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10/02 22:25:40
Name CV
File #1 Screenshot_2025_10_02_at_22.17.06.JPG (203.1 KB), Download : 1764
Subject [기타] 게임패스 가격인상


드디어 게임패스의 마수에서 벗어날 기회가 온 것 같습니다?

코어 7,900원 -> 에센셜 10,800원
스탠다드 11,900원 -> 프리미엄 14,900원
얼티밋 16,000원 -> 29,000원
PC 9,500원 -> 18,000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나결
25/10/02 22:38
수정 아이콘
그동안 스스로 친게임패스 성향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저도 18,000원이면 해지할 듯 싶습니다.
그냥 하고싶은 겜 세일기간 때 사는게 낫지,,
불량사용자
25/10/02 22:55
수정 아이콘
네이버 멤버십은 어떻게 될 지 모르겠네요.
서비스 시작한 지 얼마 안됐는데 바로 아웃인가.
25/10/02 23:00
수정 아이콘
계약기간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끝나면 바로 아웃이겠죠.
다크서클팬더
25/10/03 03:55
수정 아이콘
누가 문의 보내봤는데 당분간은 그대로고 가격 바뀌면 알려준답니다
Yi_JiHwan
25/10/02 23:11
수정 아이콘
안오른다며!!
25/10/02 23:1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저도 그 말에 속아 콘솔도 샀습니다
그말싫
25/10/02 2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상 29,000원이 되었네요, 퍼스트 데이원은 저기 뿐이니...
한달에 게임 최소 2-3개씩 클리어하는 하드코어 유저가 아니면 그냥 돈 주고 게임 사는 게 훨씬 낫겠습니다.

무슨 업무툴 구독도 아니고 순수 엔터 서비스에서 29000원은 처음 보네요.
담담펀치를땅땅
25/10/03 00:13
수정 아이콘
또 올라? 근데 인상폭도 어마무시하네요
카케티르
25/10/03 00:32
수정 아이콘
헐 29000원이면 저도 지금 구독 끝나면 안할거 같습니다
Lord Be Goja
25/10/03 00:36
수정 아이콘
안오른다고 호언장담하던 시절보다 지금 게임들 가격이 꽤 올라서 압력이 발생했을거같아요
25/10/03 00:5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이 구독경제가 가격이 안 오를수가 없는 구조였죠
25/10/03 00:58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도 꽤 써서 나름 알뜰하게 이용하고 있다고는 생각하는데 갑자기 만원급 인상은 당황스럽긴 해요
Chrollo Lucilfer
25/10/03 01:09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돈 벌어보기 전에는 전혀 공감할 수 없던 말,
돈 벌고나서야 뼈저리게 공감합니다.

진짜 월급 빼고 다 오르네
그냥적어봄
25/10/03 03:53
수정 아이콘
사업 던졌다고 봐요. 언제까지고 적자 감수할순 없긴하죠. 구독료 오를때 볼멘 소리 나오는 그런 패턴이 아니라..진짜로 이용자 많이 떨어져나갈텐대 ms도 내심 알고 있을듯
OcularImplants
25/10/03 07:18
수정 아이콘
퍼스트 재밌는 것만 쏙빼먹고 나가는 사람들 많았어서. 그냥 퍼스트 값 정도 받겠다로 보이는군요
25/10/03 08:08
수정 아이콘
pc가 2배로 오르네요;;;
걍 묵혀도 스팀 쓰는게 낫겠는데요 이러면..
25/10/03 08:18
수정 아이콘
결국 오를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는 생각했는데 얼티밋 2만 9춴원은 한번에 너무 많이 올렸네요.
다시마두장
25/10/03 09:08
수정 아이콘
전 인상 적 가격에도 크게 메리트를 못 느끼긴 했는데 저 가격이면 구독할 사람이 남아있긴 할까 싶네요...
25/10/03 09:24
수정 아이콘
플레이타임 60시간짜리 게임 제가 보통 클리어하는데 1달정도 걸리거든요.
그리고 게임을 언제나 끊임없이 이어서 하는것도 아니고요. 라이브서비스게임말고 1년에 클리어하는 게임은 6~8개 정도..이 정도도 게임 꽤 많이 하는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제가 하는 게임이 다 게임패스에 있지도 않겠죠? 물론 구독도 끊었다가 할게임있을때 다시 시작하고 그럴수도 있지만 단순 1년구독비랑 비교하면 그냥 사는게 낫지않아요? 구작은 할인도 많은데.

