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0/15 14:34: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237160977
Subject [일반] <화란> - 질감으로 구현해낸 질척거리는 바닥.
<화란>은 느와르를 표방하는 영화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인물들의 행동이나 모든 것들이 이해되거나 좋은 영화는 아니지만 특유의 질감은 굉장히 인상적이고 매력적이네요.

밑바닥을 다룬 느와르들은 꽤 많이 있어왔습니다만, 그러한 느와르 장르에서 제대로 된 처절함과 음울함, 어두운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든 경우가 많았습니다. <화란>의 강점은 거기서 나올 것 같네요. 음울하고, 처절하고, 어둡습니다. 어찌보면 2023년에 다시 만든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같기도 해요. 인물 간의 대비도 맘에 듭니다. 엄밀히 따져서 여기 나오는 두 주연 인물들은 비슷한 환경 속에서 비슷한 상황을 겪으며 성장한 인물들인데, 두 배우의 좋은 연기에 힘입어 동질감이 잘 표현된 것 같아요. 그러니까, 같은 덫에 걸린, 혹은 같은 지옥에 갇혀버린 두 소년의 이야기라고 해야할까요.

결국 이 이야기는 '화란'에 가고 싶었던,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이 동네를 뜨고 싶었던 두 인물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야기의 동기나 개연성, 혹은 후반부의 빠른 전개가 모두 만족스럽진 않았어요. 오히려 강렬함에 중점을 두다보니 후반부는 조금 불안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폭발성은 충분하다는 느낌이 들어요. 어떤 느낌으로는 영화가 가지고 있는 어두움과 폭력성으로 약간은 어쩡쩡할 수도 있었던 후반부를 가리고 있다는 느낌도 듭니다.

결국, 이 영화는 호불호가 크게 갈릴 것 같아요. 본질적으로 영화의 강점이 다른 밑바닥 느와르 류의 영화보다 훨씬 어둡고 암울한 데 있다보니, 그 분위기가 익숙한 사람들은 오히려 질릴 것 같기도 하고, 익숙하지 않다면 강렬한 폭력성에 놀랄 것 같거든요. 다만, 저는 적어도 괜찮은 정도의 느낌을 받긴 했습니다. 태어나서부터 갇혀버린 어떤 현세의 지옥 속에서, 희망은 헛 것일까요, 존재하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0/15 14:38
수정 아이콘
신인감독이 만들수있는 폭발력있는 영화라 좋았습니다
송중기가 파이아키아 나와서 말했던 본인이 개런티 받으면 제작비가 올라가서 주변 간섭이 심해질까봐 안받았다는 말도 인상깊었네요
aDayInTheLife
23/10/15 14:48
수정 아이콘
확실히 사나이 픽쳐스 영화 느낌에 신인 감독의 패기가 느껴지는 영화긴 했습니다. 간섭 많이 받았으면 희석되긴 했겠네요.
ioi(아이오아이)
23/10/15 15:37
수정 아이콘
이런 영화가 한국영화가 나아가야할 방향이죠

소규모 제작비, 특출한 개성, 눈을 끌 수 있는 스타의 출연료 낮추기, 신인 감독 시나리오

더 이상 손익분기점 400만, 500만 찍을 제작비로는 영화 만들면 안된다고 봅니다.
aDayInTheLife
23/10/15 16:18
수정 아이콘
다만 이거도 금새 밀리는 모양새라..
23/10/15 20:21
수정 아이콘
영화 설명 대충 보고 송중기 앞세운 그저그런 조폭물인줄알았는데 제가 헛다리를 짚었군요. 확 땡기는데 보러가야겠네요.

