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13 23:10:41
Name 정대만
Subject [정치] 이재명정부에서 첫 여성 병무청장이 나왔네요 (수정됨)
이 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선…'여성 최초' 병무청장 홍소영

”이재명 대통령이 신임 법제처장으로 조원철 변호사, 신임 병무청장으로 홍소영 대전·충남지방병무청장을 임명하는 등 열두 명의 차관급 인선을 발표했습니다.“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54293

위 내용처럼 첫 여성 병무청장이 탄생했는데요.

물론 법적으로 여성이라고 해서 병무청장을 못 맡을 이유는 없다는 건 알지만, 솔직히 말하면 저는 좀 낯설고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병무청이라는 조직 자체가 군과 밀접한 관계에 있고, 병역 문제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남성의 영역이었잖아요.

물론 이게 제가 편견에 젖어 있어서 그런 건 아닌가, 스스로도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병역 제도를 몸소 경험해본 적 없는 사람이 그 시스템을 총괄하는 자리에 있다는 점에서 조금 불안한 마음도 듭니다.

이런 생각 자체가 구시대적인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owasama
25/07/13 23:13
수정 아이콘
원래부터 지방병무청장을 하시던 분이면 큰 문제 없지 않나 싶습니다.
lightstone
25/07/13 23:18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대표적인 여초 관공서이다. 2021년 기준으로 재직 중인 공무원의 57.1%가 여성이다.
류지나
25/07/13 23:19
수정 아이콘
윗 댓글에도 있지만, 오히려 병무청은 여초 공직이라... 전혀 어색하지가 않습니다.
정대만
25/07/13 23:24
수정 아이콘
여가부장관 남자가 맡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었는데 병무청 경우는 제가 잘못 이해한 거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7/13 23:27
수정 아이콘
내부 조직에서 승진으로 병무청장이 된게 2번뿐이라더군요 대부분은 군 장성급이 퇴직하고 오는 자리였고...
25/07/13 23:36
수정 아이콘
만약 여성도 병역의 의무를 져야 한다면 그 업무는 주로 사무일 가능성이 높고 그게 바로 병무청이 하는 일이죠.
그냥적어봄
25/07/13 23:40
수정 아이콘
남여 이전에 어떤 소시오패스를 앉히는게 솔직히 제일 좋은 조직일꺼에요. 현역 징병률 백프로를 목표로 가차없이 가야하는데 군대 실상따위를 알아봤자 어떤 도움이 될까요
유료도로당
25/07/13 23:43
수정 아이콘
웬 여성 병무청장인가 했더니 1988년에 병무청 7급으로 입직해서 병무청에서만 37년동안 근무한 찐 병무청 행정관료네요. 저정도 스펙이면 뭐 할만하다 싶습니다. 퇴직 장성 자리 하나 만들어주는 식으로 꽂는것보다 더 나을지도요.
하이퍼나이프
25/07/13 23:56
수정 아이콘
37년이면 웬만큼 병역 제도를 몸소 겪은 분들보다 병무청 업무에 대해서는 훨씬 전문가라고 봐야하지 않나 싶네요
조랑말
25/07/14 00:5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7급이면 바닥부터 다져오신 분이고, 보도에 따르면 평도 대단히 좋으시네요.
클레멘티아
25/07/13 2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솔직하자면 굳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내부 조직 승진 자체는 이해가 갑니다만,
다른 분들도 충분히 있을텐데요.

누군가의 지시를 받아 하는 관료의 역할과
누군가에게 지시를 하는 장의 역할은 다르며
특히 그 지시를 받는 대상을 충분히 이해해야 할텐데

군대를 겪지 않은 사람이
군인을 관리하는 병무청장이 되는건..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봐야겠죠.
25/07/13 23:48
수정 아이콘
내부 조직에서 승급한거라 더 의미있다고 봅니다.
방구차야
25/07/14 00:06
수정 아이콘
행적적 기능적 역할만을 본다면 큰 문제될게 없겠으나
남성만 징병되는 군대문제에서 실제 징병절차를 진행하는 기관의 장이 군대를 안간 여성이라는 것에 대한 괴리감은 이해할만 합니다.

