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7 14:44:18
Name 일신
Subject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내 키만 했던 할아버지의 바다낚시 가방을 번쩍 들 수 있는 나이가 되자, 할아버지는 나를 동해 감포 바닷가에 자주 데려가셨다. 당신께서 직접 만드신 대나무 낚싯대를 들고 갯바위를 더듬어 오른 할아버지가 휙, 바다에 낚싯줄을 던질 때면 이번에는 어떤 고기가 바늘을 물고 올라올지 어린 나는 항상 궁금했었다.

고기가 잡히기를 참을성 있게 기다리다 못한 나는 걸핏하면 할아버지를 보챘다. 고기들이 미끼를 다 먹어버린 거 아니냐고, 낚싯줄 던진 곳에 물고기가 없는 거 아니냐고, 이러다 한 마리도 못 잡겠다는 등등. 지금 생각하면 내가 떠드는 소리에 물고기들이 다 도망가고도 남을 정도로 줄기차게 할아버지를 괴롭혔다.

그런데 나는 한 번도 할아버지가 나를 혼내는 말씀을 들어본 기억이 없다. 할아버지는 늘 "그러게나 말이다"라며 내게 맞장구를 치시거나 허허로운 웃음으로 넘기곤 하셨다.

할아버지가 세상을 뜨신 지도 벌써 여러 해가 지나고, 해마다 꼭 한 번은 배를 타고 바다낚시를 나가게 된 손자는 이렇게 낚시와 기다림, 그리고
그 마음가짐에 대해 개똥철학 썰을 풀고 있다.

낚시꾼은 잡고 싶은 물고기에 맞추어 줄을 갈고 바늘을 바꾸며 미끼를 고르는 등 자신의 지식과 능력이 닿는 데까지 낚시 채비를 준비하여 마침내 바다에, 혹은 민물에 낚싯줄을 던진다. 그런 다음에는 고기가 낚싯바늘을 물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릴 뿐이다.

하루 종일 물고기 꼬리는커녕 물고기가 바늘 건드리는 손맛도 못 본 낚시꾼들 중 많은 분들이 기다림을 참다못해 원망의 행진을 시작한다. 바다를 원망하고 날씨를 원망하고 물때를 원망하고 한 마리도 안 잡히는 포인트로 안내한 낚싯배 선장을 원망하고 미끼를 원망하고 봉돌을 원망하고 지구온난화, 그리고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바닷고기 씨알을 말리는 인간들을 원망하고 결국 이렇게도 운이 없는 자신의 기구한 인생까지 하염없이 원망해 봐야

용왕님이 "너 참 불쌍타"며 그날로 운수를 다한 고기 한 마리를 낚시꾼 바늘에 꿰어 올려주실 리 만무하다. 스스로를 불행한 낚시꾼으로 만들 뿐이지.

그저 조용히, 고기가 물면 무는 대로 낚아올리고, 유난히도 고기 입질 소식이 없으면 내가 잘못 준비한 것은 없는지 한 번쯤 돌아본 뒤에는 다시금 기다릴 뿐이다. 그렇게 기다리다 기다리다 배 빌린 시간이 다 되어 햇살과 바닷바람 외엔 얻은 거 하나 없이 허탕친 날이었어도 덕분에 올해 볼 바다는 다 봤다며, 오래간만에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게 되어 좋았다며, 다음에 올 때는  아이스박스를 가득 채워갈 수 있겠지, 라며 허허롭게 웃어넘기는 여유가 행복한 낚시꾼의 하루를 만드는 마음가짐이다.

사실 우리네 일상도, 인생도 그런 준비와 기다림, 그리고 그 결과를 대하는 나의 마음가짐의 연속이지 않을까.

낚시의 니은도 모르는 손자의 잔소리(?)를 일일이 타박하지 않았던 할아버지도 언젠가는 이놈의 자슥이 기다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어떠해야 하는지 절로 알게 될 때를 기다리시지 않으셨을까.

"낚시는 마치 사람을 발가벗기듯이 숨겨져 있던 인간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낚시를 도(道)라 한다."
- <천국의 신화> 제5부 천수 중에서





책상 서랍 정리를 하다가 나온 USB에서 발견한 글입니다. 코로나 이전에 썼던 글이고 그 이후에는 바다 낚시를 간 적이 없네요. 보고 싶어요 할아부지.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17 17:33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이놈의 자슥이 기다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어떠해야 하는지 절로 알게 될 때를 기다리시지 않으셨을까] 라는 대목에서 가슴을 퍽하고 맞았네요.
저의 할아버지가 생전에 많이 기다려주셨는데, 아직도 저는 그 마음가짐을 제대로 알지 못하네요.
조랑말
25/08/17 17:44
수정 아이콘
낚시 그 자체를 즐기지 못하고 잿밥(옆에 앉아서 삼겹살을 구워먹는다거나...) 에 관심이 더 많은 저는 언제가 되어서야 기다림의 미학을 알 수 있을까요.