마소입장에서는 택도없는 소리겠죠? 근데 그게 게임구독이 처음부터 실패하는 이유에요. 구독제로 해도 할수있는 물리적시간이 너무 없음. 영상컨텐츠에 비해서.
코라이돈
25/10/03 09:45
수정 아이콘
인플레가 심하네요
시무룩
25/10/03 09:49
수정 아이콘
바로 해지했습니다
전에도 취향 맞는게 별로 없다보니 할게 많지 않아서 깔짝 깔짝 하고 말았는데
2.9만원은... 못하겠네요 ㅠ
차라리 2만원짜리 지포스 나우는 내가 하려고 산 게임들이라도 있지
25/10/03 09:53
수정 아이콘
구독료가 겜사는 가격이랑 맞먹으면 누가 구독하죠
타시터스킬고어
25/10/03 10:06
수정 아이콘
가격이 너무 비싸져서 게임 사는 것에 비해 메리트가 전혀 없다고 느껴져요 이러면 구독하는 의미가 없을것 같아서 네이버 멤버십에서 빠지면 더 구독할것 같지 않네요
솜니움
25/10/03 11:06
수정 아이콘
여전히 혜자라고 생각하지만 한국에서의 입지는 추락하겠네요.
영화관 가격 논쟁만 봐도 gdp 성장에 비해 무형 콘텐츠에 대한 대가 인식이 따라오지를 못하고 있죠.
괜히 누x 티비 보유국이 아닌.
+ 25/10/03 12:04
수정 아이콘
지금 반발하시는 분들은 다 무형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분들인가보죠? 불법으로 하겠다는 것도 아니고 스팀 구매 대비 메리트를 못느낀다는건데 누누티비 운운하는건 좀 뜬금없네요.
+ 25/10/03 12:26
수정 아이콘
무형콘텐츠 대가 인식이랑 이거랑 뭔 상관이에요?
마소 게이밍 직원이세요?
+ 25/10/03 12:36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전세계적으로 어떻게 가는지 추세가 나올겁니다. 뭔 한국드립이에요.
구매하는거에 비해서 비싸서 경쟁력이 없다는 이야기들을 하는건데.
무형콘텐츠 인식 문제라니 뭔 20년전 소리바다 시절 이야깁니까.
이미 게임패스 할정도면 보통 스팀에 게임 꽤 보유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스팀이 세일도 자주 하는데 비교해보고 비싸면 안하는거죠.

걍 심플해요. 사는거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서에요. 게임 모조리 다할 시간 있는거 아니면
꼭 해보고 싶은거만 하기 마련인데 당연 저 가격이면 구독이 과금이 훨 쎈데요.
사일런트힐
+ 25/10/03 14:50
수정 아이콘
몸은 외국에 있지민 마음은 여전히 한국을 못 떠나셨군요
사이먼도미닉
+ 25/10/03 16:41
수정 아이콘
그동안 게임 크랙을 만들던 메이저 릴리즈 그룹이 다 어디 출신들이었는데요
+ 25/10/03 16:56
수정 아이콘
레딧에서도 난린데요?
생각좀 하고 댓글 쓰시지
+ 25/10/03 17:04
수정 아이콘
사놓고 안하는 게임도 많은 입장에서 싼맛에 구독했었는데 이제는 진짜 제대로 즐길 사람만 남으라는 의미네요.
구독제 끊고 개별 구매로 전환하는 게 무형콘텐츠에 대한 인식이랑 어떻게 이어지는지 이해는 안 됩니다만.
사일런트힐
+ 25/10/03 17:11
수정 아이콘
게임패스는 핑계고 그냥 국까입니다
정상화
+ 25/10/03 22:09
수정 아이콘
복돌이들은 겜값이 오르건말건 전혀 영향이 없죠
돈쓰던사람들이 울상이지
+ 25/10/03 11:51
수정 아이콘
이름부터 무비패스의 사례를 그대로 따라가는 느낌...
+ 25/10/03 12: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나저나 왜 가격을 저렇게 확 인상할까요?
아마 적자폭이 커서겠죠. 버티기 버거울 정도로. 아니면 고객을 충분히 확보했으니 배짱장사하겠다인데,
네이버 맴버쉽까지 기어들어올 정도면 아마 그 수많은 게임사에 지출하는 비용에 비해 회원이 충분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더 못버티고 손절칠 거 같은 느낌이 많이 듭니다.

x-box 시작으로 게임계에 야심차게 진입한 공룡 마소가
돈으로 똥꼬쇼는 열심히 하는데 결국은 일본 게임업계 터줏대감들을 못이기는 모양새로 가지 않나 보여요.

