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5 08:39:39
Name 흰긴수염돌고래
Subject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수정됨)

원래 10월 30일 개봉인데 오늘 몇몇 관에서 제한 상영하길래 냉큼 보고 왔습니다.


원작을 본 입장에서도 충분히 재미있었고, 전체적으로 잘 만든 리메이크라고 느꼈습니다.


먼저 스포일러 없는 선에서 이야기하자면,


이번 영화는 원작의 큰 틀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지만, 전체적인 분위기가 절제되고 차분해졌습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 특성상 불쾌한 장면을 많이 각오하고 갔는데, 의외로 가학적인 장면도 많지 않고 잔인한 장면도 꼭 필요한 순간에만 등장합니다. 아마 주요 인물이 여성으로 바뀐 영향이 있는 것 같아요.


이야기 구성은 한결 간결해졌습니다. 여러 인물들과 서브플롯이 정리되면서 이야기가 주연들에게만 집중되는 구조입니다. 덕분에 흐름은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워졌지만, 그만큼 원작 특유의 혼란스럽고 광기 어린 에너지는 줄어들었습니다. 이야기가 가지쳐지고 가학성이 줄면서 남은 자리에는 건조한 유머가 자리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원작보다 정돈되고 편하게 느껴져서 좋았지만, 원작의 강렬함을 좋아하는 분들에겐 다소 밋밋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초반 10~20분은 지루했습니다.  빌드업 단계의 긴장감이 약하게 느껴졌고 또 느릿했어요. 다만 제가 원작을 알고 본 상황이라 그런걸 수도 있고 원작을 모르는 관객이라면 느낌이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번 영화는 원작의 강렬하지만 산만했던 부분을 정리하면서, 부조리극으로서의 매력과 난폭함이 사라진 대신 완성도가 높아진 작품 같습니다. 원작도, 란티모스도 각각 개성이 강한데, 둘이 만나니 오히려 의외로 무난한 영화가 나왔다는 인상이었습니다.


원작을 모르는 관객 입장에서는 충분히 재밌는 영화이고, 결말의 쇼킹함은 여전해서 8점 정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원작을 알고 보면 이야기의 놀라움이 덜하니, 개인적으로는 7점 정도의 리메이크로 느껴졌습니다.




이제 스포일러가 포함된 부분을 조금 이야기하자면,


영화의 줄거리와 결말은 거의 원작 그대로입니다. 약간의 변주는 있지만 큰 틀이나 전개, 결말 모두 같아서 혹시 다른 방향으로 비틀지 않을까? 했는데 그런건 없더라구요.


다만 중심 시선이 달라졌습니다. 원작에서 병구(신하균)가 중심에 있었다면, 이번 영화에서는 강만식(엠마 스톤)이 더 주인공처럼 느껴집니다.


원작에서는 병구의 처지나 배경이 정말 처절했고 주변 인물과의 케미도 끈끈 했는데 부고니아의 남자주인공은 불행하긴해도 그런 면들이 절제되어 표현되어서 이입의 요소가 좀 적습니다.


반면, 엠마 스톤은 강만식과 비교했을때 마찬가지로 위선적이고 계산적인 인물로 묘사되긴 하지만 훨씬 덜 난폭하고 더 합리적인 인물로 그려집니다. 여성이라 그런지 처한 상황에 좀 더 동정심이 드는 것도 있고 원작과 비교했을 때 인간에 대해서도 좀 더 신중한 태도로 나옵니다. 외계인들도 원작보다 좀 더 중립적이고 존재로 표현되며, 이야기의 중심이 조금 엠마 스톤 쪽으로 기울어진 인상입니다.


결말 역시 원작의 강렬하고 파괴적인 여운 대신 훨씬 차분하고 절제된 마무리로 끝납니다. 광기의 폭발이라기보다는, 그 에너지를 눌러 담은 느낌에 가깝습니다.


여러모로 개인적으로는 원작보다 부고니아가 조금 더 재미있고 편하게 다가왔습니다. 다만 원작을 능가하는 새로운 해석이나 특별한 시도는 없어서, 리메이크할 필요가 있었나? 고 묻는다면 약간의 물음표가 남네요. 그 정도로 플롯이 동일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5 10:39
수정 아이콘
원작을 재밌게 본 사람으로서 리메이크도 기대 되네요. 개봉하면 얼른 극장가서 봐야겠습니다.
동구밖과수원
25/10/25 10:42
수정 아이콘
감독의 가치관 차이인지 지금 시대상의 반영인지 카메라의 포커스가 바뀌었군요
흰긴수염돌고래
25/10/25 11:13
수정 아이콘
옳고 그름의 시선이 강만식(엠마 스톤) 쪽으로 기울어 있는건 아니고 전체적으로 상황을 좀 더 냉철하고 담백한 시선으로 보는 느낌입니다. 결말도 덜 강렬하다뿐이지 여전히 부조리하게 연출되구요.
25/10/25 10:50
수정 아이콘
물파스 바르나요?
흰긴수염돌고래
25/10/25 11:11
수정 아이콘
물파스..비스므리한거 바릅니다
(여자)아이들
+ 25/10/25 19:03
수정 아이콘
너무 기대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9] 흰둥977 25/10/25 977 0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9] 굄성1850 25/10/25 1850 2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7] 퀘이샤1085 25/10/25 1085 3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7] 마르코3445 25/10/25 3445 36
105279 [정치] 부동산 정책을 욕하면 내란 세력 [58] 한강두강세강4872 25/10/25 4872 0
105278 [정치] 김어준이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의외로 조용한 이유? [165] petrus7059 25/10/25 7059 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2981 25/10/25 2981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1] 오컬트4927 25/10/25 4927 15
105275 [정치] [속보] 이상경 국토차관 사의표명 [188] petrus11081 25/10/24 11081 0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2] 성야무인6495 25/10/24 6495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034 25/10/24 3034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3925 25/10/24 3925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49] 이게무슨소리5054 25/10/24 5054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8] 시나브로2920 25/10/24 2920 0
105269 [정치] 미국 의존도 감소 위해 광폭 외교중인 캐나다 근황 [58] 크레토스6838 25/10/24 6838 0
105268 [정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모두 반영된 첫 갤럽 조사가 떴습니다. [368] 전기쥐9471 25/10/24 9471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8] likepa1849 25/10/24 1849 14
105266 [정치] 재건축업계의 슈퍼스타(?)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48] petrus5451 25/10/24 5451 0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8725 25/10/23 8725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4] 마라떡보끼13238 25/10/23 13238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3] 신정상화12261 25/10/22 12261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4668 25/10/22 4668 5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9949 25/10/22 9949 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