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08 19:45:47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오이디푸스와 페르세우스의 의미

:: 오이디푸스와 페르세우스의 의미 ::

※ OPINION : 그리스신화에 관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A. 오이디푸스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 문제를 푼 영웅입니다. 그가 상징하는 것은 '지능적 탁월함'일 것입니다. 그런 그가, 몰락한 이유가 있습니다.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누가 자신의 부모인지를 몰랐기 때문인 것이지요. 오이디푸스 이야기가 뜻하는 바는 '지능이 탁월해도 정보가 없으면, 비극을 맞게 될 수 있다' — 라고 봅니다.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하고, 어찌된 일인지 알게 된 후, 자기 두 눈을 파버리고 장님이 되었습니다. 스스로 눈을 훼손하고 장님이 된 것이 뜻하는 바는 '정보'입니다. 눈은 대표적인 정보기관이죠.

B. 페르세우스

머리카락이 수많은 뱀으로 이뤄진 메두사가 있습니다. 메두사를 보는 순간, 몸이 굳고 돌이 되어버립니다. 이것이 상징하는 것은 '혐오'라고 봅니다. 메두사는 매우 혐오스럽습니다. 혐오스러운 걸 보는 순간, 눈과 뇌가 굳어버립니다. 마치 신경독이 뿌려진듯, 관찰력이 떨어지고, 사고력이 떨어집니다. 메두사를 보고 돌이 된 사람들 — 이는 혐오로 인해 정신적인 경직성이 생기는 것을, 육체화하여 표현한거라 봅니다.

페르세우스는 거울로써 혐오를 극복합니다. 방패에 비친 메두사를 보고서, 칼로 그 머리를 잘라냅니다. 거울이 뜻하는 바는 '관념'이라 봅니다. 플라톤의 그림자와 유사합니다. 직시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보는 것입니다. 감각적인 혐오를 관념으로 극복합니다.

AB.

오이디푸스는 지능과 정보를 가리키고,
페르세우스는 혐오와 관념을 가리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특별수사대
25/09/08 19:47
수정 아이콘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범한다는 정보를 알아서 도주했는데 맞지 않는 비유네요.
25/09/08 19:53
수정 아이콘
그렇죠 사실 보통 오이디푸스를 비유로 드는건 어쩔 수 없는 운명의 필연성을 들면서 비유하는게 정석이긴 하죠. 그래도 보통 신선한 해석은 재밌긴 해요
번개맞은씨앗
25/09/08 20:12
수정 아이콘
운명의 필연성은 이야기의 내용이라기보다는, 형식에 가까운 것 아닐까 싶어요. 이 얘기 저 얘기에 다 들어간 것이니, 그 작품의 본질적 내용은 아닌 것 같거든요. 
번개맞은씨앗
25/09/08 20:09
수정 아이콘
정보를 다 알았다면 비극은 없었겠죠. 두 눈으로 보고도 정보를 얻을 수 없었던 거죠. 
市民 OUTIS
25/09/08 20:45
수정 아이콘
번개맞은씨앗님 기준으로 보면 오이디푸스는 정보를 알지 못해서라기 보다는 제대로 알지 못해서 겠죠.
자신의 운명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랑 결혼한다는 건데, 그 예언을 알고 양부모를 떠나죠. 그리고 여행 도중에 누군가를 죽이고 스핑크스의 문제를 풀어서 테베의 영웅이 됩니다. 그리고 테베의 왕이 없는 상황에서 참주가 됩니다. 참주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1인 통치자가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소포클레스의 비극에서도 참주 오이디푸스라고 하죠. 이때는 중립적인 의미로 봐야 합니다.(이 비극이 상연될 때는 대부분 나쁜 의미로 쓰였지만요)
테베의 역병의 원인이 된 사람을 찾으면 그 사람의 눈을 멀게 하겠다고 했을 때나 그 원인이 사회풍속을 어긴, 일종의 휘브리스의 범죄(보통 오만이라고 번역되기도 하는데 기존의 질서를 해치는 행위 일반으로 살인이나 신을 부정하는 행위, 불륜 같은 것), 구체적으로 테베의 전대 왕을 죽인 자 등으로 부정한 사람이 어떤 자인지 좁혀져 올 때도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그 부정한 자라고 생각하지 못했죠.
당시 그리스 사회-아마도 그 시기의 대부분이-는 부정한 자가 폴리스의 타락이나 역병, 불행의 원인이라고 생각했고, 그런 것에 대비해 '희생양'을 아예 따로 준비해 두었죠. 불구자 등 사람이 그에 해당되기도 했고, 양 같은 동물로 대신하기도 했죠.
소포클레스 작품의 경우 오이디푸스가 친아버지를 죽인 범인인지는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아요.(하지만 오이디푸스 신화는 관객들이 모두 알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아테네 시민들은 오이디푸스가 범인이라고 생각했을 거긴 합니다) 그래서 후대의 평론가들 중에는 오이디푸스의 잘못을 '성급함' 같은 성질에 국한시키기도 합니다.-어머니와의 결혼은 참주(왕)이 되기 위한 과정 중 일부지, 그걸 오이디푸스의 잘못이라고 보기 힘드니.

