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6 08:36
분야도 모르고 스팩도 몰라서 조심스럽지만
3년동안 이직을 4번 했다. 아직은 괜찮지만. 이직 횟수는 결국 마이너스 스팩이 됩니다. 단순 업무를 벗어나서 전문성을 요하거나 중요보직이 될수록 더욱 민감하게 보죠
25/11/06 08:46
조심스럽게 말씀해주신 것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말씀해주시는 분들께 저도 동일하게 항상 답변드립니다 제가 몰라서 이직하는거 아닙니다
+ 25/11/06 09:31
말씀해주신 그대롭니다. 필드와 스펙에 따라 아예 다릅니다.
글쓴이 본인께서도 작정하고 지금 직장이 스텝업을 위한 단계야 라고 생각하진 않았어도 이전보다는 금전적으로 조건을 높여가려고 하셨다는 말씀이 있고요. 특정 필드에서는 꾸준히 스펙업을 했다면 아무리 이직을 자주했다한들 전체 커리어만 유지되면 잦은 이직은 결코 누가 되지 않습니다.
+ 25/11/06 10:21
잦은 이직 자체를 안 좋게 보는 문화가 있는것도 사실이니만큼 저는 항상 이번 회사는 오래 다니겠다는 마음가짐을 갖고 입사는 하고 있습니다
근데 진짜로 전직장과 전직장은 입사한 사람들의 대부분이 3개월이 안돼서 줄퇴사했고 저는 8개월 다녀서 오래 버틴 케이습니다. 그래서 제가 예민하게 반응한것 같네요
+ 25/11/06 10:15
댓글들을 읽다보니 좋은 뜻에 하신 표현에 제가 날카로운 반응을 보였다 싶어 마음을 상하게 해드려 죄송하단 말씀 드립니다
조언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25/11/06 09:00
쌩신입을 안 뽑는 분위기가 커지면서 젊을 때 이직은 더 용이해진 면도 있는 것 같아요
계속 이직 준비하면서 커리어 업그레이드 하다가 잘 맞는 회사에서 정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25/11/06 09:21
좋은 경험 감사합니다 이직이라는게 항상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인데 실행까지 옮기신게 대단하시네요 축하드리고 새로운 직장에서도 좋은 커리어 쌓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25/11/06 10:23
용기가 필요하단 말씀만큼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전직장에 불만이 엄청 많은 것은 많았지만 금전적인 대우, 시장 상황을 생각하면 나오길 마음먹는게 결코 쉽지는 않았거든요 축복해주신 만큼 열심히 노력해보겠습니다.
+ 25/11/06 09:31
이렇게 준비 잘하고 더 좋은 자리 찾아 열심히 이직하시는 분들 보면 그 성실함과 열성이 부럽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저는 항상 수틀리면 나가야지 생각만 하다가 어느새 문득 보니 지금 회사에서 일해온 세월이 앞으로 더 일할 수 있는 시간보다 훨씬 더 길어진 상황인지라...
+ 25/11/06 10:25
저는 항상 하는 생각이지만 저보다 한자리를 묵묵히 지키시는 분들께서 더 멋지고 훌륭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러질 못해먹는 놈이라 아쉬운 생각도 함께요
멋있으십니다
+ 25/11/06 10:25
저도 굳이 따지면 서류는 거의 다 떨어지고 있는것 같은데 뭐 일단은 나오라고 하는군요
막상 나가봤는데 별로일수도 있긴 합니다
+ 25/11/06 09:55
예전 기억에 it분야 직종이셨던것 같은데 요즘같은 개발자 채용시장에서 이직한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하시고, 축하드려요.
그런데 첫 댓글은 사회 초년생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인데 주변인에게 자주 받아온 동일한 조언에 대한 피로감이 크신가봐요. 저도 이쪽 계열이라 잠깐 말씀드리면, 5년차 아래까진 커리어 상관없이 이직이 자유로울 수 있는데 그 이상이 되면 그때부터 내 과거의 이력들이 빛을 내기 시작해요. 뭐 우연히 가는 곳마다 1년 만에 회사가 망할 수도 있겠죠. 다만 그런 이직이 한두번이 아니고 네다섯번씩 반복되는데다가 이직 사유가 회사 외부 사정이 아닌 개인적인 이슈로 비춰진다면, 채용하는 입장에서는 한 번 더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 있어요. 선임 혹은 매니저 역할도 겸임해야 하는 경력이면 더 민감하고요. 그 잦은 이직에 대한 꼬리표는 경력 내내 어느 면접에서나 물어볼거고, 어디서든 서류 검토에서부터 미심쩍어 하게 되거든요. 그렇게 이직 횟수가 더 쌓이게 되면 실력 여하를 떠나서 서류 통과 자체도 쉽지 않게 되는 수순이죠. 어차피 1차 필터링은 인사팀이 하는거라.. 그래서 이직을 고려할 때는 지금 회사가 당장 마음에 들지 않을지라도 살짝 좋아보이는 다음 회사로 빠르게 탈출하려고 하지 말고, 지금보다 훨씬 더 좋은 곳을 갈 수 있도록 신중히 판단하고 노력해서 잘 골라야 한다고 생각해요. 지금 옮기신 곳에서는 더이상 이직 고민없이 최대한 뜻을 많이 펼치시길 바랄게요.
+ 25/11/06 10:30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제가 과하게 불편한 표현을 사용했다고 인지해 반성하고 있습니다. 말씀대로 그러다가 네 인생 꼬인다는 식의 이야기를 제 입장에서는 수도없이 들어왔어서 반사적으로 반응이 나왔는데, 그래선 안되는 일이지요
저도 사실 그래서 항상 회사를 빠르게 탈출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회사를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위에 잠깐 언급했지만 저도 최소한 1년은 다니는 것이 목표였고 순수하게 진실만 말하면 올해 제가 입사한 이후로 입사한 약 6명의 입사자 중 2명은 한 달 내 퇴사, 하나는 세달째 퇴사, 나머지 인원은 전원 이번달에 퇴사가 예정돼있습니다. 이것만큼은 저는 진짜 재난에 가까웠다 생각하지만 이걸 제가 어필할 방법이란 존재하지 않죠. 제 입장에선 8개월 버틴것도 진짜 이악물고 최대한 버텨본 일입니다 이번에 옮긴 곳은 저도 좀 안착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