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9/01 15:04:13
Name 세인
Subject [LOL] LCK 정규리그 수상자들이 나오는 김에 적어보는 다음 시즌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상들
LCK 서머의 정규 시즌이 끝나고 포스트시즌도 결승만을 남겨둔 가운데 정규시즌 기록을 바탕으로 하는 상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오는 상 중 영플레이어 상 같이 팬들이 보기에 뭔가 애매한 상 (EPL 같은 경우에 이 상을 월클 소리 듣는 아놀드가 타갔죠...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게 애매하게 보인 이유는 신인상이 따로 없어서라고 봅니다.)들로 인해서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야기 나온 김에 개인적으로 다음 시즌 (혹은 스플릿)에 추가 되었으면 하는 상들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1. 신인상
이건 모든 분들이 동의하실 겁니다. 이번 스플릿에는 칸나, 클로저 등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신예 선수들이 나왔지만 현재 있는 영 플레이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후보군에서 조차 제외되는 상황이 나왔죠... 그렇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신인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플레이어 상을 놔두고 신인상을 신설하던가 아니면 아에 영플레이어 상을 없애고 신인상을 만드는게 더 나아보입니다.

2. 기량 발전상
이 상은 NBA의 MIP를 보고 떠오른 상입니다. 저번 시즌 (혹은 스플릿)에 비해 기량이 확 오른 선수에게 주는 상입니다. 2014년 까지만 해도 그닥 좋은 평가를 못 받다 2015년에 실력이 오르며 롤드컵까지 차지한 뱅 선수 같은 경우가 좋은 예시가 아닐까 싶습니다.

3. 재기상
여러가지 이유로 클래스는 있지만 아쉬운 모습을 보였던 선수가 다음 시즌 (혹은 스플릿)에서 예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에 주는 상입니다. 다른 종목의 예시로는 부상에서 복귀해 리그 최상급의 성적을 찍었던 류현진 선수 같은 케이스도 있고 롤에서 보자면 2014년에 폼이 많이 떨어져서 서머때는 쉬기까지 했지만 15시즌에 락스에 들어가서 맹활약을 펼친 프레이 선수 같은 케이스가 있죠.

이런 상들이 생긴다면 여러가지 관점으로 시즌을 즐길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퍼리새
20/09/01 15:06
수정 아이콘
재기상과 기량발전상은 좀 겹칠 소지가 있지 않을까요? 신인상은 대찬성입니다
20/09/01 15:11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들을 보면 기량발전상은 연차가 얼마 안 된 선수들이, 재기상은 베테랑 혹은 부상으로 시즌을 날렸던 선수들이 받더라구요. 그래서 구분 해 봤습니다.
20/09/01 15:06
수정 아이콘
베스트 킬 상? 축구의 올해의 골 느낌으로다가요 허허
장고끝에악수
20/09/01 17:32
수정 아이콘
이거 좋네요 팬덤빨 투표말고 진짜 멋있는 걸로다가
20/09/01 15:09
수정 아이콘
재기상은 플라이?
리그10위급 미드에서 이제 5위급은 되는 거 같네요.
정글자르반
20/09/01 15:12
수정 아이콘
20시즌 스프링 서머 통합 신인상 부문이 있다면 케리아 vs 칸나 누가 받을까요?
자몽맛쌈무
20/09/01 15: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drx가 우승한다면 케리아 준우승에 그친다면 칸나가 아닐까요? 통합이면 스프링은 칸나가 우승했으니 이 둘은 스프링서머 정규시즌만보면 애매해서 커리어까지 봐야한다고생각합니다.
정글자르반
20/09/01 15:21
수정 아이콘
현재 수상기준으로 판단하고싶어요 플옵 빼고 정규시즌 기준으로
자몽맛쌈무
20/09/01 15:22
수정 아이콘
그렇게 되면 팀성적이냐 개인 퍼포먼스냐에 따라 갈릴거같은데 drx팬이지만 칸나같습니다.
라방백
20/09/01 15:12
수정 아이콘
전에도 이야기 나왔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신인상은 필요해보이고 재기상보다는 영 플레이어상 처럼 올드플레이어상이 따로 생기면 좋겠네요...
20/09/01 15:13
수정 아이콘
대강 빼야할 상과 넣어야 할 상을 정리해봤습니다.