스핑크스의 문제의 답도 사실 '인간'이 아니라 '오이디푸스'라고 하는 견해도 있죠. 저녁에 세 개의 발로 걷는 것은 눈이 멀어서 지팡이를 짚는 것을 뜻한다고 보기도 하죠. 고전은 다양하게 읽히고 해석되는 것이니...
번개맞은씨앗
25/09/08 21:01
수정 아이콘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그 부정한 자라고 생각하지 못했죠.’ - 의미심장한 것 같네요. 
25/09/08 21:04
수정 아이콘
신선한 해석이네요. 근데 거울이 관념이라는 말은 조금 이해하기 어려웠네요. 직접 보는 게 아니라 관념적으로(추상적으로) 보았다는 말이겠죠?
번개맞은씨앗
25/09/08 21:16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생각해요. 위 이야기에서는, 혐오의 대상이 악한 존재로 그려졌지만, 우리들 삶에서는 악하지 않은데, 겉으로 보이는 것들로 인해 혐오가 일어나기도 하잖아요. 그때 그 혐오를 극복하는 방법은 관념일 거란 거죠.

이를테면 '인간은 누구나 존중받아야 한다.' — 이것은 관념이죠. 이미지, 소리, 냄새 — 이런 것들이 혐오를 자극하더라도, 인간은 존중받아야 한다고 할 때, 인간이란 관념을 써서 본 것이라 할 수 있겠지요. 이를 방패 즉 거울에 매칭해서 생각할 수 있겠고요.

물론 거꾸로 관념에 의해 혐오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 않냐는 반문이 가능할 거라 생각해요. 그러나 고대 기준으로 보면, 우려해야 할 것은 주로 감각에 의해 일어나는 혐오였겠죠.

뭐 여담이지만, 연의 기준으로, 삼국지에서 조조가 통일을 할 기회가 있었거든요. 익주의 장송이 지도를 들고 조조를 찾아갔죠. 익주를 갖다 바칠 셈이었던 거죠. 그런데 장송의 외모가 추하여, 조조가 박대를 했고, 그 결과 장송은 조조 대신 유비에게 익주를 바쳤죠.

그 똑똑한 조조도 감각적 혐오를 극복하지 못하고, 일을 그르친 거죠. 조조가 그대로 익주를 취했다면, 조조 생전에 통일할 수 있었을 거라 생각해요.
TheLasid
+ 25/09/08 22:17
수정 아이콘
고전 시대 + 그리스 콤보를 맞은 비극이잖아요. 너무 현대적인 해석이 아닐까 싶습니다 :)

저 이야기의 틀 안에서 정보를 아느냐 모르느냐는 전혀 중요하지 않을 겁니다. 오이디푸스는 그렇게 될 운명이었으니까요.
어떤 인간도 운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고전 시대에는 전세계적으로 보편적인 관념이었고, 그리스인들은 유독 더 그렇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죠.
아버지가 아버지인 걸 알았다고 한들, 어떤 식으로든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를 살해했을 것이고, 어머니가 어머니인 걸 알았다고 한들, 어떤 식으로든 오이디푸스는 어머니를 아내로 맞았을 겁니다. 그가 얼마나 똑똑하든, 얼마나 대단한 영웅이든 간에요.

