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4/01 09:41:55
Name 102
File #1 PWS1.jpg (322.4 KB), Download : 930
File #2 PWS2.jpg (408.8 KB), Download : 932
Link #1 https://liquipedia.net/pubg/PUBG_WEEKLY_SERIES/2023/KOREA/Phase_1
Subject [기타] 배틀그라운드 대회도 살아있어요. (PWS PHASE1 그파 결과)




대회일정이나 방식같은건, 관심없는분은 관심없을거같고
아직 배그대회에 관심있는분들은 다 알고계실듯하여 자세히 적지는 않겠습니다.

최대한 간단히 최근 배그프로판 돌아가는방식을 적어보면
PWS1 - PGS1 - PWS2 - PGS2 - PGC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PWS = PUBG WEEKLY SERIES
PGS = PUBG Global Series
PGC = PUBG Global Championship

각 지역별로 역사와 전통 그리고 스폰서 조직구조, 팬덤, 실력 등등을 종합평가하여 파트너팀을 선정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젠지 1팀이 뽑혔습니다.
파트너팀은 어떤 혜택이 있느냐,  
첫째로 해당 파트너팀을 상징하는 인게임 아이템등을 팔아서 일부 수익을 받습니다.
둘째로 PGS (PUBG Global Series) 자동참가 시드를 받습니다.

어제 끝난 PWS1는 PUBG WEEKLY SERIES (PHASE1)  입니다.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상위권 경쟁이 상당히 치열했습니다. 오랜만에 대회를 본 분들은 모르는팀이 많아서 당황스러웠을겁니다.
아마추어팀들도 참여했습니다. PWS가 아마추어들에게도 몇자리를 열었거든요.
PWS에서 4팀만 PGS에 참가할 수 있는데, 글로벌파트너팀은 순위와 상관없이 무조건 4팀안에 들어간다고 위에 적었습니다.
이번 그랜드파이널에서 젠지는 4등안에 들지못했지만, PWS에는 자동진출했습니다. 그래서 최종4등인 광동프릭스는 PGS에 나가지못합니다.
하지만 글로벌파트너팀도 PGS까지는 자동출전이지만, PGC는 자동출전이 아닙니다.
PGC는 PGC포인트 상위팀들이 올라오는데, PGC포인트를 얻으려면 PWS에서 높은순위를 기록하여 포인트를 쌓아야 하거든요.

쉽게 풀어보면 PWS를 통해 PGC포인트를 획득해야한다.
PWS상위팀과 글로벌파트너팀이 PGS에 진출한다.
PGS대회는 PGC포인트가 없다. [단 PGS누적 상위4팀은 PGC에 직행한다]

