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6/04 00:33:22
Name Riina
Subject [오버워치] [OWCS] 크레이지 라쿤, 댈러스 메이저 우승
https://twitter.com/crazyraccoon406/status/1797418813111337192
올해 오버워치 이스포츠의 중간 결산 대회 댈러스 메이저의 최종 승자는 크레이지 라쿤입니다.
승자 결승에서 팀 팔콘스에게 2:3으로 패하면서 패자조로 내려갔지만,
다시 만난 최종 결승에서 4:2로 복수에 성공하면서 OWCS 아시아에 이어 연속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승자 결승이 끝났을 때만 해도 이번에는 팔콘스가 꽤 해볼만하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먼저 그 동안 라쿤과 만났을 때 스토커의 존재감이 희미해지면서 지는게 주요 패배 패턴이었는데, 새로 들고 온 벤처 카드가 꽤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리고 팔콘이 대회 내내 잘 썼던 마우가 위주 조합을 분쇄할 카드를 몇 시간도 안 되는 사이에 라쿤이 들고 올 리도 없었고요.
마우가 조합끼리의 싸움에서는 나름 괜찮았으니 맵 선택 어드밴티지도 있어서 괜찮아 보였는데...

근데 그 때는 몰랐습니다. 라쿤이 승자 결승에서 모든 카드를 안 꺼냈다는 사실을요.

1세트부터 로드호그 픽으로 승리를 가져오면서 맵 선택 어드밴티지를 역으로 가져오는데 성공했고,
2세트 뉴 정크 시티를 내준 다음 3세트를 마우가를 쓰기 어려운 지브롤터를 고른 다음 맵의 이점을 제대로 살리면서 2:1로 앞서나갑니다.

그러자 4세트에서 팔콘스가 승자 결승에서 이겼던 뉴 퀸 스트리트를 선택했는데,
각자도생하기 좋은 파라, 소전, 레킹볼로 팔콘스의 주요 픽인 마우가, 벤처를 실직자로 만들어버리면서 한타 한 번으로 1점을 먼저 밀어버린다음,
엄청난 거리차이를 빠르게 번 이점을 잘 살려서 매치포인트를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5세트 왕의 길을 프로퍼의 복제 캐리로 팔콘이 가져가면서 분위기가 묘하게 흘러가나 싶었는데,
6세트 일리오스를 립이 오버워치의 GOAT가 본인임을 선포하는 트레이서 플레이로 마무리지으면서 또 한번 라쿤이 팔콘스를 꺾었습니다.

https://twitter.com/OW_Esports/status/1797428174525223085
경기 MVP는 준빈이 받았습니다.
립이 받아도 이상하진 않았는데, 로드호그와 레킹볼 캐리의 임팩트가 너무 컸습니다.
드디어 컨텐 시절 받았던 기대만큼의 포텐을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
축하합니다.


결승전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준빈의 로드호그 캐리 장면
https://twitter.com/OW_Esports/status/1797390200059875444


이번 대회에서 가장 좋았던 점은 거의 모든 영웅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밸런스 패치 이후에 한 동안 대회도 없었고, 대회 준비 기간도 길지 않았고, 대회 일정도 3일로 짧아서 메타가 고착화되기 어려운 환경인 덕도 있지만,
여태까지 모든 오버워치 대회 중에서도 가장 다양한 영웅을 볼 수 있던 대회였습니다.

신규 영웅 벤처는 메타에 잘 녹아들어간 모습이었습니다.
그 동안 오버워치 2 영웅들이 대회에 나오면 엄청 사기여서 무조건 쓰이거나 (소전, 정커퀸, 키리코, 라마트라, 일리아리, 마우가),
아예 쓰이지 않거나 (라이프위버) 둘 중 하나였는데, 이번에는 딱 중간을 지켜서 적절하게 쓰이는 정도로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좋은 스킬 성능과 별개로 짧은 사거리라는 극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 만큼 당연한 결과가 아닌가 싶네요.