그렇게 되어 있는 이야기고, 그렇게 되어 있는 세계관이니까요.
사실 이 이야기는 애초에 오이디푸스에 관한 이야기도 아닙니다.
아버지 라이오스 왕이 자신의 악행의 대가로 자신의 목숨과 아내를 모두 아들에게 빼았기는 운명을 맞았다는 거죠.

human agency라는 개념은, 생각보다 훨씬 더 현대적인 관념입니다.
그 관념을 거울로 써서 과거를 보면, 옛 사람들의 행동이 무언가의 결핍으로 인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기 쉽죠.
씨앗님은 여기서 정보가 결핍되어 있었다고 보셨겠지만, 그 자리에 넣을 수 있는 건 무궁무진할 겁니다.

아마도 앞으로 올 시대의 사람들은 다른 무언가를 거울로 써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보겠죠.
그들 중 누군가는 우리가 겪는/일으킨 문제를 무언가의 결핍에서 비롯됐다고 볼 거고요.
그리고 그 사람들에게도 다음에 올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씨앗님의 해석을 거울로 써서 이런 관념을 분석해 보는 것도 재미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358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201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597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1455 4
104948 [일반] 에어컨은 제습이 안되는군요 [6] 디기둥832 25/09/08 832 0
104947 [일반] KISS OF LIFE 'Lips Hips Kiss'를 촬영해 보았습니다. [2] 메존일각541 25/09/08 541 4
104946 [일반] 오이디푸스와 페르세우스의 의미 [9] 번개맞은씨앗1177 25/09/08 1177 2
104945 [정치] 레거시미디어와 유튜브의 전쟁 [150] 짭뇨띠4944 25/09/08 4944 0
104944 [정치] 오늘 여야대표와 오찬회동 가진 이재명 대통령 [62] Davi4ever6676 25/09/08 6676 0
104943 [정치] 2023년 발간한 민주당 재집권전략보고서에 나온 부동산에 대한 견해 [290] petrus10833 25/09/08 10833 0
104942 [정치]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어떤 사람일까? [213] petrus11630 25/09/08 11630 0
104941 [일반] 신발, 어떻게 골라야 하는가?: 일상적 기능화를 중심으로. [17] Meliora4225 25/09/08 4225 28
104940 [일반] [펌] 월드 시뮬레이터 [3] 턱걸이3020 25/09/08 3020 1
104939 [일반] <기병과 마법사> 책 후기. [6] aDayInTheLife2382 25/09/08 2382 1
104938 [정치] 드디어 시작되는 강선우 탈락 나비효과. 시동거는 여가부장관 [107] 카랑카9812 25/09/07 9812 0
104937 [정치] 정부조직법 개편안 발표 [184] 빼사스7151 25/09/07 7151 0
104936 [일반] 중국에 끌려가게된 러시아의 외통수 [22] 어강됴리5214 25/09/07 5214 2
104935 [정치] 이시바 총리직 사임 발표 [30] 롤격발매기원6764 25/09/07 6764 0
104934 [정치] 대통령실 "한국인 근로자 석방 교섭 마무리…전세기 출발 예정" [142] Davi4ever8198 25/09/07 8198 0
104933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목사(교역자)의 스케줄, 처우 [31] SAS Tony Parker 2780 25/09/07 2780 0
104932 [일반] [팝송] 조나스 브라더스 새 앨범 "Greetings From Your Hometown" [1] 김치찌개2900 25/09/07 2900 2
104931 [정치] 보수진영의 간손미, 오이안 연합 [131] 짭뇨띠10501 25/09/06 10501 0
104930 [일반] 인생은 터프하게 [8] 밥과글4248 25/09/06 4248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