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26 21:19:3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10924933
Subject [일반] <승부> - 묘수 대신 정석. (노스포)
저는 바알못입니다. 축이요? 샤프트는 아는데. 빅이요? 후훗, 유비님의 그건 큰가요? 패요? 너 지금 꼴데가 오늘도 졌다고 놀리냐. 여튼, 요는 저는 바둑을 잘 모른다는 겁니다. <승부>는 바둑을 소재로 한 스포츠 드라마지만, 정확하게는 드라마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세세한 부분에서 <승부>는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습니다. 조훈현 9단의 콧노래 같은 거나, 이창호 9단의 포커페이스 같은 부분에서요. 그렇지만, 이게 '바둑'-'스포츠'-'드라마'를 이어서 영화를 지켜봤을 때, 영화의 가장 큰 방점은 '드라마'에 찍혀있습니다.

그러니까, 아마 배우와 관련된 사건사고가 없고, 원래 일정대로 개봉했더라도, 아마 영화의 주인공은 조훈현 9단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해요. 아마 최대한 잘 쳐도 6:4 정도의 비중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영화는 대국을 최대한 감각적으로 담으려고 노력한 느낌이 듭니다. 지는 해와 뜨는 해를 비교하는 장면이나, 혹은 대국의 몇몇 장면들이 꽤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결국 스승과 제자 간의 미묘한 위치와 감정의 변화에 대한 영화이고, 그 미묘한 감정과 흐름에 대한 영화입니다. 그래서 영화는 바둑을 몰라도 되는 영화이고, 만약 이게 실화가 아니었다면, '굳이 바둑이었어야 했을까'라는 생각도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해요.

그래서, 영화는 상당히 '정석적'입니다. 감각적으로 담으려고 노력했지만, 영화 자체는 꽤 담담하고 차분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실화인만큼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영화 자체도 어떤 변주를 굳이 취하는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영화는 변화무쌍하다기보단 담담하고 정석적인 이야기를 최대한 정석적으로 풀어나가는 영화가 아닐까 싶어요. 어찌보면 제작 윤종빈이라는 감각이 그런 느낌을 들게 하기도 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퍼블레인
25/03/26 21:40
수정 아이콘
리뷰를 보니 좀 미묘하네요
그냥 고독한 미식가 극장판이나 봐야하나...
aDayInTheLife
25/03/26 21:46
수정 아이콘
나쁜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5/03/26 21:50
수정 아이콘
아메내리는 호남선~ 남행렛샤에~ 유류유류시쿠 차장 너머로~
aDayInTheLife
25/03/26 21:5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공부맨
25/03/26 22:38
수정 아이콘
지는 해와 뜨는 해에 비교는 어떤 장면이였니요?

