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10/09 16:21:29
Name 라마크레이그
Subject [일반] [KBL의 역사] 대구 동양 오리온스 편 2. 제 1차 동양 참사
첫 글에 뜨거운 반응 보여주신 여러 피지알러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리겠습니다.
비록 미숙한 글솜씨이지만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크레이그 오덤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이야기 시작할까요?

===========================================================================

2. 제 1차 동양 참사
제목 그대로, 지난 시간에 잠시 예고했던 동양 오리온스의 대참사로 기록되는 98-99 시즌의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Caution : 이후에 벌어지는 참상을 보시고 발생하시는 우울증과 스트레스 등 각종 정신충격은 제가 책임지지 않겠습니다.(?)








KBL 개막 이후 2년 동안 최강은 아니었지만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던 동양 오리온스. 하지만, 그들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젊은 선수들의 군 복무 문제였죠. 이에 동양 구단에서는 김병철 선수와 전희철 선수, 박재일, 정재훈 등 대거 6명을 국가의 품안으로 보내주었고, 이로 인해 시즌 초부터 약체로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래도 그렉 콜버트라는 특급용병이 기대대로의 활약을 해주면서 1라운드 다 가기 전에는 2승 6패로 시즌이 참담하지는 않을 거라는 조금의 여지는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쩌다가 그럼 끔찍한 연패를 하게 되었을까요? 잠시 시간을 그때로 돌려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콜버트 선수의 가정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아마 언론에서는 부상과 개인 사정으로 인한 교체로 나왔겠지만 지인의 이야기와 옛날에 자료를 보았던 여러 블로그들을 찬찬히 살펴본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바람난 아내를 만나기 위해 밤에 야반도주를 한 외국인 이야기.”였습니다.
1라운드가 끝나기 전 어느 날, 콜버트 선수는 연락을 받습니다. 지인으로부터 아내가 바람이 나서 종적을 감추었다는 그런 비슷한 이야기였지요. 이에 콜버트는 아내를 만나봐야겠다면서 구단에게 미국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합니다. 돌아온 대답은 당연히 “No.” 콜버트는 여러 번이나 미국으로 돌아가겠다고 했지만 구단은 끝내 그의 청을 거절합니다. 이에 콜버트는 큰 결심을 하고 밤중에 숙소를 이탈해 택시를 타고 도주를 시도합니다. 콜버트가 사라졌단 소식을 들은 코칭스태프들은 즉시 콜버트를 쫓아갔습니다. - 이때 심야의 추격전이라고 회자가 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콜버트는 결국 미국으로 돌아가 버리고 이러한 일을 함부로 밝힐 수 없었던 구단 측에서는 개인 사정이란 단서를 붙여서 방출했다고 발표합니다만 가뜩이나 약한 팀 전력이 더욱 약해진 계기가 되었지요.

어쨌든 도망간 콜버트 대신 자마리 마일스를 데리고 왔지만, 연패의 늪은 갈수록 깊어져 갔습니다. 특히나 다른 용병이던 존 다지 선수는 삼점 레이 업이라는 기이한 쇼를 보여주는 등 콜버트에 비해 전반적으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거기다가 분명 3쿼터까지는 리드를 유지하거나 근소한 점수 차를 유지했다가도 4쿼터만 되면 그냥 역전당하고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가 뭐지? 할 정도의 심각한 지경이 되었습니다.

연패를 거듭할 때, 구단도 손 놓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해가 넘어가기 전에 단체로 모여서 고사를 지내는가 하면 박용규 사장은 대구 동화사까지 가서 불공을 드리기도 했습니다. 그걸로도 모자라 선수 부인들을 모아 내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몸에 좋다는 각종 음식들까지 공수하여 선수단에게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연패는 계속 이어졌고 어느 순간 NBA의 기록마저 넘어서게 됩니다.

그리하여 32연패까지 하게 되고난 다음 경기의 상대는 “나산 플라망스” 무슨 바람이 불었던지, 주전 선수 2자리 수의 득점을 기록하고 4쿼터에서 일어난 유혹의 동양신도 나타나지 않고 80대 66. 무려 97일 만에 감격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때 선수, 코칭스텝, 치어리더, 응원단 할 거 없이 우승한 것 마냥 기쁨의 눈물을 흘렸고 연패라는 기나긴 터널을 벗어났습니다.

