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5 12:50
에어컨은 아니고 제습기를 베란다에서 쓴다고 멀티탭에 연결하는 경우 있는데 주의하는게 좋겠네요... 다행히 5개짜리에 하나만 꽂아 사용하고 있었군요..
25/07/05 12:54
제습기는 진짜 많이 먹는 애도 500w 정도라 그렇게 신경 안쓰셔도 될 거에요. 사실 그냥 평범한 가전품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에어컨 동생 같아서 많이 먹는다 상상하게 될 뿐...날씬한 친구입니다
25/07/05 13:16
1구 연장선도 16A 규격일겁니다. 제일 흔하니..그럼 220 X 16 계산법으로 허용용량이 똑같이 나오는데... 멀티탭은 멀티탭 설계상 한계로 구당 실질 허용 전력이 적게 나오는건데 1구 연장선은 괜찮을 것 같네요.
1구 연장선도 과부하 차단 기능이 있는 제품이 있을텐데 불안하시면 이케아 측에 문의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koppla 인가 뭔가 하는 제품이납품되고 있을 겁니다
25/07/05 14:51
실외기가 전원을 거의 다 먹는데 벽 연결이니 괜찮을 겁니다
실외기랑 스탠드 실내기랑 전원이 하나로 연결된 제품이 꽤 있는데 그게 위험하죠 멀티탭에 꽂으면
25/07/05 12:58
온오프스위치 멀티탭에 대한 평가가 충격적이네요. 안 쓰는 전력구는 꺼둘 수 있어서 안전하다고 생각했는데...
고전력 가전에만 해당하는 의견인가요, 일반 전자제품(휴대폰충전, 컴퓨터, 전기밥솥 등) 도 해당할까요?
25/07/05 13:24
(수정됨) 고전력입니다. 가정용 컴퓨터나 휴대폰 충전까지는 상관 없는데 전기밥솥은 벽걸이 정속 에어컨급으로 전기를 많이 먹어서 좀 위험해보여요
일반 멀티탭이면 넉넉하고도 남지만 온오프스위치 제품에 밥솥은 좀... 구글에 전기밥솥 소비전력 검색해보시고 벽걸이 에어컨 소비전력 검색해보세요 깜짝 놀라십니다
25/07/05 13:35
네 맞습니다 에어컨 전력소모 8할 이상은 실외기입니다. 근데 실외기 전원과 실내기 전원이 1개로 합쳐져 있어서 구분하는게 무의미한 제품들이 많았습니다. 요즘 나오는 커다란 스탠드 에어컨들은 실외기 전원이 따로 있는 경우가 많지만요
25/07/05 13:48
제가 본문 쓸 때 벽걸이 에어컨이랑 창문형 에어컨 소비전력을 정확히 몰라서 대충 검색했는데
창문형 에어컨이나 벽걸이 에어컨이나 요즘 제품들은 소비 전력이 상당히 작네요. 창문형 에어컨이 보통 효율이 낮다보니 의외로 고성능 벽걸이 제품보다 전기를 더 먹는 경우도 있고요 창문형이 괜찮냐 라기보다는 소비전력으로 판단하시는게 정확할 것 같습니다. 700~800w 정도면 충분히 안전하지 싶습니다 본문에 쓴 내용이랑 차이가 많이 나서 수정을 좀 해야겠네요
25/07/05 13:40
(수정됨) 예전에 멀티탭 수명이 최대 2년이라는 소리듣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어요.
집도 그렇지만 회사에서도 2년 지났다고 멀티탭 바꾸는걸 들어본 적이 없거든요. 집에 있던 5개의 멀티탭은 최소 5년, 심지어 15년 넘은 것도 있더라고요. 그래도 왠지 잘 돌아가는거 버리기가 아까워서 오래된 멀티탭은 가벼운 충전이나 상시 돌아가는 제품(공기청정기) 정도에만 사용 중이고, 고출력 제품(pc본체, 건조기 등)은 멀티탭없이 벽콘센트에 직접 꽃아서 사용하는 정도로 쓰고 있는데 이제 슬슬 다 바꾸긴 해야겠네요..
25/07/05 14:01
사실 숨겨진 얘기도 아니고 멀티탭 사시면 설명서에 한 구당 허용전력이 따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개별 스위치 제품이나 통합 스위치 제품이나..
