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2/16 09:58:16
Name mayuri
Subject [일반] 보고 읽은 것 푸른 눈의 사무라이(넷플릭스) / 가여운 것들(엘러스데어 그레이) - 스포 주의 (수정됨)
푸른 눈의 사무라이

만화책은 몰라도 애니메이션은 잘 안 보는 편인데 왠지 모르게 끌려서 보기 시작했습니다. 오? 초반부의 몰입감이 장난이 아닙니다. 후반부 부터는 조금 딸리긴 하는데 그래도 재미있게 봤네요.

요즘이라면 꽤나 비판받을 가능성이 농후한 오리엔탈리즘+자포네스크를 정면돌파한 작품입니다. 킬빌을 애니메이션으로 바꾸고 거기에 쌈마이한 B급 정서를 빼고 애니메이션에서만 표현이 가능한 판타지적이면서도 미려한 연출로 채웠습니다. 스토리 면에서는 ‘요짐보’같은 걸작 사무라이 영화들에 왕좌의 게임 같은 권력쟁탈물을 적절히 버무려 놓은 것 같아요. 뭔가 ‘아후 또 짜장면이야? 지겨워 그래도 먹긴 먹어야지. 근데 또 맛있네. 이 집 잘하네.‘ 이런 기분이에요. 새롭거나 특별하진 않지만 맛있습니다. 꽤 잔인하고 선정적인 장면도 있는데, 아무래도 극화적인 연출이고 색 자체가 쨍한 채도를 사용하다 보니 거부감은 좀 덜합니다.

다만 스토리 상의 개연성이 좀 약합니다. 주인공들이 분명 동기는 있는데 ’굳이 이렇게까지?‘ 하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주인공들의 과거나 내면심리 묘사에 좀 더 공을 들여야 시청자들이 납득이 좀 더 되지 않을까 싶네요.
앞으로 어떻게 이야기를 끌어가야 할 지도 숙제입니다. 분명 잘 만든 애니메이션이지만, 그저 잘 만들었다고 해서 살아남을 수 있을 정도로 요즘 ott 시장은 녹록치 않습니다. 이 작품만의 뭔가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어디서 하나씩 다 따온 것 같은 설정과 스토리는 이 작품이 고유한 주제의식이나 뚜렷한 스토리가 없이, 참고한 작품, 레퍼런스에 의해 계속 휘둘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가장 큰 약점입니다. 보면서 계속 원전이 된 다른 작품들이 생각나요. 좀 더 냉정히 이야기하자면, 자기 맛이 하나도 없습니다. 재미있게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완벽히 좋은 평가를 내릴 수가 없는 이유에요.



가여운 것들

‘가여운 것들’은 사실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영화 스틸컷을 보고 관심을 가져서 읽게 된 소설이에요. 이 감독 영화는 재밌게 본 적이 없는데(개인적으로는 은유의 사용이 지나치다고 봐요) 스틸컷 미술들이 밝고 화사한데 비해 시놉시스는 음울하고 변태적인게 제 스타일이더군요.

원작은 영화의 판타지틱하고 현대적인 연출과는 동떨어진, 빅토리아 시대 특유의 음울하고 딱딱한 분위기가 짙습니다. 프랑켄슈타인 같은 그 시대 괴기소설을 오마주한 부분도 있구요. 이 잿빛 캔버스를 역동적인 극채색으로 물들이는 것은 주인공이자 이 작품의 주체라고 볼 수 있는 벨라 백스터입니다. 그야말로 아이같은 천진함과 에너지로 이 인물은 자신 주변의 모든 것을 흔듭니다. 벨라의 모험(?)이 작품의 중반부를 차지하고 상당히 몰입감 있게 읽히는 부분입니다. 어린아이의 감각으로 세상을 훑어가는 묘사는 매혹적입니다. 후반부로 가면 서서히 그녀는 세상의 아름다움과 선의 외에 다른 것도 학습하기 시작합니다. 결말은, 어떤 것이 진짜일까요? 벨라, 아니면 빅토리아? 읽으신 분들과 의견을 나누고 싶은데 좀 큰 스포라서 여기에 쓰기가 꺼려지네요.