그러나 2연승은 무리였고 그대로 스트레이트 9연패를 당하면서 시즌 성적 3승 42패 승률 1할이 안 되는 참담한 성적을 기록하게 됩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이런 끔찍한 일을 당한 이유는
첫째, 주전선수들의 군 입대 크리.
둘째,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도주 용병(?) 콜버트)
이 두 가지 때문이었습니다. 박광호 감독역시 마음고생 심하였고, 그 모습을 관중석에서 바라보던 공익근무요원 전희철 선수의 모습이 티비에 잠시 나오면서 마음이 쓰라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골이 깊으면 그 산은 높다.”라고 누군가가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끔찍한 참사를 잊고 과연 동양 오리온스는 날아오를 수 있을까요?

여담.

절망적이었던 팀 성적과 달리 구단의 각고의 노력덕분에 98-99시즌 대구 관중 수는 전년도 이상을 넘어가는 진기록이 연출되었습니다.

주요 선수별 스탯(포지션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기타기록 순)

그렉 콜버트 C - 26.3 - 11.6 - 4 - 야투 성공률 56.2%
존 다지 F - 17.2 - 6.1 - 2.1
자마리 마일즈 C - 16.2 - 8 - 0.8
정락영 G - 8.8 - 4.4 - 3.6
이인규 G - 12 - 3 - 1.7

팀별 상대전적 (이랄게 있을까요..하핫)
vs 기아, SBS, SK, 현대, 삼성, LG, 삼보(나래) 5전 전패, 나산 2승3패, 대우 제우스 1승 4패


모든 자료의 출처는 대구 오리온스 홈페이지 (http://orions.co.kr) , KBL 홈페이지입니다.(http://www.kbl.or.k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09/10/09 16:33
수정 아이콘
저때 세계기록 내지 않았았나요
그래도 욕하면서 보긴 봤는데
라마크레이그
09/10/09 16:35
수정 아이콘
Cazellnu님// 네, 기록이란 기록이 나온 시즌이기도 했습니다. 32연패뿐만 아니라 한경기 최소득점 기록도 저 시즌에 기록하였습니다.
독수리의습격
09/10/09 16:37
수정 아이콘
농구에 관심이 없는 저도 저 때 스포츠신문을 보고 이 팀의 연패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죠.
저 당시 팬들에게는 정말 죄송한 말씀이지만 '언제까지 질까'라고 궁금해하고 매일 스포츠신문을 봤던걸로 기억합니다.
연승도 아닌 연패로 1면기사 장식하는 팀은 이 팀이 처음이 아니었을까요. 그 당시 TV로 특집프로그램까지 나왔던 걸로 ;
09/10/09 16:39
수정 아이콘
이때 뭐 팬들이 어디서 모여서 치성을 드렸다고 하기도 하고, 말들 많았었죠.
철철 콤비도 없고, 팀은 연패고. 그야말로 처참했던...
여튼 굉장히 슬프던 때네요.ㅠ_ㅠ
Cazellnu
09/10/09 16:39
수정 아이콘
독수리의습격님// 선택권이없는 지역팬인 저도 얼마나 더 질까 하는 마음으로 보았습니다.
어메이징폴
09/10/09 16:41
수정 아이콘
앜!!! 벌써 올리시다니요! 좀더 천천히 올리셔도 되는데(울먹울먹)
라마크레이그
09/10/09 16:42
수정 아이콘
어메이징폴님// 제가 다른건 자신없어도 말 빨리하고 글 빨리 쓰는건 타고났읍니다 흐흐흐. <- 자랑은 아니다.
학교빡세
09/10/09 17:09
수정 아이콘
저때 어렴풋이 밖에 기억이 나지 않는데 3승 42패라니......이건 전설이 아니라 레전드군요....
라마크레이그
09/10/09 17:16
수정 아이콘
학교빡세님// 저 기록이랑 맞먹는 기록이 배구팀 KEPCO45 4승 31패가 떠오릅니다 낄낄
곽인우
09/10/09 17:22
수정 아이콘
진짜 저때 생각만하면 아직도.. -_-

저당시엔 외국인선수 교체가 한번밖에 안됐었나요? 토시로 저머니도 기억이 나는데
저시즌이 아니었나보군요.