대한민국의 PWS (PUBG WEEKLY SERIES)를 통해 자동진출인 젠지포함 4팀이 선발되어 PGS (PUBG Global Series) 대회에 나갑니다.
PGS (PUBG Global Series)1차대회는 4월27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PWS 다나와의 우승을 축하하며, PGS 한국팀의 활약도 기대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이스타일
23/04/01 09:46
수정 아이콘
어제 젠지의 19킬 치킨과 다나와 마지막 치킨 보는데 물 올랐더군요
작년 PGC에서는 교전능력 자체에서 해외팀과 격차가 많이 느껴졌었는데 올해는 좋은 모습 보여주면 좋겠네요
23/04/01 10:00
수정 아이콘
어제 다나와 마지막에 2대4 상황에서 2명씩 전담할때 소름돋긴 하더군요. 개개인 능력치도 좋은데 잔실수 줄이면 더 좋을거같아요. 화끈한건 다나와인데, 안정감 자체는 기블리가 보기 편한느낌이 들더군요.
raindraw
23/04/01 11:24
수정 아이콘
지금보면 꽤 재밌는 대회인데 초창기에 운영을 잘못해서 별로 보는 사람이 없어서 안타깝습니다.
23/04/01 12:42
수정 아이콘
지금와서 이랬었으면...이런말 해도 소용없다는게 더 슬프네요.
저도 배그프로판 이전부터 대회방식등에대해 개인입장으로 별별 아이디어 다 내봤는데
몇개는 반영되었고 더 많은부분은 반영되지않았네요.
지금정도의 시스템으로 프로화 되었다면 분명 더 흥했을겁니다.
배그자체는 역대급 게임인데 참 아쉽습니다.
요즘 재밌는 이유중 역설적인부분은 프로팀이 줄어들어 전프로들이나 아마추어들이 많이 들어왔고
하위권은 실력차이가 확실히 나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감정이입도 확실히 되고, 뭔가 압도당한다는 느낌도 주고..
이부분은 예전에 제가 대회흥행을 위해선 몇팀은 스트리머팀이나 여성팀, 연예인팀등에게 시드를 주자고 주장한 적 있거든요.
동의못하는 분들이 많겠지만요 흐흐
23/04/01 12:52
수정 아이콘
젠지 현재 멤버구성이 파트너팀 선정 이후인지 이전인지는 모르겠지만 젠지가 선정된게 아쉬운건 사실이네요
23/04/01 13:43
수정 아이콘
젠지도 충분히 강팀이고 잘하고있긴한데, 다나와 새로꾸린 멤버구성이 워낙 탄탄하긴하죠.
솔직히 다나와 멤버구성을 보면 이번 PWS 점수를 더 받았어도 다들 고개 끄덕였을겁니다.
하지만 파트너팀 선정은 여러 조건들을 합산해서 결정한 결과라고 봅니다.
중국의 경우는 4AM과 17게이밍이 선정되었는데, 2년전 PGC 우승하고 작년 중국 PCL 우승했던 NH가 뽑히지 못했죠.
23/04/01 15:45
수정 아이콘
아뇨 뭐 그런거보다 BJ팀이 파트너팀이 됐다는게...
23/04/01 20:51
수정 아이콘
배그는 비제이가 프로이기도하고..벽이 그리없는거같아요.
23/04/01 22:43
수정 아이콘
프로가 대회 전날에 다른게임 방송하진 않죠
23/04/01 23:09
수정 아이콘
아 그런일이 있었군요. 저도 몇년전 프로대회전에 집중안하고 딴거하는경우 몇번본적있아서 어떤기분느끼셨을지 알거같습니다.
ShamanRobot
23/04/01 17:37
수정 아이콘
제가 대회자주보지는 못하지만 볼때마다 잘한다고 느끼는 선수 둘이 다나와에 모였고 역시 우승하네요 살루트와 로키도 잘하는 선수니
23/04/01 20:50
수정 아이콘
아쉽고 실망스런모습 보이다가 막날3치킨으로 우승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1340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7369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5160 13
81223 [LOL] 2025 Hall of Legends : UZI [30] EnergyFlow1290 25/05/20 1290 1
81222 [기타] [마비노기 모바일] 글라스기브넨 어려움과 문제 메세지창의 역습 [15] 시린비797 25/05/20 797 0
81221 [뉴스] 혼다, 팀 리퀴드와의 네이밍스폰 계약을 해지 [14] EnergyFlow4230 25/05/19 4230 3
81220 [기타] lck선수로 뛰어본 썰 (끝) [28] 크산테4841 25/05/19 4841 47
81219 [LOL] 지우 정지우 CL 출전 [17] SAS Tony Parker 5776 25/05/19 5776 2
81218 [발로란트] 스트리머 에피나, T1 아카데미 입단. 일렉트2874 25/05/19 2874 1
81217 [기타] lck선수로 뛰어본 썰-2 [15] 크산테5127 25/05/19 5127 14
81216 [LOL] 나란히 승리한 현존 LCK 두개의 탑 - 던파를 꺾은 한화와 T1 을 제압한 젠지 [67] 하이퍼나이프7413 25/05/18 7413 6
81215 [랑그릿사 모바일] 빨리 보물을 찾으러 떠나자! - 뉴비용 랑피스 공략 [8] 통피2579 25/05/18 2579 2
81214 [LOL] 중부권 팀들 남은 대진 [21] roqur4231 25/05/18 4231 1
81213 [발로란트] 마스터즈 토론토에 진출하는 12개의 팀 정리. [6] 일렉트5253 25/05/17 5253 1
81212 [LOL] 파죽의 2연승 DK와 도파민 그런거 없다는 젠지 [16] 하이퍼나이프10299 25/05/16 10299 4
81211 [발로란트] T1, 아카데미에서 DH 동호 선수 콜업 [9] 김삼관6359 25/05/16 6359 0
81210 [기타] lck 선수로 뛰어본 썰 [50] 크산테12568 25/05/16 12568 35
81209 [LOL] lck 현재 순위 및 이런저런 잡설 [25] 마술의 결백증명8247 25/05/16 8247 0
81208 [LOL] KT의 화려한 업셋과 T1의 복수 - 통신사들의 승리데이 후기 [39] 하이퍼나이프8917 25/05/15 8917 8
81207 [오버워치] 좀 늦은 OWCS 2025 스테이지 2 1주차 리뷰 [6] Riina3020 25/05/15 3020 0
81206 [기타] 난 뭘 위해서 게임을 하지? [32] 버드맨6379 25/05/15 6379 31
81205 [기타] 캡콤 근황 [20] 인간흑인대머리남캐7523 25/05/14 7523 0
81204 [라스트오리진] 라스트오리진의 가장 최근 미스오르카 소식 [35] 용자마스터5538 25/05/14 5538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