아직 가족관계에 대해선 알지못하는데 아들을 군대보낸(보내야할) 어머니의 입장이라면 징병체제를 담당하는 공감대에 대해선 포괄되는 면이 있습니다.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여성징병에 상황에서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컷해야한다고는 볼수없고
상징적일수 있는 보직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넘어 어떤 개인적 요건이 있느냐를 집어볼필요는 있습니다.

아들을 군에 보낸 어머니의 심정이 병무청장의 요건에 부족하다 할수 없고
무조건 기존처럼 장성출신이어야 한다는 것도 구태연연한거죠. 장성은 오히려 사병으로 징병되본적 없는 주체기도 해서...

그마저도 아니라면 좀 실망스런 인사인건 맞습니다. (혹은 아들이 면제라거나..)

결혼하지도 자식을 낳거나 길러보지도 않고 단지 정치만 잘하면 된다는 이유로 뽑았다가 밥상뒤집어진 사례를 몇번 경험하다보니..
대통령이야 하나의 요건뿐 아니라 다층적인 요건을 핑계로 덮고갔는데도 결국 쪽박이 깨졌는데
포커스된 기능적 역할만을 부여하기엔 병무청은 민감한 부처인것도 사실입니다.
강나라
25/07/14 00:08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이 안되는 임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병역 의무를 부과하고 병역 대상자를 관리하는 기관의 장이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사람이라뇨. 최소한 여군 출신이라면 모를까요.
망고베리
25/07/14 00:11
수정 아이콘
강나라님꼐서는 문민통제도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시나봐요
한방에발할라
25/07/14 00:09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커녕 국군통수권자를 미필 여성 미필로 잘만 뽑아놓고 이제 와서 여성이 어쩌고 하는 사람들은 참 투명하다 싶네요. 당장 오늘만 해도 나무위키를 근거로 신나게 떡밥 굴리던 모 사이트가 떠오르네요
기억의파편
25/07/14 00:14
수정 아이콘
누가 뽑히든 쓰레기같은 기준으로 징병하는 현 상황만 타개해준다면 상관없습니다.
조랑말
25/07/14 00:24
수정 아이콘
실무적인 좋은 인사로 보이나, 병역 관련 이슈가 있을 때 더 욕먹을 수 있겠네요(징집률 상승...은 더 할 곳이 없을거고?).

이러니저러니 징병에 있어 이재명정부가 양성평등적 정책을 펴기는 어려울거고, 환자들도 다 끌고가는 과도한 징병문화라도 개선해줬으면 합니다.

위 댓글 중 '남성은 징집되어서 37년 근무 못함' 은 아프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33
수정 아이콘
흠 37년이면 아프고 34년이면 안아플까요? 6방이었다면 36년인데 이것도 안아팠을지... 저분이 3년 늦게 들어가서 경력이 34년이었다면 그래도 아팠을지 궁금합니다요
조랑말
25/07/14 00:42
수정 아이콘
근속년수의 한계가 정해져 있어서 아프다고 표현했는데 병무청장이 37년 근속이든 34년 근속이든 상관없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43
수정 아이콘
그럼 남성 징집 얘기는 사족이죠
조랑말
25/07/14 00:45
수정 아이콘
왜 사족이예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0:47
수정 아이콘
근속년수의 한계가 정해진게 왜 아파요?
조랑말
25/07/14 00:52
수정 아이콘
아...그 보시면 제가 '위 댓글 중' 이라는 표현을 썼잖아요. 지금은 삭제되었는지 안 보이는데 '남성은 징집기간 때문에 퇴임까지 근속해도 37년이 안 된다' 는 댓글이 있었습니다. 구조적으로 징집으로 인해 입직시기가 또래여성에 비해 2년 늦어지는데 충분히 아플만한 이유이고, 임금피크제가 아니고서야 최고연봉을 찍을 커리어하이 2년이 날아가니 아프죠.