항상 리뷰 잘 보고 있습니다.
aDayInTheLife
23/10/15 20:37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송파사랑
23/10/15 21:21
수정 아이콘
별로 평가할 만한 작푿은 아니던데요
aDayInTheLife
23/10/15 22:17
수정 아이콘
흐흐 뭐 감상이야 다른 게 아니겠습니까.
여우가면
23/10/16 00:02
수정 아이콘
한국산 느와르는 무뢰한이 젤 마지막 본 작품이었는데... 질척함(?)의 강도가 혹시 비교해서 어떤가요?
aDayInTheLife
23/10/16 06:39
수정 아이콘
무뢰한..을 안봐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운데 꽤 딥하게 갑니다.
23/10/16 05:01
수정 아이콘
분위기로 조지는데 이야기는 빵꾸가 난 영화였습니다. 뒤로 갈 수록 아쉬웠어요. 그래도 감독이 장르 덕후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무거운 장면을 만드는 능력이나 센스는 있더군요. 그림자를 잘 쓴 영화라는 생각도 들었고요. 분명 장점이 있긴 하지만 여성 관객이 특히 싫어할 거 같고 올해 한국 영화 중에서는 악마들 다음으로 잔인하다고 느꼈습니다.
aDayInTheLife
23/10/16 06:40
수정 아이콘
후반부가 약간의 날림이 드는 건 저도 졈 아쉽더라구요.
Goodspeed
23/10/16 08:38
수정 아이콘
영화 개봉날 보고
결말에 의문점을 가졌는데
본문에 나온 이동진 평론가와 송중기 배우의 인터뷰를 보고 나니
일정 부분 수긍이 가더군요

개인적으로는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하나
호불호는 크게 갈릴듯 합니다
aDayInTheLife
23/10/16 09:33
수정 아이콘
확실히 호불호는 갈릴 것 같아요. 그 질척거리는 바닥의 맛과 폭력성 땜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270 [일반] 피와 살점이 흐르는 땅, 팔레스타인 (9) 봉기 [1] 후추통23799 23/11/16 23799 15
100269 [일반] 엄마 아파? 밴드 붙여 [18] 사랑해 Ji12077 23/11/16 12077 166
100268 [정치] 대법, 尹대통령 장모 '잔고증명 위조' 징역 [123] 바밥밥바19670 23/11/16 19670 0
100267 [일반] 나의 보드게임 제작 일지 ① [16] bongfka11566 23/11/16 11566 11
100266 [일반] 프리우스 5세대 출시일, 가격발표 [49] 겨울삼각형13658 23/11/16 13658 3
100265 [일반] 남자 아이가 빗속에 울고 있었다 [20] 칭찬합시다.12819 23/11/15 12819 64
100264 [일반] 뉴욕타임스 11. 6. 일자 기사 번역(전쟁으로 파괴된 군인들) [12] 오후2시12146 23/11/15 12146 8
100263 [일반] [역사] 덴푸라의 시작은 로마?! / 튀김의 역사 [19] Fig.113547 23/11/15 13547 28
100262 [정치] 1년 인턴을 없애고 2년 인턴을 만드려는 한국 의료의 미래 [116] 헤이즐넛커피15116 23/11/13 15116 0
100261 [일반] 프로젝트 헤일메리: 하드 SF와 과학적 핍진성의 밸런스 게임 [34] cheme15645 23/11/14 15645 26
100260 [정치] "국가 신뢰 무너졌다"...이공계 대학생들 울분 폭발 [207] 시린비29109 23/11/14 29109 0
100259 [일반] 행복은 유전인가 [21] realwealth12651 23/11/14 12651 9
100258 [일반] 멍멍이를 모시고 살고 있습니다(시츄) [52] 빵pro점쟁이12329 23/11/14 12329 54
100255 [정치] 인요한 "BTS, 남은 사람들이라도 軍 면제하자" [125] 기찻길18222 23/11/13 18222 0
100253 [정치] KBS '더 라이브'폐지?, 주진우 하차, 메인 앵커 교체 [116] 빼사스18773 23/11/13 18773 0
100252 [일반] 요즘에는 포경수술을 정말 안하나봅니다. [108] 설탕가루인형형18545 23/11/13 18545 3
100251 [정치] 한국은행 보고서 : 지역거점 도시 집중으로 가자 [65] 사람되고싶다14303 23/11/13 14303 0
100249 [일반] 24년에 나오는 애니 던전밥은 트리거 역대 1,2번째 노려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42] 그때가언제라도10833 23/11/13 10833 2
100248 [일반] 1350명 앞에서 원톱 센터 맡고 노래하기 [24] SAS Tony Parker 14985 23/11/13 14985 5
100247 [일반]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할까?_6.도덕성이 경쟁력인가 [7] realwealth12005 23/11/12 12005 4
100245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25] 푸끆이10742 23/11/12 10742 14
100244 [일반] '최후의 질문' 다시 생각하기 [35] cheme14492 23/11/12 14492 37
100243 [정치] 경기도민 66.3% 김포시민 61.9%, '김포 등 서울시 편입' 반대 [96] 사브리자나18528 23/11/12 1852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