게임패스가 유독 월정액 모델이 어려운 이유는 제가 아주 짧게 생각해도 몇가지가 보여요.
영화나 드라마에 비해, 한게임 당 고객이 소모하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전략게임의 경우는 하드유저는 3천시간도 합니다. 문명 같은 게임요. 그렇지 않더라도 볼륨 큰 게임은 보통 100시간을 넘깁니다. 겜 단 하나에요.
고객의 24시간은 누구나 똑같고, 그럼 한정된 시간과 체력으로 즐길 수 있는 겜은 결국 선택이 필요합니다.
모두 못즐겨요. 게임패스에 게임이 아무리 즐비해도 말이죠. 그게 넷플릭스와 다른 점이죠. 모두 하기는 힘들어요.
90% 이상의 고객이 말입니다. 그리고 게임패스에 있으니까 재미없어도 억지로 하겠다? 그런 사람이 있을리가요.
결국 재미있는 게임중에서도 몇가지를 선택한다는 건데.

그래서 그 개별게임 패키지 가격과 게임패스 가격을 늘 저울질 할수 밖에 없죠.
그래서 딱 게임 하나에 몰입하는 사람에겐 게임패스가 매력적일 수 없고,
가볍게 이것저것 건드려보고 싶은 사람에게도(그조차도 한달에 2~3개가 평균이겠죠) 이 가격은 꽤 부담인거죠.

저 사람들이 내가 한생각을 안해봤을리 없는데,
아마 많은 유저를 확보하면 가능하다고 생각했겠죠? 근데 그게 지금 안되니까
가격을 올려야되는 악순환에 빠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근데 가격올리면 유저는 더 줄어들거 같아요.

결론: 게임이라는 분야와 월정액은 안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단일 게임에 월정액 매기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죠.
데몬헌터
+ 25/10/03 13: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누가봐도 '충분한' 고객은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무조건 적자폭이라는데 동의함요
+ 25/10/03 17:15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는 배속으로 볼 수도 있고 이어보기도 간편한 반면, 게임은 영상매체에 비해 더 많은 집중력을 요하고 중간에 끊었다가 이어서 즐기는데에 필요한 단계도 많아서 대중성에 한계가 있어서 넷플릭스에 비해 확보할 수 있는 유저도 적을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넷플릭스에 폰게임까지 있다는 걸 생각하면 캐주얼 게임 유저도 잡기 힘들어 보입니다.
+ 25/10/03 13:23
수정 아이콘
여전히 싼거 같긴한데..흠..반응이 어떨지..
환경미화
+ 25/10/03 13:27
수정 아이콘
쿠팡 스포츠패스 보는 느낌이네요...
쿼터파운더치즈
+ 25/10/03 13:35
수정 아이콘
여기보다 레딧이랑 미국에서 10배는 더 난리던데..거기도 누누티비 보나요
종결자
+ 25/10/03 13:47
수정 아이콘
겜패 얼티밋 6년째 구독중인데 겜패는 그냥 싼맛에 AA~B급게임 즐기는 용이지
저 가격이면 그냥 돈주고 최신게임 or AAA게임 사고 말죠.

저는 이번에 기간 다되면 연장 안할 생각 입니다.
데몬헌터
+ 25/10/03 1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모바일 가차 미만 잡이긴 합니다만. 당근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셉습니다.
밀크티라떼
+ 25/10/03 14:10
수정 아이콘
올해 33원정대, 메타포 두개 플레이 했는데 흠...
TempestKim
+ 25/10/03 14:24
수정 아이콘
스팀에서 게임 사는데 평소에 얼마나 쓰냐가 비교대상일텐데
메가트롤
+ 25/10/03 14:28
수정 아이콘
여전히 싼 건데 심리적 저항선은 엄청 올라가겠네요
2024헌나8
+ 25/10/03 16:15
수정 아이콘
가격 올라갈거는 당연한데. 충분한 예고기간을 뒀어야죠
게임패스로 게임 반쯤 깼는데 가격오른사람은 대체 뭐가되나요 크크크
복타르
+ 25/10/03 16:35
수정 아이콘
https://x.com/eXtas1stv/status/1973800189933859234
pc게임패스에 데이원도 없앨것으로 예상한다네요.
+ 25/10/03 16:41
수정 아이콘
데이원 없애기엔 가격이 너무 높은데.. 데이원도 없애고 가격도 유지하면 pc 게임패스는 멸망이네요
+ 25/10/03 17:13
수정 아이콘
게임패스 가입자수가
PSN 가입자수보다 적고
닌텐도 온라인 가입자수보다 적습니다..


이미 실패 확정임
아이폰15pro
+ 25/10/03 17: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옛날부터 계~~~속 그냥 게임패스는 잘못 구상한 사업이라고 주장해왔는데
그때의 엄청난 반발 생각하면 크크크...

