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8/31 19:50:13
Name 껌정
Subject [LOL] LPL 미드 6인 순위를 매겨봅시다.
'Rookie' 송의진

2014 LCK 서머 우승
2018 월드 챔피언십 우승
2019 LPL 스프링 우승

2016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18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18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22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18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2018 LPL 서머 미드 퍼스트
2022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Doinb' 김태상

2019 LPL 서머 우승
2019 월드 챔피언십 우승

2017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19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21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17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2020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2021 LPL 서머 미드 퍼스트


'Scout' 이예찬

2016 LPL 서머 우승
2017 LPL 서머 우승
2021 LPL 서머 우승
2021 월드 챔피언십 우승

2017 LPL 서머 결승 MVP
2021 LPL 서머 결승 MVP
2021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2023 LPL 스프링 정규시즌 MVP
2023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21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2023 LPL 스프링 미드 퍼스트


'Xiaohu' 李元浩 Li Yuanhao

2016 LPL 스프링 우승
2018 LPL 스프링 우승
2018 MSI 우승
2018 LPL 서머 우승
2021 LPL 스프링 우승
2021 MSI 우승
2022 LPL 스프링 우승
2022 MSI 우승

2016 LPL 스프링 결승 MVP
2017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21 LPL 스프링 탑 퍼스트
2021 LPL 서머 탑 퍼스트
2022 LPL 서머 미드 퍼스트


'knight' 卓定 Zhuo Ding

2020 LPL 서머 우승
2023 LPL 스프링 우승
2023 LPL 서머 우승
2023 MSI 우승

2019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20 LPL 서머 정규시즌 MVP
2020 LPL 서머 결승 MVP
2023 LPL 서머 결승 MVP
2023 MSI 결승 MVP

2019 LPL 서머 미드 퍼스트
2020 LPL 서머 미드 퍼스트
2023 LPL 서머 미드 퍼스트


'Yagao' 曾奇 Zeng Qi

2020 LPL 스프링 우승
2022 LPL 서머 우승

2022 LPL 결승 MVP



아시안게임까지 볼게 없는 와중에 써보는 뻘글입니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 LPL을 주름잡고 있는 대표 미드 6인의 우승, MVP, 올프로 퍼스트 경력입니다.

LCK 선수들도 아니니 가벼운 마음으로 순위 매겨보고 싶습니다.

최약체로 보이는 야가오를 제외하곤 각자 내세울만한 부분들이 있어서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죤투
23/08/31 19:53
수정 아이콘
스루도샤나야
23/08/31 19:56
수정 아이콘
스도루샤나야
타르튀프
23/08/31 19:57
수정 아이콘
스-도-루-샤-나-야
23/08/31 19:57
수정 아이콘
루키 커리어가 너무 아쉽당..
묻고 더블로 가!
23/08/31 20:00
수정 아이콘
루키는 아무리 팀운이 없었네 뭐네 해도
프로생활 10년간 롤드컵에 단 3번 진출한 건 깎일 수 밖에 없는 요소죠
23/08/31 20:08
수정 아이콘
도인비도 1우승 1조별딱이긴하죠 크크크크
Extremism
23/08/31 20:08
수정 아이콘
1. 루키 2. 스카웃 3. 도인비 4. 샤오후 5. 띵구 6. 야가다
루키가 세월이 좀 지나서 희석되서 그렇지 전성기 폼 자체는 페이커와 스타일이 다르지만 동급에 가까운 슈퍼크랙이였고
원장롤(...) 단어가 스카웃이 퍼뜨렸지만 루키가 이미 15,16 스프링 때 했던지라... 이쪽도 마찬가지로 고통받던 세월이
커리어 누적으로 가니 말년에 월즈 진출이 스카웃에 비해 너무 초라하긴하네요. LCK에서 마저도 나진쉴드한테 역대급 역배로 잡혀버렸으니 ;
니시노 나나세
23/08/31 20:21
수정 아이콘
루스도
샤나야

루키 스카웃은 그래도 18임팩트가 너무 역대급이라 루키가 위로 보입니다.
23/08/31 20:51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고점이긴 했죠 18 롤드컵 루키
김연아
23/08/31 20:27
수정 아이콘
탑은 루도의 경쟁이고 루키를 좀 더 높게 봅니다

루도의 원장직 경력을 생각하면 스카웃이 비빌 수 없다 봅니다

그 둘이 커리어 입증 못했으면 모를까 충분히 증명했죠

그래서 줘딩이 롤드컵만 들면 바로 탑일 것 같은데...
23/08/31 20:52
수정 아이콘
올해 롤드컵까지 들면 스프링 서머 MSI 롤드컵까지 다 먹는거라 1위 가능할 것 같아요
알빠노
23/08/31 20:40
수정 아이콘
루키 도인비 스카웃 샤오후 나이트 야가오
포커페쑤
23/08/31 20:41
수정 아이콘
스샤루도나야
루키는 롤드컵 못온지 몇년째인게 마이너스요소 큰것같아요
23/08/31 21:21
수정 아이콘
올해전까지는