그 동안 보기 힘들었던 영웅도 많이 나왔는데, 비주류중의 비주류 라이프위버를 에코 출시 이후 사라졌던 파라와 같이 사용하는 장면도 있었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결승전 1세트에서 경쟁전에서 아군으로 가장 만나기 싫은 탱커 1위 로드호그를 꺼낸다던가,
마우가를 카운터치기 위해서 레킹볼을 꺼낸다든가 하는 장면도 있었습니다.
이런 저런 말이 많긴 했지만 최근 블리자드가 벌인 대격변 패치와 이에 따른 후속 패치들이 적어도 대회에서만큼은 잘 작동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편 우려되는 점도 있었습니다.
0승 15패. 이번 대회에서 한국 팀을 상대로 유럽과 북미의 팀이 거둔 세트 성적입니다.
정확하게는 팔콘스와 ENCE간의 무승부 경기가 있었기 때문에 0승 1무 15패긴 하지만 한 세트도 못 이겼습니다.
이번 시즌 두 팀이 서로가 아닌 팀에게 진 것이 예티에게 라쿤이 당한 단 한 경기 뿐일정도로 압도적인 강팀인건 맞는데,
그래도 몇 세트 정도는 가져왔어야 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래도 유럽의 SSG와 ENCE는 나름 선전하면서 자존심을 지켰습니다.
북미 두 팀 토론토 디파이언트와 M80을 집으로 보내면서 3위와 4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했고, 사우디 이스포츠 월드컵 진출도 확정지었으니까요.

문제는 북미 팀들인데, 홈그라운드에서 치룬 대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에도 박살나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참가에 의의를 두는 수준이였던 NRG 쇼크 (대회 직전 SOG 로스터로 창단한 팀)야 그럴 수 있다 쳐도,
M80과 토론토는 더 나은 경기를 보여줘야 했습니다.
특히 정상급 한국 용병을 쓰면서 자국 대회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다면 말이죠.