스탯으로보면 그냥저냥 넘어갈수준이지만 존다지의 독보적인 개인플레이는 정말
울고 싶었습니다(같은 흑인인데 힉스와 왜이리 다르냐!-_-)
대구청년
09/10/09 17:26
수정 아이콘
2편 쓰셨군요. 안볼려고 했는데 클릭하게되는건 어째서일지.ㅠㅠ
귀염둥이
09/10/09 17:57
수정 아이콘
존다지와 마일스는 지금도 역대최악의 용병콤비로 이름을 남기고 있죠.
09/10/09 18:22
수정 아이콘
엄청난 연재 스피드.. 속공입니까!?
09/10/09 18:55
수정 아이콘
09-00 개막 전에 오리온스 역사는 다 끝내실 것 같은 스피드..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편을 읽고보니, 역시 이번편을 패스를 했어야.. -_-;
09/10/09 20:32
수정 아이콘
저때 생각하면 성질이 뻗어서......
연패연패연패..화장실에서 스포츠 신문을 보면 속이 터졌죠...화딱지가 아주-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311 [일반] [해외축구계층] 본격 인테르팬 뒷목잡는 사진과 뉴스 [15] pErsOnA_Inter.™5046 09/12/16 5046 0
17951 [일반] [만화책] 추천만화 '영원의 안식처' [8] 6426 09/12/01 6426 0
17810 [일반] 살면서 먹었던 '약' 중에 가장 충격적인 약들....(수면제, 비마약성진통제) [16] 햇살같은미소32199 09/11/25 32199 0
17664 [일반] 정신질환과 일상생활의 상관관계 [12] Nybbas3440 09/11/19 3440 0
16559 [일반] [KBL의 역사] 대구 동양 오리온스 편 2. 제 1차 동양 참사 [15] 라마크레이그4590 09/10/09 4590 0
16500 [일반] [잡담] 나의 청소년기... [9] Ascaron4391 09/10/07 4391 1
16328 [일반] 결혼 후 아기를 가지실 예정이거나 키우고 계신 남자분들에게 드리는 글 [57] 타츠야8803 09/09/29 8803 49
16236 [일반] 역사) 나폴레옹- 사람은 변하는게 좋은거다? [17] swordfish4017 09/09/25 4017 0
16156 [일반] 잡담 두 가지... [8] 땡초3094 09/09/22 3094 0
15743 [일반] <메타루> 2009년 지금까지의 메탈계를 정리해보자. [20] 탈퇴한 회원3901 09/09/05 3901 0
15034 [일반] 쌍용차 문제는 지금 우리 사회의 중심입니다. [37] 나야NaYa3761 09/08/06 3761 6
13833 [일반] [인증해피] 심심풀이연재물 - 나도 연애좀 해 보자 2탄 [15] 해피4727 09/06/19 4727 0
13244 [일반] 노무현 前 대통령의 서거, 삐딱하게 보기 Ver.2.0 [301] 파란별빛8909 09/05/30 8909 9
12273 [일반] '얼짱출신' 신인배우 우승연 자택서 사망 [13] Enjoy6207 09/04/28 6207 0
12016 [일반] [세상읽기]2009_0417 [21] [NC]...TesTER3591 09/04/17 3591 0
11871 [일반] 그래도 죽지는 않았으니 천만다행이군요. [31] The xian5875 09/04/08 5875 0
11250 [일반] 의정부 남매 살인사건 범인은 엄마라는군요.... [29] 마빠이9622 09/03/05 9622 0
9982 [일반] [단편소설] 이별 [1] Just3643 08/12/26 3643 0
9148 [일반] 빅뱅 탑 자살시도.. [35] 세상속하나밖10502 08/11/05 10502 0
8849 [일반] 자살을 막으려면 이것부터 고쳐야 할 것 같네요. [18] A certain romance5543 08/10/17 5543 0
8676 [일반] 바람이 불면 통장수가 돈을 번다 [18] happyend5465 08/10/06 5465 1
8233 [일반] 심리학 이야기 -2- [22] muhamad5533 08/09/05 5533 6
8123 [일반] 꿈을 접은 사회초년생. [18] 고드헨드4715 08/08/30 47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