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1/28 23:11:12
Name 매번같은
File #1 PYH2025012803160001300_P4_20250128230219285.jpg (123.5 KB), Download : 1347
File #2 1.png (185.0 KB), Download : 1332
Subject [일반]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꼬리에 불…승객 169명 비상탈출 (수정됨)




10여분 전

[속보] 소방당국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신고..출동중"
라는 속보가 떠서 허걱!!! 했는데

다행히도 바로

[속보]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꼬리에 불…승객 169명 비상탈출
라는 인명피해 없다는 기사가 떠서 매우 다행입니다.

다만 기체는 수리로 해결될 정도가 아니라 바로 스크랩(폐기) 처리 해야할듯 합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이 완료되어 에어부산도 대한항공 LCC 쪽으로 들어가야 할텐데 한대 날려먹고 시작하는군요;;;

이 항공기는 9시 55분 김해공항에서 출발하는 홍콩행 에어부산 BX391 이었다고 합니다.

1달 전 사고가 있었다보니 이제 속보 제목만 봐도 너무 걱정이 되네요...ㅜ.ㅜ

추가)
속보 뉴스 영상링크
https://www.fmkorea.com/best/797189554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28 23:12
수정 아이콘
저가항공이 문제가 있는건가요?
매번같은
25/01/28 23:14
수정 아이콘
그건 아닙니다. 에어부산이면 아시아나 자회사라 정비도 빵빵하고, 기체는 A321이라 대형항공사에서도 사용하는 기종입니다. 이번에는 LCC가 문제라고 얘기할 사건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김삼관
25/01/29 00:20
수정 아이콘
크게 관계는 없을거라 봅니다. 운용하는 기체의 수량이 부족해서 한 기의 항공기 결항이나 딜레이로 인한 지연이 승객 스케쥴에 치명적인 연쇄작용이 발생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 것 외에는.. 대부분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고민시
25/01/29 10:25
수정 아이콘
에어부산은 무려 이번사고로 무사고가 깨진다고하니 그건 아닌거같습니다
카이바라 신
25/01/28 23:13
수정 아이콘
비행기가 뜬 상태에서 불난건가요..?
매번같은
25/01/28 23:15
수정 아이콘
지상에서 불이 난겁니다. 승객 다 태우고 활주로 이동 중에 사고가 난게 아닐까 싶은데 자세한 사고 상황 나오면 확실해지겠죠.
강원도
25/01/28 23:14
수정 아이콘
무섭네요 이제..
아서스
25/01/28 23:20
수정 아이콘
그나마 비행중이 아니라서 진짜 천만다행이네요.

