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1/07 16:46:10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66.3 KB), Download : 12
File #2 2.jpg (8.4 KB), Download : 3
Subject [일반] 나일강과 황하의 공통점




정기적으로 범람을 함
범람을 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정기적]이 중요하죠.

나일강은 청나일강이 발원하는 에티오피아 지역 7월에서 9월까지의 계절성 폭우로 많은 비가 내리는데 그 많은 빗물들이 8월에서 10월까지 나일강 하류를 범람하게 하고 11월이 되면 빠져나가서 다시 수위가 낮아집니다.

황하는 곤륜산맥에서 발원해서 오르도스 지역을 지나는데 이 지역은 북쪽에다가 고원지역이라 겨울에는 강이 얼고 봄이 되면 녹는데 그 녹은 물이 친진대협곡을 통해 한번에 넘쳐 하류에 범람을 합니다.

거기에 풍부한 퇴적물도 가져오는지라 매년 새로운 땅이 생기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죠.

나일강과 황하라는 큰 물줄기에 살던 사람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범람을 하니 갈수기와 홍수기의 수위를 측정해 사는 집은 홍수기 수위 위에 짓고 농사는 갈수기 수위 위에서 지어서 충분한 소득을 얻고 문명을 탄생시킵니다.

(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요즘 유튜브에서 지리와 문명의 출현에 대한 영상들을 보다가 괜히 적어보고 싶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우편함안에
24/01/07 17:25
수정 아이콘
이점때문에 비슷한 환경을 지닌 북미 미시시피강 콜로라도
유럽 다뉴뷰와 볼가강 등에서는 문명이 발생치 않았다 하는 설도있지만
그럼 부정기적인 범람이 잦았던 유프라-티그리스강과 인더스는 뭐임?
하게 되기 때문에 환경과 문명발생을 연구하던 역사학자 토인비가
결론적으로 주장하던게 범람-층적토가 광활한 평야지대나 저지대를
인간이 경작가능할정도의 난이도로 제공되는냐에 달렸다고 했죠
물론 그럼 미시시피는? 양자강은 더 층적평야지대가 넓은 메콩강 하구일대는 등등 이
나오는데 결국 환경이 얼마나 인간이 정복가능한가 그리고 시기적절하게 사람들이
그지역에 들어왔는가 등 문명발생에는 운도 상당히 크게 작용했을거라 봅니다
VictoryFood
24/01/07 18:33
수정 아이콘
사실 농경문화는 여기저기에서 나타났는데 문명으로 발전을 못했죠.
문명 발전에는 농경에 더해 뭔가가 더 필요한게 아닌가 싶어요.
닉네임을바꾸다
24/01/07 19: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괴베클리 테페처럼 농경 이전에 도시가 형성되었던거 보면...
아직 주요가설은 아니지만 종교등으로 먼저 모이는게 먼저였을거란 이야기도 있죠 크크
사실 초기농업따위로는 수렵에 비해 불리한점도 많으니까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1/08 07:54
수정 아이콘
사피엔스에서 본거 같은데, 제가 고대인 입장에서 생각해봐도 , 먼저 농사를 짓고 어라 농사지으니 단위면적당 사람이 더 많이 살수 있네? 하면서 인구가 집중되기 보다는, 종교나 전쟁, 안전 등의 이유로 사람이 모이는게 먼저고, 그 사람들이 사냥 채집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농사를 시작했다고 보는게 훨씬 설득력이 있는것같아요.
노둣돌
24/01/08 13:25
수정 아이콘
화전(火田)을 일구는게 가능한지가 중요한 요소라고 하더군요.
꼭 울창한 숲이 아니라도 철제 농기구 발달이 안된 상태에서 경작을 하려면 기존 풀을 불로 태워없애지 못하는 조건에서 농사를 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시각이죠.
양자강 유역인 오나라 월나라의 출현이 늦었고, 그 이남은 한참 후에 개발이 된 게 그 이유 때문이라더군요.
된장까스
24/01/07 19:06
수정 아이콘
양쯔강만 해도 독자적인 문명이 나타났었죠. 황허 문명에 흡수되어서 두드러지지 않았을 뿐이지.
계화향
24/01/07 18:35
수정 아이콘
근데 황하도 치수가 만만치 않았다고 책에서 보기는 했는데... 그래도 사람 살만하니까 낙양 같은 도시도 생기고 했겠죠?
DownTeamisDown
24/01/07 19:23
수정 아이콘
황하에서 그나마 안정적인데가 예전에는 관중지역(장안~낙양) 이었죠.
황토고원이나 아니면 더 하류쪽으로 가면... 하류쪽은 역대 황하 이동을 보면 아시다시피 유역이 여기저기로 바뀌었죠.
24/01/07 20:30
수정 아이콘
중국의 정치 문화가 중앙집권적이고 권위적 특성을 띈 이유를 황하의 특성에서 찾는 시각도 있더군요. 대규모 치수사업 없이는 엄청난 희생을 치를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
티바로우
24/01/08 09:52
수정 아이콘
치수가 빡세니까 강력한 권력이 탄생하는거겠죠
성격미남
24/01/08 07:48
수정 아이콘
황하는 정기적으로 범람? 하긴 하지만 나일강하고는 비교도 안될정도로 난이도가 높아요.
아예 강이 흐르는 경로가 달라지는 수준이라...

