삭게로 안 갑니다.
11/05/23 01:44
수정 아이콘
미국 뜬금없는 전쟁 같은거 하려나요..?
캐터필러
11/05/23 01:44
수정 아이콘
안퍼왓구요. 직접쓴겁니다. 요약해서.
11/05/23 01:45
수정 아이콘
지금이라도 금 사두는게 좋으려나..
11/05/23 01:45
수정 아이콘
인플레이션이라는걸 고1 사회과목에서 배운게 전부인 입장에서 궁금한게 '달러 하이퍼 인플레이션' 이 오면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미치는 건가요?
써니티파니
11/05/23 01:47
수정 아이콘
전쟁을 빚져서 하는 형편이라 더하긴 힘들것같고 철군해야죠.
무기 팔아서 벌어먹기도 힘든걸요. 확실히 나라 사정이 힘들어서 최근 미국서 신용도평가도 깎였죠. 거의 처음있는 일이라고 하던데...
올빼미
11/05/23 01:48
수정 아이콘
재정적자라는건...어찌보면 허구에 불과할수도 있습니다. 결국 미국내에서 도는 돈일뿐이니까요.
큐리스
11/05/23 01:48
수정 아이콘
달러 가치가 마구 떨어지면 가만히 앉아서도
1인당 국민소득 10만달러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뻘생각도 해본 적이 있습니다...
저글링아빠
11/05/23 01:57
수정 아이콘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말씀하시는 사태는 예견 가능한 미래에 오지 않습니다.

이유를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시장 플레이어 중 저 결과를 원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스웨트
11/05/23 02:16
수정 아이콘
만에 하나 위의 사실대로 미래가 흘러간다면, 미국국채를 엄청나게 사들이신 중국 느님께서 과연 어찌 행동하실지 궁금하네요.
서주현
11/05/23 02:20
수정 아이콘
안 올 겁니다. 적어도 가까운 시일내로는.

항상 경기가 안 좋아지면 달러를 찍어내며 버텨왔으니, 이런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크게 이상한 일은 아니지만요.
그래도 가까운 미래에 대혼란이 생길 것 같지는 않습니다.
11/05/23 03:16
수정 아이콘
미국은 누구에게 빚을 지고 있는 건가요?? 미국이 미국한테 돈을 빌리고 갚는 듯한 이 느낌..
진리는망내
11/05/23 08:59
수정 아이콘
어지간하면 저런 일은 벌어지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직까지 기축통화로서 지위도 유지하고 있고 그덕분에 막 찍으면서도 버티는거니까요
크게 데여본적이 있으니 놔두지 않겠죠

만약 저런 일이 생기면 진짜 세계적으로 혼돈의카오스.. [m]
마바라
11/05/23 09:12
수정 아이콘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는게.. 달러가치 하락으로 실물자산 가격이 오르는 상태를 말씀하시는거죠?

오히려 지금 주식시장에서 걱정하는게 달러가 강세가 되는거죠.. 제발 약세 유지 좀.. 하고 바라는 실정..

미국느님은 언제든 맘만 먹으면 주변 상황을 이용해서 달러강세를 만들수 있다고 봅니다.

저는 1~2년 후에 달러강세에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11/05/23 09:35
수정 아이콘
루머일 뿐 예측가능한 먼 미래까지 이런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겁니다. 미 국채는 세계최고의 안전자산으로(아직까지는) 분류되어 세계각국의 최우선 투자자산으로 평가되니까요. 이 말은 즉슨 세계 모든 국가가 미국의 디폴트나 모라토리엄을 좌시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대마불사도 이런 대마불사가 없죠. 윤리 도덕적으로는 참 나쁜놈들이라고 할 수 밖에요.

저명한 학자들의 저러한 주장+루비니 교수의 주장들은 경고예요.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 생각치는 않지만 방향을 바로잡고자 하는 충격요법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듯 합니다. [m]
루크레티아
11/05/23 10:24
수정 아이콘
현 시대를 살아가는 카산드라들은 진짜 미국이 망한다고 예견하는 카산드라들이 아닙니다. 망하지 않게 정신차리라는 카산드라들이죠.
미국의 국력,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하이퍼 인플레가 일어났던 선례들의 국가와는 전혀 다르죠. 하이퍼 인플레 일어나려고 해도 다른 나라들이 그런 상황이 오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크게 위협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헝그르르
11/05/23 11:33
수정 아이콘
미국의 달러 발행 과정을 단순화 시켰을때..
1.미국 재무부에서 국채 발행
2.시장에서 남는 국채 잉여분을 연방준비은행에서 달러 발행으로 매입?..
3.달러를 발행할수록 채무가 늘어나는 구조

이게 맞나요??
선데이그후
11/05/23 13:05
수정 아이콘
미국의 위기나 달러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가끔 대책없이 주장하시는분들이 계신데.. 최소한 그런일이 벌어질려면
미국의 소금창고에 보관중인 원유를 100% 정리하고 보유중인 금덩이리들을 다 팔아치우고 난 다음에 주장을 하시는게 맞지않을까요?
11/05/23 13:11
수정 아이콘
국제통화라는게 엄청난 위치라, 그 위치를 잃기전까지 세계가 가만있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국제통화를 마음대로 찍는다고 하지만 어느정도 금이 필요합니다. 결국 최대치는 정해져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이 국제통화 자리를 노리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달러가 국제통화의 자리를 잃어도 중국이 그 자리를 대체할수 있습니다.
물론 엄청난 공황이 올테지만, 중국의 금 보유랑등 외국자산 보유가 미국 다음 #2라 금방 대체할꺼라 봅니다.
나이트해머
11/05/23 13:16
수정 아이콘
지출대비 빚 비율이 미국을 가볍게 돌파하는 일본도 아직 버티고 있습니다. 미국이 저정도로 무너지긴 할까요.
지구사랑
11/05/23 15:18
수정 아이콘
예로 든 세 나라처럼 급격한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없을 겁니다. 누구도 원하지 않으니까요. 대마불사라는 말은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벌백계도 대상이 너무 크면 처벌하기 난감한 것처럼, 지금의 미국에의 극단적인 위기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을 겁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달러 약세(와 그에 따르는 인플레이션까지)는 피할 수 없겠죠. 직접 돈을 찍어서 갚는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그 자체가 부채를 줄여주는 효과를 갖기에 인플레이션은 정부가 부채를 경감하기 위해 애용하는 유력한 수단입니다.