루도스-샤나-야

올해 지금까지는

스루도-나샤-야

루도스 3미드에서 스카웃이 제일 뒤쳐져 있던 부분이 올해 메꿔졌다고 봅니다
티아라멘츠
23/08/31 21:26
수정 아이콘
스루도샤나야
이정재
23/08/31 21:33
수정 아이콘
도인비 루키 스카웃 나이트 샤오후 야가오
23/08/31 21:49
수정 아이콘
올해를 기점으로 스카웃이 루키를 근소하게 제쳤다고 생각하고 도인비는 정규 시즌에선 패왕이지만 플옵, 선발전에서 다른 미드에게 경기력에서 먹히면서 진 경기들이 많은 게 흠이라 남들만큼 고평가는 못하겠네요. 저는 스루나도샤야로 봅니다.
Polkadot
23/08/31 23:08
수정 아이콘
스 ㅡ 루,도 ㅡ 샤 ㅡ 나 ㅡ 야
23/09/01 01:19
수정 아이콘
스카웃 - 루키 - 도인비 - 샤오후 - 띵구 - 야가다햄?

한국인 3인의 평가는 좀 다른데

중국인 3인의 평가는 거의 고정되어 있네요 크크크
23/09/01 01:41
수정 아이콘
스카웃 - 루키 - 도인비 -샤오후 -나이트 - 야가오

이긴 한데 스 루 는 전 바뀔 수 있다고 봅니다.
루키의 꾸준함을 전 높게 쳐주고 싶어서

이대로 루키가 내년에도 월즈 못오고 이러면 스카웃일거 같긴 한데.. 올해까지는 그래도 둘이 비슷하다고 생각
양 웬리
23/09/01 03:09
수정 아이콘
루키 - 스카웃 - 도인비 - 샤오후 - 나이트 - 야가오
커리어는 스카웃이긴 한데..
전성기 루키는 페이커에 비견되는 몇 안되는 크랙이었어서.. 그냥 개취입니다.
미카엘
23/09/01 07:19
수정 아이콘
스루도샤나야
23/09/01 07:44
수정 아이콘
루키가 인상깊었던게, 미드 라인전의 개념을 최초로 발견하고 퍼트린 사람은 페이커고 그것을 정형화시키고 완성시킨게 루키다.
결국 그 강력한 라인전으로 롤드컵까지 먹은게 참... 저는 그래서 루키라고 생각합니다.
Liberalist
23/09/01 08:49
수정 아이콘
저도 스루도샤나야 순입니다. 작년까지였다면 루키를 맨 앞에 세웠을텐데, 루키가 월즈를 못 나온지가 너무 오래돼서 슬슬 평가를 깎아야 할 것 같습니다.
킹이바
23/09/01 08:58
수정 아이콘
루키 도인비 스카웃 샤오후 나이트 야가오
단순 월즈 진출만 보고 평가하기엔 꾸준함에서 여전히 누적 차이가 나고
고점에서 역대 탑3라고 생각히기에 루키를 넣었고 도인비 역시 마찬가지로 아직은 스카웃과 누적 차이가 나서..

커리어 줄세우기를 좋아하는 한국에선 스카웃이 꽤 좋은 평가를 받고있긴한데
현지에선 여전히 루키 도인비가 평가에서 많이 앞서는 걸로 압니다.
물론 스카웃의 최근 기세가 워낙 좋으니 못 따라잡을 차이는 아니지만요.
아지매
23/09/01 09:42
수정 아이콘
스카웃 - 루키 -도인비 - 샤오후 - 나이트 - 야가오.
그냥 딱 커리어 순서.
23/09/01 10:20
수정 아이콘
루키-스카웃-도인비-샤오후-나이트-야가오
스카웃을 1순위로 두는 평도 이해되지만 루키의 고점에서 보여준 임팩트가 워낙 인상적이다보니 루키를 1위로 뽑았습니다.
Panthalassa
23/09/01 11:33
수정 아이콘
루키 스카웃 도인비 샤오후 나이트 야가오 순서요

다만 스카웃이 이번에 8강에 또 가고 작년 월즈 정도로 활약하면 루키 역전하고 역2미라 생각합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3/09/01 11:40
수정 아이콘
스루도사나야
23/09/01 14: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루키 도인비가 몇년에 걸쳐 어떤 퍼포먼스를 보였는지 생각한다면 스카웃이 넘었다고 하긴 아직 이르다봅니다. 18 RW 도인비나 21 V5 루키의 시즌을 "롤드컵 못갔으니 프로 커리어 평가에 마이너스"로 칠지, "전년도 최하위권팀을 본인이 가자마자 리그 상위권 팀으로 떡상시킨, 개인 평가에 플러스" 시즌으로 칠지 고르라면 전 고민도 않고 후자라서... 루키 도인비는 저런 시즌들이 진짜 많기도 하구요
다시마두장
23/09/01 15:29
수정 아이콘
LPL 최초 월즈 우승의 주역이자 영원한 원장 루키를 아직까지는 첫 손가락에 꼽겠습니다.
언제나 S급 평가였던 스카웃, 들어가는 것 만으로 팀의 전력을 S급으로 만든다는 평을 듣던 도인비 중 어느쪽을 우선할 지가 고민되네요.
그 아래는 역시 샤오후 나이트 야가오 입니다 크크.
23/09/01 17: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위에 댓글을 보고 선수들이 롤드컵을 몇번 진출했는지 검색해봤는데 흥미롭네요.