이번 대회에서 북미의 더 안타까운 점은 용병을 제외한 토종 선수들의 활약이 거의 없었다는 것입니다.
리그 시절 컨텐더스 북미 최대 아웃풋이였던 아메리칸 토네이도 이후 북미 유망주들의 상태가 전체적으로 안 좋은 편이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지역과 견줄만한 수준의 딜러가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보입니다.
유럽에는 캡스터, 카이, 스파커, 쿼츠 등이 있고, 중국도 리브, 샤이 등 한국 선수들이랑 해볼만한 딜러가 있는 반면에 북미에는 없습니다.
이쯤되면 그냥 미국은 게임을 못하는게 맞는걸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인인만큼 한국팀에 더 애정이 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오버워치 이스포츠를 위해서는 외국에도 강팀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도 있네요.
다음 사우디 월드컵에서는 좀 치열한 승부를 봤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다음 사우디 대회가 7월 말이라, 한동안 한국팀이 출전하는 오버워치 이스포츠 대회는 없습니다.
북미와 유럽, 오세아니아에서는 사우디 이스포츠 월드컵 선발전을 겸하는 페이스잇 대회를 진행하는데, 한국에도 뭔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다음 사우디 대회 전쯤에 다시 오버워치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04 00:36
수정 아이콘
트위터 링크가 바로 삽입이 안되네요...
유나결
24/06/04 0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승전 경기야 1년 내내 두팀만 붙이고 싶다고 느낄 정도로 최고의 재미를 선사해줬고 훌륭했죠. 팔콘의 트레(혹은 겐지) 벤쳐 마우가 조합을 빠르게 카운터 해낸 크레이지 라쿤의 선수들과 감코진의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깜짝호그픽이나 소전 파라 볼 이라는 조합의 등장 등 전략적으로 볼거리도 풍성한 경기라 좋았어요.
24/06/04 10:00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 2 역대 결승중에 최고가 아니었나 싶네요. 수준도 높은데 미러전도 아니라니!
유나결
24/06/04 02: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와 별개로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한국과 타지역 간의 차이가 가장 큰 포지션은 메인힐 자리라고 느꼈습니다. 물론 치요 초롱은 메인힐 전세계 1,2위 다투는 선수들이라 비교가 너무 할 순 있긴 한데, 소위 경쟁전이었으면 티어 차이가 난다고 느낄 정도로 치요 초롱에 비해 생존력이 뒤떨어지는 포지셔닝과 템포를 못살리는 의아한 스킬활용 등을 보자니 ‘저 지역에서는 저게 응징이 안되나?’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정확한 근거에 의한건 아니지만 유달리 에이젝스나 추모비트가 많이 나온 듯한 느낌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24/06/04 09:59
수정 아이콘
북미나 유럽이나 다 메인힐러 기근이 심각하죠. 북미는 진짜 노답이고, 유럽도 언제적 퍼니아스트로, 마사가 뛰고 있으니까요. 이재곤 급 낙사 플레이가 아닌 이상 주목받기는 힘들고, 투섭힐 메타가 오면 출전도 못하고(투섭힐, 투 메인딜, 투섭딜 메타는 있어도 투 메인힐 메타는 없죠), 그래서 유저 자체가 적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24/06/04 09:34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아시아 지역에 3자리 줘야하는거 아닌가요. 2팀 나왔는데 1/2등 차지했으니, 2장은 너무 적어보여요.
24/06/04 09:46
수정 아이콘
파이널에 몇 팀이 참가할 지 포맷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안타깝게도 아시아에 할당된 슬롯이 늘어나진 않을거 같아요. 블리자드 게임 서비스가 중국에서 재개될 예정인데, 유럽하고 북미 한 장씩 깎아서 중국한테 가지 않을까 싶네요.
shadowtaki
24/06/04 09:59
수정 아이콘
딜러가 중요한 메타가 오니까 한국이 확 사네요. 그리고 게임 보는 맛도 확 살구요.
작년 옵드컵 때 바스/시메/메이 메타는 팀합이 중요하긴 했지만 보는 맛이 없었던 것 같거든요.
24/06/04 10:0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난전 메타가 보는 맛이 훨씬 좋죠. 블리자드도 이 정도 메타를 지향점으로 삼아서 밸패를 해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24/06/04 13:11
수정 아이콘
팔콘스가 옵치 팀도 있었군요. 몰랐습니다...
오일머니의 힘은 대체 어디까지 덜덜
24/06/04 14:12
수정 아이콘
리그 종료 이후에 새로 창단했는데, 오일머니의 힘으로 어마무시한 로스터를 구축했습니다. 그래서 어우팔 소리까지 듣던 팀인데, 하필 미친 너구리가 튀어나오면서 콩을 캐고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91 [LOL] 디도스 근황 [117] 리니어13078 24/06/08 13078 7
79690 [LOL] 아뚱/훈수킹이 LPL 유튜브 업로드 권리에 이어, LEC 중계권을 획득했습니다. [11] Leeka6287 24/06/07 6287 4
79689 [발로란트] 스택스가 티원으로 갑니다 [12] 리니어4825 24/06/07 4825 3
79688 [발로란트] 세계 2위 확정까지 단 1세트! 젠지 [16] 김삼관3981 24/06/07 3981 2
79686 [LOL] 4대미드 시대의 끝. 2대미드 강점기 또는 쵸비 시대의 서막 [118] seraphe9040 24/06/07 9040 4
79685 [LOL] 돌아온 건 아니구요, 떠난 적 없습니다. l Game Not Over Teaser [12] 정공법7005 24/06/07 7005 1
79684 [모바일] 답은 여캐였다...(명조 음림 출시 맞이 간단 리세 방법.) [45] 대장햄토리7318 24/06/06 7318 4
79682 [LOL] LCK 서머 티켓팅 안내 [2] SAS Tony Parker 4172 24/06/06 4172 0
79681 [모바일] [랑그릿사 모바일] 역대급 5주년 이벤트, 지금 이 게임을 시작하세요! [104] 통피5475 24/06/06 5475 5
79680 [뉴스] 옥토패스 트래블러 2 엑스박스 출시 + 게임패스 [5] CV4036 24/06/06 4036 3
79679 [기타] [철권8] ATL 슈퍼토너먼트 TWT & EWC (6.8~9) [2] 염력의세계2198 24/06/06 2198 0
79678 [LOL] 고양 소노 아레나 T1 홈그라운드 가격 공개(스케줄 추가) [256] SAS Tony Parker 12333 24/06/05 12333 0
79677 [PC] (스포주의)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프리뷰 영상 [16] 김티모5508 24/06/05 5508 0
79676 유니세프 페이커 패키지 기부 동참 보고 및 이벤트 당첨자 발표 [13] 及時雨3854 24/06/05 3854 4
79674 [LOL] [LEC] 와디드가 LEC 한국어 중계권을 갖고 왔습니다. [26] BitSae7720 24/06/04 7720 7
79673 [LOL] 프레이 김종인 전역 [25] 카린6849 24/06/04 6849 3
79672 [LOL] 젠지&쵸비는 LCK 팀 상대로 몇번이나 졌을까? [14] Leeka5893 24/06/04 5893 0
79671 [LOL] 2021~2024 미디어데이 우승팀 투표 결과 [27] Leeka4202 24/06/04 4202 0
79670 [LOL] “홈 경기 보장하라, 소통 없는 프런트” KT 롤스터 팬덤, 본사 앞 트럭 시위 [106] Leeka7937 24/06/04 7937 1
79669 [뉴스] "용과 같이" 게임이 아마존 프라임 드라마로 만들어집니다. [33] 매번같은3306 24/06/04 3306 0
79668 [오버워치] [OWCS] 크레이지 라쿤, 댈러스 메이저 우승 [11] Riina2569 24/06/04 2569 0
79667 [발로란트] 어느새 마스터즈 마지막 주가 되었습니다. 젠지는? [6] 김삼관2779 24/06/04 2779 1
79666 [LOL] LPL 서머 한국 BJ 중계 가이드 공개 [2] Leeka5494 24/06/03 549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