비행중 화재났다면, 또 엄청난 대형사고 날 뻔했어요.
뜨거운눈물
25/01/28 23:23
수정 아이콘
너무 다행입니다.
진짜 큰일날뻔했습니다.
시나브로
25/01/28 23:26
수정 아이콘
YTN에서 보고 또 순간 가슴 철렁.
경상자 3명으로 그쳐서 천만다행.
아니 도저히 불가항력 원인인지 뭔지 몰라도 이런 거 엄청 스트레스고 싫어요.
스톤콜드 스터너
25/01/28 23:28
수정 아이콘
인명피해가 없다니 무엇보다도 정말 다행스럽습니다
타르튀프
25/01/28 23:30
수정 아이콘
인명피해가 없었다니 너무 다행입니다. 올해만 벌써 두번째 항공기 관련 사고 소식인데 시급히 개선되었으면 좋겠네요.
25/01/29 05:17
수정 아이콘
얼마 안되긴 했지만 제주항공 사고는 작년 입니다.
無欲則剛
25/01/28 23:32
수정 아이콘
위탁하물이나 수하물중 리튬전지같은게 발화했을거라는데에 50원 겁니다. 
고민시
25/01/29 10:25
수정 아이콘
어디 항공대 교수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네요. 수하물 중에 그런걸 거를 프로세스가 없진않을거같은디 희한하네요
無欲則剛
25/01/29 10:31
수정 아이콘
보조배터리같은건 가지고 들어갈수 있으니까요. 용량이 얼마이상짜리는 안된다는 규정이 각 나라마다 있긴 할텐데 어디까지 확인하는지는 모르겠네요. 한국이나 일본에선 지적당한적이 없어서 별로 신경 쓴적 없지만, 중국에선 짐검사때 보조배터리 용량을 확인하고 탑승후에 휴대폰 충전하려고 하니 기내에서 사용금지라고 제지당한적이 있습니다.
MissNothing
25/01/29 10:42
수정 아이콘
아예 다 제한을 할수가 없어서, 그래도 수하물에는 안넣도록 하는데... 왜냐하면 불이나도 객실이면 조치가 가능하지만 수하물쪽은 조치가 불가능해서
요즘엔 배터리 안들어가는게 없다보니 하나하나 다 거르면 답도없긴하죠.
25/01/29 11:06
수정 아이콘
용량만 안 넘으면 다 들고 탈 수 있는건데 거기서 불이난거면 억까라고 봐야죠
서린언니
25/01/28 23:36
수정 아이콘
작년 12월에 에어부산 타고 갔다왔는데 ...
큰일날 뻔 했네요 다행입니다
다크서클팬더
25/01/28 23:42
수정 아이콘
천만다행입니다..
larrabee
25/01/28 23:58
수정 아이콘
인명피해가 없어 정말다행입니다
김삼관
25/01/29 00:00
수정 아이콘
비행중이 아니어서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고 사고경위 같은 것도 추후에 나올텐데 대체 무슨 일인지 몰라도 특이한 일이 일어났네요..
페퍼민트
25/01/29 00:07
수정 아이콘
아 깜짝이야 아 게시판 버그났나 싶어서 놀랐네요. 천만다행입니다. 인명피해없으면 그걸로 그만입니다. 아이고.
마틴루터킴
25/01/29 08:27
수정 아이콘
왜 불이 났는지랑 기장과 승무원 대처가 잘 이루어졌는지 조사해야죠.
 기사 보면 방송도 제대로 안했다는 얘기가 있어서.
페퍼민트
25/01/29 16:50
수정 아이콘
아 그런건 당연히 있어야겠죠.
근데요. 사고나고 얼마 안되어 뉴스도 속보 처리 되어서 나오던 시점에 사람 안다쳤으면 일단 다행이다라고 한게 뭔 큰 잘못한건가요?
회전목마
25/01/30 16:57
수정 아이콘
‘그걸로 그만‘과 ‘일단 다행이다‘는
의도하시진 않으셨게지만 뉘앙스가 다르게 느껴집니다
25/01/29 01:07
수정 아이콘
인명 피해가 없어서 다행입니다만 걱정이네요.
호머심슨
25/01/29 01:49
수정 아이콘
인명피해가 없어서 다행인데 비행기꼬리에 화재라니?
25/01/29 05:18
수정 아이콘
인명피해가 없는건 정말 다행입니다.
다람쥐룰루
25/01/29 08:31
수정 아이콘
활주로에서 불이 난 게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우리나라는 비행기 이용자 수가 전세계 기준으로도 많은편입니다. 정비와 점검도 필요하겠지만 비행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이번에 좀 됐으면 좋겠습니다.
탈리스만
25/01/29 10:25
수정 아이콘
비행 중에 불났으면 와;; 끔찍하네요
럭키비키
25/01/29 10:29
수정 아이콘
정말 다행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469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2751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6697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2502 4
105008 [정치] 찰리 커크 피살 관련 폭주하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카레맛똥18 25/09/17 18 0
105007 [정치] 모두가 말렸던 예견 된 실패 '한강 리버버스' [35] 오컬트1201 25/09/17 1201 0
105006 [정치] 권력엔 서열이 있다? - 내란특별재판부 관련 논란 [147] 철판닭갈비4345 25/09/17 4345 0
105004 [정치] 권성동의원이 구속되었습니다. [176] 만우11642 25/09/17 11642 0
105003 [정치] 지금 나라 망하라고 고사를 지내는 거냐? (2) [135] 이그나티우스11068 25/09/16 11068 0
105002 [일반] 40대 중반에 첫 애기가 태어났습니다. [135] 짜부리6182 25/09/16 6182 123
105001 [정치] 찰리 커크 사후 미국 백악관과 한국 일부의 움직임 [148] 전기쥐9985 25/09/16 9985 0
105000 [일반] 수학적 법칙으로 풀어본 삶의공식 [9] 평온한 냐옹이4520 25/09/16 4520 0
104999 [정치] 검찰,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이끈 나경원에 징역 2년 구형 [86] Davi4ever7588 25/09/16 7588 0
104998 [일반] 인류의 기원과 자폐 [24] 식별5508 25/09/16 5508 29
10499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4) - 찢어지는 한나라 [3] 계층방정2815 25/09/15 2815 7
104996 [일반] [독서에세이] 이주배경 여성에게 통일교회란? [14] 두괴즐4711 25/09/15 4711 16
104995 [일반] 유부남의 일탈 '아이콘 매치 관람 후기' [10] 소이밀크러버5566 25/09/15 5566 11
104994 [일반] [NYT] 네팔 새 정부, 국회 해산 및 조기총선 예정 [59] 철판닭갈비8372 25/09/15 8372 25
104993 [일반] 뇌과학책들을 읽으며 생각하게 된 것들 [54] p218441 25/09/14 8441 13
104992 [정치] 주간조선에서 조국혁신당 기사를 내놨는데 좀 흥미로운(?) 기사를 내놨군요. [78] petrus12457 25/09/14 12457 0
104991 [정치] "할테면 하라"는 한동훈…법원, 증인 소환장 발송 [104] 베라히11438 25/09/14 11438 0
104990 [일반] [스포] 귀멸의 칼날 무한성1편 - 아카자에게는 체벌이 필요했나 [37] 사부작5624 25/09/14 5624 22
104989 [일반] 한밤중에 심심해서 해본 챗지피티와 해본 짓 [7] 닉언급금지6663 25/09/14 66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