루키 : 10년동안 3번 진출 <30%>
도인비 : 8년동안 2번 진출 <25%>
스카웃 : 8년동안 6번 진출 <75%>
샤오후 : 9년동안 7번 진출 <77.7%>
나이트 : 5년동안 3번 진출 <60%>
야가오 : 6년동안 3번 진출 <50%>

커리어와 롤드컵 진출횟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스-루-도-샤-나-야 라고 생각합니다.
23/09/01 22:29
수정 아이콘
다 아니라도
스루도와 사냐야의 차이는 확실... 롤드컵 위너냐 아니냐의 차이는 크죠. 그것도 미드인데.

워워 줘딩.
한국안망했으면
23/09/02 03:29
수정 아이콘
야가오가 낄자리가 아니라고 봅니다
샤오후 나이트도 엄청 대단한 선수라서
23/09/04 15:36
수정 아이콘
루 스 도 나 샤 야 루스도는 큰 차이 안 느껴짐
구승빈과김종인
23/09/04 18:33
수정 아이콘
루키의 LPL 역사를 생각해보면 전 루키의 손을 들어주게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0005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85540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55261 13
81484 [LOL] [단독] '페이커 군단' T1 경영권 매각 착수, 美 컴캐스트가 품나 [39] 유머3700 25/07/31 3700 1
81483 [LOL] 레전드와 라이즈 재밌게 즐기고 계신가요? [22] TAEYEON2184 25/07/31 2184 1
81482 [오버워치] [OWCS] EWC 오버워치 프리뷰 [4] Riina4391 25/07/30 4391 2
81481 [기타] [철권8/스파6] EVO 2025 한국어 중계 방송 & 뷰잉파티 (8.1~4) 염력의세계5124 25/07/29 5124 0
81479 [LOL] 럼블 버그 이슈 [40] 햅피12423 25/07/29 12423 0
81478 [LOL] 페이커 재계약 관련 뉴스 및 반응들 [35] TAEYEON13907 25/07/28 13907 12
81477 [LOL] T1 FAKER 이상혁 4년 재계약 [121] 미드나잇블루20366 25/07/27 20366 15
81476 [LOL] 페이커, 4년 재계약. 2029년까지 T1선수로 [81] Leeka14241 25/07/27 14241 10
81475 [랑그릿사 모바일] 본섭 7주년 특별 생방송 내용 간단 요약 !! [7] 통피6365 25/07/27 6365 2
81474 [LOL] 1승이 쉽지않다 DN프릭스vsDRX, 홈그라운드를 축제로 끝낸 T1vs농심. LCK 3라운드 일요일 경기 후기 [16] 하이퍼나이프8157 25/07/27 8157 1
81473 [LOL] 2025 T1 홈그라운드 "원정관람" 후기 [4] Rorschach6900 25/07/27 6900 12
81472 [LOL] 2025 월즈는, 기존 월즈와 다른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36] Leeka8504 25/07/26 8504 6
81471 [기타] 2025 T1 홈그라운드 2일차 정산: 홈그라운드 이벤트의 명과 암 [4] 노틸러스4892 25/07/26 4892 18
81470 [LOL] 돌아왔구나! LCK 3라운드 DKvsBFX, 한화생명vsKT 후기 [22] 하이퍼나이프6857 25/07/26 6857 7
81468 [랑그릿사 모바일] 필독! 한섭에 날개꺾인새와 렌달, sp티아리스가 옵니다! + 중섭 신규 영웅 소개 [31] 통피7638 25/07/25 7638 4
81467 [LOL] 호랑이를 안방에 불러들여 사냥에 성공한 T1 - LCK 3라운드 T1 vs 젠지 [133] 하이퍼나이프15511 25/07/25 15511 15
81466 [기타] 최근 글로벌 게임업계 동향에 대한 글 소개 [8] EnergyFlow7701 25/07/25 7701 1
81465 [스타2] 우리 종족도 좀 우승하게 해주세요! 흑... (ewc 2025 스타2 프리뷰) [26] 원장6695 25/07/25 6695 7
81464 [LOL] 제우스 파이팅 [45] 감자크로켓7938 25/07/25 7938 33
81463 [LOL] T1 팬을 욕하지 말라. [443] 동쪽의소나무14516 25/07/25 14516 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