작품 외적으로는 제가 영국과 스코틀랜드 역사에 대해 좀 알았더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겁니다. 일단 배경이 글래스고인데다가 주제의식과도 뭔가 연관이 있는 것 같거든요. 그걸 읽을 수 있는 눈이 제게 없다는 것이 아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눕이애오
23/12/16 11:49
수정 아이콘
푸른 눈의 사무라이 단군 유튜브에서 리뷰로만 봤는데 애니도 잘 안 본다는 사람이 평을 상당히 후하게 주더군요.
단군피셜 스토리 요약을 듣고나서 그렇게 재밌나?? 싶었는데 글쓴 분 말씀 들어보니 뭔가 스토리 라인보단 연출이나 몰입성 컨셉살리기가 뛰어난 게 장점인가 싶어요
23/12/16 20:01
수정 아이콘
애니메이션이라기보다는 껍질만 애니이고 내용은 영화나 드라마 같은 느낌이에요 크크
Jedi Woon
23/12/16 19:14
수정 아이콘
푸른눈의 사무라이는 원어가 영어라서 일어 더빙으로 봤습니다. 몰입도가 더 높아졌습니다.
스토리 보단 액션 감상용으로 가볍게 보기 좋았습니다.
23/12/16 20:03
수정 아이콘
저도 그 영어로 일본어를 발음하는 특유의 억양이 좀 신경쓰이긴 하더라구요. “미주우!!”하고 주인공 이름을 외치는데 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652 [일반] 영화 '괴물' 뒤늦고 가벼운 후기 (노스포) [13] 라라 안티포바5380 24/01/06 5380 1
100648 [일반] 의사분들 환자에게 관심 있으신게 맞죠? [95] Pikachu13911 24/01/05 13911 27
100646 [일반] [서평] '변화하는 세계질서', 투자의 관점으로 본 패권 [50] 사람되고싶다8377 24/01/05 8377 18
100593 [일반] 정보화시대에서 정보를 찾는 것의 어려움의 아이러니(feat. 노트북 사면서 느낀점, 뻘글) [18] 랜슬롯5520 23/12/30 5520 5
100559 [정치] [스압] 2023년 한해를 정리하는 오브디이어 A to Z [7] 말랑4751 23/12/27 4751 0
100542 [일반] 두 번째 연애 이야기 [6] 피우피우6066 23/12/24 6066 15
100539 [일반] 레데리2 스토리 66% 잡담 [25] 그때가언제라도7283 23/12/23 7283 1
100536 [일반] 선즙필승 = 과학 [16] 숨고르기9281 23/12/23 9281 9
100516 [일반] [웹소설 후기] 악(惡)의 등교 <스포주의> [10] 일월마가6085 23/12/20 6085 3
100485 [일반] 보고 읽은 것 푸른 눈의 사무라이(넷플릭스) / 가여운 것들(엘러스데어 그레이) - 스포 주의 [4] mayuri6087 23/12/16 6087 1
100482 [일반] 커뮤니티에서 외모에 대한 선망은 다른 부러움과 다른거 같다. [15] 마트과자9762 23/12/15 9762 0
100475 [정치] 제3지대는 어디로... [137] 대장햄토리14270 23/12/14 14270 0
100454 [일반] <헤드윅> - 신도, 인간도 아닌, 오직 헤드윅.(약스포) [12] aDayInTheLife4743 23/12/10 4743 0
100441 [정치] 이준석, 좌성회, 류호정 넥슨 남혐손 입장 [54] brpfebjfi12729 23/12/09 12729 0
100438 [일반] [일상글] 인생 확장팩 36+1개월 플레이 후기 [38] Hammuzzi6379 23/12/08 6379 28
100431 [일반] 기습애니추천 [27] 키모이맨6596 23/12/08 6596 7
100412 [일반] 4분기 애니메이션 중간점검 [54] Kaestro6953 23/12/05 6953 1
100409 [일반] 허수아비 때리기, 선택적 분노 그리고 평행우주(4.추가) [252] 선인장17905 23/12/05 17905 27
100391 [정치] 한국은 사라지는가 ? Is South Korea Disappearing? [41] KOZE13287 23/12/03 13287 0
100386 [일반] <나폴레옹> - 재현과 재구축 사이에서 길을 잃다.(노스포) [16] aDayInTheLife5722 23/12/02 5722 2
100381 [일반] 구글 픽셀 5년차 사용기(스압, 데이터 주의) [37] 천둥8030 23/12/02 8030 11
100370 [일반] 스튜디오 뿌리의 남성혐오표현 사건이 노조간 분쟁으로 번지는 모양입니다 [47] Regentag10294 23/12/01 10294 26
100369 [일반] [서평] '내가 행복한 이유' 그렉 이건 作 [6] cheme6485 23/12/01 6485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