개인적으로는 조금 지루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대국.
조금더 압축했으면 어떨까 했네요.
aDayInTheLife
25/03/27 06:56
수정 아이콘
그 첫 패배 후 카메라가 뒤집히는 장면이 있었죠.
25/03/26 22:38
수정 아이콘
세상에서 가장 느린 스포츠를 이정도로 박진감 넘치게 묘사한 것만으로도 성공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 사람들이 다 아는 일화, 게다가 '바둑'이 소재인 영화는 봉준호가 감독한다고 해도 이보다 대중적으로 만족시키기는 어려울 거라고 봅니다.
시선을 끈 과정은 어쨌거나 어그로인 셈이지만, 작품 내적으로 준비된 영화였기에 흥행도 희망적이라고 봅니다.
aDayInTheLife
25/03/27 06:56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실화의 강점이자 단점인 거 같기도 해요.
25/03/26 23:24
수정 아이콘
이 영화가 성공해야 후속작으로 (이창호 vs 이세돌) 한 편, (이세돌 vs 알파고) 로 또 한 편...이렇게 두 편이 더 제작될 수 있다는 농담도 있던데...;;
더히트
25/03/26 23:29
수정 아이콘
???: 인류가 이긴 게 아니라 내가 이긴거다
aDayInTheLife
25/03/27 06:57
수정 아이콘
이세돌 알파고도 참 할 얘기 많을 텐데요 크크크
왕립해군
25/03/26 23:29
수정 아이콘
연기는 좋았으나 스포츠 드라마에서 인물,드라마에 집중하다보니 긴장감이 생각보다 너무 없어서 아쉬웠던..
aDayInTheLife
25/03/27 06:57
수정 아이콘
담백하거나, 밋밋하거나 그렇죠.
한이연
25/03/27 0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굉장히 담담하고 담백한 작품이고 재밌게 봤습니다. 손익분기점은 무난하게 넘을듯 보여요. 400~500만 예상해봅니다. 이병헌 연기는 명불허전이네요.
aDayInTheLife
25/03/27 06:57
수정 아이콘
연기는 참 다들 잘하더라구요. 논란의 그분도..
25/03/27 11:44
수정 아이콘
유아인이 바둑 둘 때 바둑판을 응시하는 표정과 눈매가 이창호 사범님이 많이 매치가 되더군요. 캐릭터의 성격에는 각색이 있었지만 시각적 싱크로율은 상당히 높아서 신기했습니다. 조훈현의 이병헌도 이창호의 유아인도 더 어울리고 잘 할 수 있는 배우를 찾을 수 있을까 의문이 들더라고요.
aDayInTheLife
25/03/27 13:29
수정 아이콘
그 싱크로가 대단하더라구요. 뭔가 얼핏얼핏 보이는 게 정말 공을 많이 들였구나 싶었습니다.
25/03/27 13:56
수정 아이콘
정말 들인 공들이 대단한 노력이었던 것 같습니다. 안면 근육 움찔거리는 것도 비슷하고,, 바둑을 몰라도 재밌게 볼 수 있는 작품이지만, 그 시대 인물들의 모습을 기억하고 있다면 더 재밌을 요소들이 많이 느껴졌씁니다. 기분탓인지 모르겠는데 서봉수 사범님도 조우진 배우와 싱크로 잘 맞는것 같기도 하고..크크
멸천도
25/03/27 16:52
수정 아이콘
저는 잘봤습니다.
aDayInTheLife
25/03/27 17:06
수정 아이콘
저도 막 나쁘거나 그렇진 않았습니다.
계란말이
25/03/28 09:1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사운드도 좋았습니다. 한 수 두는 긴장감을 음악으로 잘 살린 것 같아요.
aDayInTheLife
25/03/28 09:58
수정 아이콘
네 바둑돌 사운드와 음악이 좋더라구요. 되게 전반적으로 감각적이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983 [일반] 뉴욕타임스 2.21. 일자 기사 번역(이집트에서 파라오의 무덤을 발굴하다.) [3] 오후2시3389 25/03/27 3389 0
103982 [일반] 폭군 트럼프의 경제책사 [35] 마그데부르크7092 25/03/27 7092 0
103981 [일반] 사이트 살리기 - 도편추방은 어떨까요 [181] 슈테판9259 25/03/27 9259 3
103980 [일반] 한국이 특별히 부동산에 자금이 많이 쏠린 나라인가? [61] 깃털달린뱀8764 25/03/27 8764 7
10397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5 [7] Poe3423 25/03/27 3423 37
103978 [일반] 도박의 민족 [33] 맥스훼인5949 25/03/27 5949 0
103977 [일반] 트럼프는 왜 정의선 옆에 섰을까 [33] 어강됴리8803 25/03/26 8803 16
103976 [일반] 트럼프는 강대국의 세계 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35] Lz6813 25/03/26 6813 7
103975 [일반] <승부> - 묘수 대신 정석. (노스포) [22] aDayInTheLife4049 25/03/26 4049 7
103972 [일반] Woke(pc와 DEI)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였는가? [15] Q-tip3988 25/03/26 3988 17
103971 [일반] 우리동네 주차 대형빌런을 소개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42] 플래쉬7116 25/03/26 7116 6
103970 [일반] PC주의와 DEI의 본질은 사실상 반달리즘이 아닌가 싶습니다 [58] Gottfried4172 25/03/26 4172 16
103969 [일반] 동아시아 각처에서 산불 피해 속출중 [19] Nacht4647 25/03/26 4647 8
103968 [일반] 우리나라만큼이나 혼란스러운 튀르키예 상황 [39] 철판닭갈비6867 25/03/26 6867 5
103966 [일반] [컴덕심연계층]2부 9950X3d 시스템세팅과 첫소감 [28] Lord Be Goja3549 25/03/26 3549 11
103965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7. 아닐 미(未)·나무 목(木)에서 파생된 한자들 [4] 계층방정1802 25/03/25 1802 4
103964 [일반] 산불 사망 18명 등 인명피해, 의성 고운사 전소, 안동 하회마을 주민 대피령 -> 안동 전 시민 대피령 [65] LuckyVicky12465 25/03/25 12465 6
103963 [일반] [컴덕심연계층]SFF시대에 빅첩을! [8] Lord Be Goja3767 25/03/25 3767 4
103962 [일반]  쫄보의 주식 투자 실패 이야기 (2) [49] 김치와라면5329 25/03/25 5329 12
103961 [일반] 팔레스타인 영화감독 이스라엘 군에 끌려가,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 부고 [14] SAS Tony Parker 6689 25/03/25 6689 1
103960 [일반] 문화상품권(컬쳐캐시X)도 사용정지 수순인가보군요 [17] Cand6924 25/03/25 6924 5
103959 [일반] 서울 강동구에 대형 싱크홀이 생겼다는 소식이네요 [26] 에어컨6763 25/03/25 6763 2
103958 [일반] 책 추천) 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최고의 책 ⟪듀얼 브레인⟫ [18] 마스터충달4966 25/03/24 4966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