현대 중국에서도 상당히 치수에 애먹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메르인
24/01/08 13:07
수정 아이콘
나일강의 이점은 정기적인 범람만이 아니라 도시가 자리잡고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물류(운송-교통) 기능이 너무나도 훌륭하다는데 있을 겁니다.
물살은 강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데, 바람은 반대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하니 배에 물건 싣고 왔다갔다 하기가 더없이 좋았다고 하네요. 물살타고 내려갔다가 올라올 때는 돛만 펴면 되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799 [정치] 이태원 참사 특별법 재의요구 [209] 계층방정17971 24/01/30 17971 0
100798 [일반] 여기 똑똑한 청년이 있습니다. [51] 이러다가는다죽어11045 24/01/30 11045 10
100796 [일반] 갤럭시 s24울트크 (3일간) 간단 사용후기 [77] 윤석열11826 24/01/29 11826 2
100795 [정치] 여론조사 꽃 부산지역 선거구 별 정당 지지율 발표 [78] 아우구스투스17449 24/01/29 17449 0
100794 [정치] 野 탈당파 신당-이낙연 신당, "'개혁미래당' 공동 창당" / 권은희 국민의힘 탈당 [70] Davi4ever11357 24/01/29 11357 0
100793 [일반] 컴퓨존 b760m 박격포 DDR5 특가 풀렸습니다(17만) [46] SAS Tony Parker 7129 24/01/29 7129 3
100792 [일반] 갤럭시 S24 울라리 간단 사용기 [78] 파르셀10284 24/01/29 10284 9
100791 [정치] 오늘 개혁신당에서 여성 신규 공무원 병역 의무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252] 쀼레기15447 24/01/29 15447 0
100790 [일반] 두 개의 파업: 생명 파업, 출산 파업 [74] 조선제일검11551 24/01/28 11551 10
100789 [정치] 유승민 "당을 지키겠다…공천 신청은 하지 않아" [121] Davi4ever14916 24/01/28 14916 0
100788 [일반] [팝송] 그린 데이 새 앨범 "Saviors" [12] 김치찌개4386 24/01/28 4386 2
100787 [일반] [음악이야기]아마피아노 장르를 아시나요? 저의 첫 아마피아노 DJ 셋 공유드립니다~! [5] 세바준4271 24/01/27 4271 0
100786 [정치] 초등교사노조 서울 집회…“늘봄학교, 지자체가 맡아야” [144] 칭찬합시다.12680 24/01/27 12680 0
100785 [일반] 대구 이슬람사원 앞 돼지머리 둔 주민 ‘무혐의’ [176] lexicon11791 24/01/27 11791 12
100784 [정치] FT "남녀 가치관차이, 갈등심화는 범세계적 경향" [127] 숨고르기13093 24/01/27 13093 0
100783 [일반] 서울 도봉구 방학동 아파트 화재사건 분석이 나왔습니다 [34] Leeka10146 24/01/27 10146 3
100782 [일반] 월 6만2천원에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기후동행카드' 드디어 나왔습니다 [53] 프로구210390 24/01/27 10390 0
100781 [일반] 파리엔 처음이신가요? [22] 아찌빠6959 24/01/27 6959 23
100780 [일반] [에세이] 이 길이 당신과 나를 더 가깝게 해주기를 [1] 시드마이어4031 24/01/26 4031 5
100779 [일반] 유럽연합의 규제에 맞춘, 애플의 서드파티 스토어 허용 + NFC 개방 발표 [30] Leeka7835 24/01/26 7835 3
100778 [정치] 비권 92학번은 동년배 운동권에 미안함을 느껴야할까? [167] 칭찬합시다.10988 24/01/26 10988 0
100777 [일반] 꼭두각시의 주인 [12] 머스테인5067 24/01/26 5067 2
100775 [일반] 지방노동위원회 채용내정 부당해고 사건 패소 후기 [50] 억울하면강해져라9857 24/01/26 9857 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