저는 이렇게 생각했는데 남캐님 의견은 어떠시길래 사족이니 뭐니 공격적으로 물어보시는지 궁금합니다. 피드백 부탁드릴게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14 01:05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리플 봤는데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생각해서 그냥 넘어갔는데 그 리플에 호응하는 걸 보니 신기해서 물어본거에요. 이게 말이 되는 소리가 되려면, 1.병무청장승진에 근속 연수가 크게 고려가 되었다. 2.병무청 말고도 이전부터 남녀근속연수에 따른 차별에 대한 성토와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 두개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전 잘 모르겠어서, 그렇다면 근속 연수가 문제인가 싶어서 군대 패널티가 빠진 34년이나 6방 36년이면 문제가 없냐 싶어서 물어본 겁니다요. 근데 근속 연수가 상관없다면 당연히 징집얘기는 사족인거구여. 전 지워진 그 리플에선 차별 및 피해의식이 느껴졌는데 님은 그냥 단순히 남자가 징집때문에 최대한 많이 오래 근속하고 싶어도 못해서 그게 아프다라는 의미셨으면 저도 그 취지엔 동의하며 제가 오독한겁니당
조랑말
25/07/14 01:25
수정 아이콘
아아 넵 말씀하신 그런 피해의식까진 없습니다. 설명이 되었다니 다행이예요 감사합니다!
사부작
25/07/14 00:31
수정 아이콘
30년 넘게 병무청 일을 한 사람이라는데
저 사람이 여자라는 이유로 진급을 막을 이유가 있나요
지탄다 에루
25/07/14 00:42
수정 아이콘
이명박 군대 명제... 윤석열 군대 면제.....
37년 넘게 해당 직무에서 근무한 분이 더 나을 듯..
시린비
25/07/14 01:19
수정 아이콘
뭐 군인이 군인관련일을 해서 다 무사태평했던것도 아니고...
군인출신이라는게 군대에서 사건 덮거나 누군가를 항명수괴로 몰거나 하던 사람일수도 있는거고
대통령 군인출신으로 뽑는것도 아닌데 뭐 큰 상관있는 부분인가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909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35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97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842 4
104526 [정치] 이재명정부에서 첫 여성 병무청장이 나왔네요 [29] 정대만3137 25/07/13 3137 0
104524 [정치] 법원의 야당 탄합 해프닝이라던가 [12] Janzisuka4174 25/07/13 4174 0
104523 [정치] 중국의 권력이상은 없다 [44] 如是我聞6926 25/07/13 6926 0
104520 [정치]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에 돌아갈 것" [106] Davi4ever12724 25/07/12 12724 0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5724 25/07/11 5724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0344 25/07/11 10344 0
104509 [정치] 이재명 대통령 간담회 실언 해프닝 [364] 짭뇨띠15287 25/07/11 15287 0
104505 [정치] 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38] 철판닭갈비6583 25/07/11 6583 0
104504 [정치] 민주노총 용공 논란은 민주노총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34] petrus5815 25/07/11 5815 0
104503 [정치] 내란옹호 세력을 싹쓸이하려면 차별금지법이 필요합니다 [88] 코로나시즌7435 25/07/10 7435 0
104502 [정치] 국힘, 尹 재구속 날 ‘계엄·탄핵’ 사죄문 발표…사실상 ‘완전결별’ 선언 [108] 카린11067 25/07/10 11067 0
104501 [정치] 대선 이후 이대남 관련 글 중에서 읽어볼 만 하다고 생각했던 페북 글. [304] petrus12812 25/07/10 12812 0
104500 [정치] 정치적 소신과 의견의 교환 [260] 烏鳳11166 25/07/10 11166 0
104498 [정치] 조은희 "내란특별법은 정치 보복…국힘도 계엄 피해자" [116] 전기쥐10495 25/07/10 10495 0
104496 [정치] 정부, '전시작전권 환수' 협상 카드로 검토 [137] 시린비8486 25/07/10 8486 0
104493 [정치] 윤 어게인 [20] 백면서생7057 25/07/10 7057 0
104492 [정치] 윤석열 재구속 [66] 만우9519 25/07/10 9519 0
104490 [정치] 2030 남성 유권자 지형과 세대 방패 [258] 딕시11426 25/07/09 11426 0
104488 [정치] 주 4.5일 (혹은 4일) 근무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69] 정대만3985 25/07/09 39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