아니 누가 게임을 구독해서해요. 하나 깨는데 50시간 60시간 걸리는데다가 3달만 걸려도 그냥 게임 하나 사는게 이득인데.

이 장사가 잘되려면 '독점게임'이라는 소위 말하는 인질이 세상에서 제일 중요했는데 제대로된 현지화 서비스도 구사 못하는 인간들이 뭔 게임 장사를 하겠다는건지... 지금 가격올리는것도 지갑사정이 이제 막바지로 가니까 마지막에 거하게 한탕 땡기기로밖에 안보여요 저는.

닌텐도 스위치는 시장 철수했던 상황에서 무려 한국 정발도 안되었다가 고작 10년만에 스위치2는 국민게임기 될만큼 이렇게까지 한국시장에서 발 제대로 뻗었는데
엑박360 나올때 그렇게 엄청났던 마소가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사업감각이 떨어지고 멸망했을까?
킹리적 갓심으로 그냥 비즈니스맨들이 탁상공론으로 게임패스 이딴거 만들시간에 그돈으로 독점작&콘솔개발에 돈 몰빵해서 압도적인 IP와 완성도로 무장한 게임 신작 10개만 만들어냈어도 10년은 더 해먹엇죠. 진짜 멍충이들.
꿈꾸는드래곤
+ 25/10/03 19:26
수정 아이콘
pc겜패 쓰는 입장에서 신작들 데이원만하면 아직은 가성비 괜찮긴한데.....솔직히 거의 매년 올리는데 서비스가 막 좋아지지도 않고 뭐하는건지 참..
+ 25/10/03 22:16
수정 아이콘
네이버패스 쓰는데 이것도 곧 끝나겠네요. 가격이 저렴해야 구독을 유지하고 간간히 플레이하는 용도로 쓸텐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764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2474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4016 13
81737 [기타] 게임패스 가격인상 [52] CV5597 25/10/02 5597 2
81736 [기타] [2XKO] SOOP 슈퍼토너먼트 : 퍼스트임팩트 by RIOT [5] 염력의세계3568 25/10/02 3568 0
81735 [기타] Do you know Anno1800? [17] 1등급 저지방 우유8182 25/10/01 8182 5
81730 [기타] [철권/스파] EVO 프랑스 2025 한국어중계 & 뷰잉파티(10.10~12) [3] 염력의세계5288 25/10/01 5288 2
81723 [기타] 하데스 2 후기: 잃어버린 경쾌함(스포) [21] 티아라멘츠6903 25/09/29 6903 3
81706 [기타] [모비노기] 아마도 마지막 글이 될듯 한 모비노기 현 상황 [48] 겨울삼각형10731 25/09/24 10731 0
81705 [기타] 오늘 얼리 액세스 출시하는 Aethermancer 에테르맨서 [15] 티아라멘츠11029 25/09/23 11029 0
81654 [기타] 슈퍼로봇대전 Y 후기(스포) [16] 티아라멘츠8136 25/09/12 8136 3
81650 [기타] 어떤 게임 신작과 신기한 저작권법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737 25/09/10 10737 3
81649 [기타] 대도서관이 연 길. 1인미디어, 스트리밍 플랫폼, 그리고 e스포츠 : 대도서관님을 추모하며 [19] 노틸러스13541 25/09/09 13541 41
81644 [기타] 난이도는 평가에 들어가야 하는가? 실크송의 평가 [51] 롤격발매기원9553 25/09/09 9553 0
81637 [기타] 올해의 최다 고티는 어떤 게임이 될까요? [75] Winter_SkaDi9196 25/09/08 9196 2
81625 [기타] 대도서관. 자택에서 사망 발견 [60] SAS Tony Parker 13221 25/09/06 13221 1
81612 [기타] EVO 일부 지분 사우디 공영기업 키디야가 인수 롤격발매기원3830 25/09/04 3830 0
81609 [기타] [작혼] 작성1로 승단했습니다. [26] 마작에진심인남자4217 25/09/04 4217 4
81596 [기타] QWER의 히나, DRX 공식 엠버서더로 합류 [11] EnergyFlow8614 25/09/01 8614 2
81560 [기타] 갖겜 모비노기의 신비한 공지사항 [23] 겨울삼각형9149 25/08/21 9149 0
81551 [기타] 출산 임박이라 휴가 가는 이현경 아나운서 [9] SAS Tony Parker 20221 25/08/16 20221 2
81545 [기타] ewc 철권 2일차까지 결과 [12] 삭제됨9699 25/08/15 9699 0
81530 [기타] (활협전) 업뎃이 떴느냐? [16] 길갈8852 25/08/11 885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