낚시가 마냥 보챈다고 되는게 아니라 기다림과 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 은 알게된 나이이지만, 옆에서 보채는 누군가에게 님의 할아버님처럼 기다려줄 수 있는 지혜와 원숙함에는 한참 멀었네요. 따뜻한 글 감사합니다.
모링가
25/08/17 18:12
수정 아이콘
겪어보면 아 말로 해선 안되는구나 하고 깨닫죠. 다음 세대도 겪어봐야 아는 법.. 그래서 미래 세대를 보채기보단 기다려줄 수 있는 것이고요
하지만 이전 세대가 기다려줬던 기억이 없다면 겪더라도 그게 무슨 의미를 주는지 깨닫기 어려워지는 법이고요
좋은 할아버지를 두셨던 것 같습니다
꼬마산적
25/08/17 18:59
수정 아이콘
낚시?? 죽어도 못함!!
조금만 하다보면 내가 지금 뭐하고 있냐??
이생각에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787 [정치] 윤미향 판결문, 저도 다시 봤습니다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에 대한 반박) [14] Quantumwk553 25/08/18 553 0
104786 [일반] 요즘 젊은애들은 일본을 어떻게 생각할까? [45] 럭키비키잖앙3826 25/08/17 3826 1
104785 [일반] 이스라엘, ‘가자 주민 이주’ 5개국과 논의… ‘인종청소’ 현실화하나 [23] 베라히3153 25/08/17 3153 2
104784 [일반] <스탑 메이킹 센스> - 기묘한 폭발력과 에너지. aDayInTheLife1059 25/08/17 1059 1
104783 [정치]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 [170] 사부작6705 25/08/17 6705 0
104782 [정치] VIP와 조국은 은연 중에 긴장관계죠. [85] petrus6053 25/08/17 6053 0
104781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4] 일신1028 25/08/17 1028 5
104780 [정치] 건강한 공론장과 개인들의 역할 [33] 딕시2941 25/08/17 2941 0
104779 [정치] 서부지법 폭동 징역 4년 [50] 조랑말5930 25/08/17 5930 0
104778 [일반]  지포스 RTX 50 슈퍼 가격 유출 [13] SAS Tony Parker 2888 25/08/17 2888 1
104777 [일반] 루머: 갤럭시 S26 프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유출 [38] SAS Tony Parker 3274 25/08/17 3274 0
104776 [일반] 귀멸의 칼날 - 무한성1 보고 왔습니다 (노스포) [17] 빵pro점쟁이3144 25/08/17 3144 0
104775 [일반] AI 이미지툴의 발달은 점점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SNS에 공개하지 않게끔 만들것이라고 봅니다. [39] 페이커755208 25/08/17 5208 11
104774 [일반] 내가 충분히 좋은 사람이 아닌 것 같은 날들. [10] aDayInTheLife3482 25/08/16 3482 6
104773 [정치] 이준석은 망할 수밖에 없다 [240] 짭뇨띠10929 25/08/16 10929 0
104772 [일반] 인간은 현대문명에 적합한 존재인가? [12] 고무닦이3737 25/08/16 3737 5
104771 [정치] 읍면동장 ‘주민 선출제’ 추진한다 [49] VictoryFood6966 25/08/16 6966 0
104770 [일반] 노력과 행복질량보존의 법칙 [2] Categorization2740 25/08/16 2740 1
104769 [일반] 『루리드래곤』- 굴복이 아닌 이해로 다름을 인정받는다는 것 [12] Kaestro2431 25/08/16 2431 8
104768 [일반] 휴대폰 수리하러 와서 넋두리... [14] 앗흥4835 25/08/16 4835 3
104767 [정치] 윤미향, 이용수, 위안부 문제와 장기 사회 운동에 대한 매우 긴 글 [428] 사부작12970 25/08/16 12970 0
104766 [일반] 저출생(산)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기 [44] Categorization5394 25/08/15 5394 0
104765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下) [5] 無欲則剛4065 25/08/15 406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