제국의 말기는 대체로 인플레이션과 (통상 이에 수반한) 높은 금리와 함께 천천히 쇠락하곤 하였습니다. 저 옛날의 로마 제국부터 근래의 대영 제국까지 모두 비슷했죠. 71년 닉슨이 금태환 정책을 포기할 당시 금 1온스는 35달러였는데 40년이 지난 지금 1500달러를 넘었습니다. 40년에 40배를 넘는 비율인데, 1세기로 환산하면 (복리이니까) 1만배라는 수치가 나옵니다. 개구리를 천천히 삶는 이야기처럼 우리 모두 익숙해져 있는 이 상황 자체가 역사상으로 보면 이미 정상이 아닌 상황이지요.

지금 미국의 위치를 보면 팍스 아메리카가 상당히 더 갈 것처럼 보이지만, 미래의 어느 날 돌이켜보면 언제를 미국이 쇠락하기 시작한 날로 보게 될지는... 정말 알 수 없는 일이죠. 비록 호들갑(?)을 떨 정도로 위기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만...
벤카슬러
11/05/23 17:22
수정 아이콘
저는 경제학에 대해 뭣도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미국 경제가 망하는 날은
일본 경제가 망하는 날 다음에 찾아오리라고 봅니다.

그나저나 한미일 삼국 모두 빚쟁이 국가들이네요. [m]
히비스커스
11/05/23 18:42
수정 아이콘
제 생각도 일본이 망하기 전에 팍스 아메리카나가 망할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 일본또한 외국에 빌려준돈 이 장난 없어서 자연재해로 인해 동일본이 침몰하지 않는 한 일본또한 망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보여서..

거의 유일한 변수라면 중국이 어떤 태도를 취하냐에 따라 많이 갈리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318 [일반] 나가수에 휴식규칙을 도입하는것에 대한 생각. 인기와 규칙과 권위 [12] 김연아이유4548 11/05/25 4548 0
29317 [일반] 게리 네빌의 은퇴경기가 열렸습니다. (경기 결과 있음) [24] Schol5503 11/05/25 5503 0
29316 [일반] 이것도 사귄건가요? [15] 스파키즈짱8309 11/05/25 8309 0
29315 [일반] 이분이 바로 '장관'입니다. '장관'!! [24] 부끄러운줄알아야지8078 11/05/25 8078 0
29313 [일반] 비욘세의 환상적인 공연실황 [7] 삭제됨4948 11/05/25 4948 0
29312 [일반] [야구] 야구만을 생각했던 한 사람을 추억합니다. [36] HBKiD6445 11/05/25 6445 3
29311 [일반] 아이유 자작곡 '내 손을 잡아' M/V [15] 금시조131267M5606 11/05/25 5606 0
29310 [일반] [일부스포가능성]나가수 PD가 김어준의 라디오에 나왔다고 합니다 [34] 궁상양7465 11/05/25 7465 1
29308 [일반] 한가지 잡담. 그리고 한가지 의견 다이어트와 불판 [27] AN-214063 11/05/24 4063 0
29307 [일반] 별명. [10] Love&Hate6204 11/05/24 6204 0
29306 [일반] [프로 야구] 2011년 5월 24일 화요일 불판입니다.. # 2 [415] k`4151 11/05/24 4151 0
29305 [일반] 국대 선발 문제의 논점 정리와 해결책 [32] 라울리스타4119 11/05/24 4119 0
29304 [일반] [프로 야구] 2011년 5월 24일 화요일 불판입니다.. # 1 [273] k`3287 11/05/24 3287 1
29303 [일반] 축구 국대선발에 대해 학연, 지연 문제를 거론하시는 분들께 [51] 하루7578 11/05/24 7578 1
29302 [일반] 정유재란 - 10. 꿈의 끝 [14] 눈시BB7923 11/05/24 7923 2
29301 [일반] 데이브레이크/FT아일랜드/장우혁의 MV와 소녀시대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습니다. [4] 세우실4319 11/05/24 4319 0
29300 [일반] 기술위 이회택씨의 한심한 선수선발 간섭 [74] Bikini8049 11/05/24 8049 0
29299 [일반] 끝나지 않은 KT정액제 환급 [5] yellinoe4984 11/05/24 4984 0
29298 [일반] 임재범 콘서트 예매했습니다! [9] Nair5924 11/05/24 5924 0
29296 [일반] 정말 실사와 구분되지 않는 게임도 나오겠죠?^^; [33] 마르키아르7293 11/05/23 7293 0
29295 [일반] 생존왕 위건의 생존 일지 [16] 반니스텔루이7922 11/05/23 7922 1
29294 [일반] 나는가수다 새로운 가수들이 확정되었네요. [73] 총력팸12330 11/05/23 12330 0
29293 [일반] 흥미로운 문제... [16] TimeLord11626 11/05/23 1162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