한국전기안전공사 에서 실험한 결과도 있고요. 여기 실험에 관한 뉴스도 있네요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8114
25/07/05 14:11
사실 저도 전기 전문가는 아니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저도 현대일렉에서 나온 고전력 멀티탭을 쓰긴 하는데요 . 전체 허용전력을 넘지 않는 거랑 한 구당 허용전력을 넘지 않는 거 두 개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5/07/05 15:15
저는 주택이든 사무실이든 왜 이렇게 콘센트를 적게 만드는지 이해가 안 가요...
멀티탭 사용을 강제하는 셈이잖아요. 콘센트 하나하나마다 멀티탭을 다 꽂아서 써도 모자라고... 그렇다고 멀티탭을 안쓸 정도가 되려면 방을 빙 둘러서 콘센트를 수십 개 만들어야 할 거 같기도 하지만... 지금 5평 정도 되는 제 작은 사무실 하나에 10구 멀티탭 5~6개 정도를 쓰고 있나...
25/07/05 15:34
님 말씀이 정답입니다. 미국 전기안전규정에는 6피트 표준 전원선을 가진 전기제품은 연장선 없이 사용할수있도록 콘센트 간격이 최대 12피트가 되도록 설치하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콘센트가 아예 없는 벽들이 수두룩하죠.
25/07/05 15:50
(수정됨) 미국은 가정에 240V가 공급되지만 어찌되었건 소켓에서 나오는 게 120V라서 더더욱 멀티탭/익스텐션코드가 죄악시되는 점도 있죠.
한국에서도 콘센트 수를 좀 더 늘리는 것은 맞다고 봅니다. 멀티탭을 최대한 안 쓰는 게 낫죠. + 게다가 미국은 어지간한 집은 HVAC 시스템 하에 냉난방이 따로 묶여있다보니 더더욱 관련 위험성이 적고요.
25/07/05 17:04
전기나 이런 지식들도 긴급 문자 같은데 좀 넣어서 전국민이 볼수 있게 안내해줬음 좋겠네요 애초에 멀티탭제품을 kc인증이랑 개별접지 안된 제품은 시장에 출하가 안되게 막음 좋겠는데 공산주의 사회도 아니고 그건 좀 힘드려나 모르겠네요
+ 25/07/05 17:53
제가 바로 며칠전에 멀티탭에 꽂아본 사람입니다. 이 글이 조금만 더 일찍 올라왔더라면…
갑자기 에어컨 전원이 안들어오길래 에어컨 고장인가 하고 봤는데 집에 굴러다니던 4구짜리 멀티탭을 가져다 다른 콘센트에 연결했는데 잘 작동하더라구요. 에어컨옆 콘센트에 문제가 생긴것 같아 내일 고치기로 하고 일단 멀티탭으로 다른 콘센트에 연결해둔 상태였습니다. 당연히 들은 풍월은 있어 멀티탭 용량 확인하고 4구짜리지만 에어컨 하나만 연결해둔 상태로요. 근데 한 2~30분쯤 지났나 갑자기 펑 소리가 나더니 플라스틱타는 매캐한 냄새가 나더군요. 황급히 에어컨을 끄고 봤더니 역시나 멀티탭에서 냄새가… 뭔가 불안해서 계속 신경쓰던게 그나마 다행이었습니다. 절대 용량큰 전자기기는 멀티탭에 연결 마시길..
+ 25/07/05 18:09
몇 년 전에 고향집에 에어컨 가동하니까 차단기가 내려가더군요. 왜 그런가 싶어서 콘센트 살펴봤더니 3구 ㅗ 모양 콘센트에 tv랑 공유기에 에어컨까지...
콘센트에서 빼고 보니까 3구 콘센트 에어컨 전원 꼽는 부위가 녹아있었습니다. 화재날 뻔 했죠. 콘센트 용량에 대한 안전 교육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부모님도 그렇고 저도 이런 경험 없었으면 별 생각없이 계속 물려썼을 겁니다.
+ 25/07/05 18:43
이 글을 읽고는 부모님께 전화드려서 에어컨을 멀티탭에 연결하신 건 아닌지 확인해 보시라고 전화드렸습니다.
고맙습니다.
+ 25/07/05 19:07
질게에 한번 저도 댓글로 달았던적있는데,
멀티탭 사용자체가 일단 불가피하다면, 무조건 스위치형을 피하는게 맞습니다.. 글쓴분이 말한것처럼 용량때문이기도 하고, "스위치" 라는 존재 자체가 그냥 위험한 부분 그 자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