[OUT]
영플레이어상 : 수상기준이 애매함. 나이가 깡패인 리그에서 영플레이어상은 다른 상과 함께 수상할 수도 있음.

[IN]
신인상 : 지역별 1부리그 데뷔 1년 이내 선수를 대상으로 함.
노장상 : 만 24세 이상 선수를 대상으로 함.
재기상 : 지난 시즌에 비해 이번 시즌에 팀 성적과 개인 스탯이 비약적으로 오른 선수를 격려함.
20/09/01 15:13
수정 아이콘
시청자 투표도 함께 반영되는 베스트플레이상같은거 하나정도 있으면 재밌겠네요
20/09/01 15:23
수정 아이콘
차라리 올드플레이어상을 주면 줬지 영플레이어상은 좀 웃긴거같아요
Nasty breaking B
20/09/01 15:26
수정 아이콘
좋다고 보는데 MIP랑 재기상은 좀 겹칠 수도 있을 거 같아서 넣을 거면 둘 중 하나만 하는 게 좋을 거 같네요. 영플은 30대는 고사하고 20대 후반 선수도 거의 없는 종목인데 애당초 좀 안 맞는 거 같고... 신인상이 좋겠죠 역시.

솔직히 그냥 NBA 어워드 통으로 베껴오면 가장 잘 맞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큿죽여라
20/09/01 15:27
수정 아이콘
리치 같은 선수가 또 있다면 노장상과 신인선수상을 같이 받을 수도 있겠는데요. (리치 선수가 노장이란 의미는 아닙니다) 이래서 영플레이어로 했던 건가 싶기도 하고. 노장 신인 나쁘지 않은데...?
GjCKetaHi
20/09/01 18:41
수정 아이콘
신인상이 있었더라면 아마 올 시즌은 리치였겠죠?
20/09/01 15:32
수정 아이콘
영플레이어상은 진짜 무슨 생각인지 크크
보라도리
20/09/01 15:35
수정 아이콘
저는 gm상이나 ceo상이든 프런트 관련 상도 하나 필요해 보입니다 뭐 영입을 잘했다든 마케팅을 잘했다든 프런트 상도 하나 있어야 진정한 산업 느낌도 나고 nba도 있는 상이고
20/09/01 15:56
수정 아이콘
재기상은 이름을 바꾸고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그쪽 커뮤니티 애들이 조롱할거 너무 보여요
후치네드발
20/09/01 16:09
수정 아이콘
슈퍼 플레이상 - 이번 섬머 중에선 쵸비 앞플 4인 도발이 생각나네요.
베스트 솔로킬상 - 슈퍼 플레이상이 한타/소규모 난전 등 종합적인 전투 부문이라면 솔로킬상은 1:1 또는 1:n 구도에서 가장 멋진 플레이를 한 선수에게 주는 상 정도로 정의하고 싶네요.
민트밍크
20/09/01 16:11
수정 아이콘
기량발전상이나 재기상까지 주기에는 총 선수 인원 자체가 너무 적지 않나 싶네요.. 간혹 그런 상을 받았으면 하는 선수들이 있지만 매시즌 상을 준다면 받을사람이 없는 상황도 생길 것 같아요
마둘리
20/09/01 16:16
수정 아이콘
그냥 신인왕과 MVP만 있으면 될거 같습니다.
상은 많아질수록 의미없어집니다.
아웅이
20/09/01 16:25
수정 아이콘
이거 맞죠.
초등학교도 아니구..
20/09/01 17:29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20/09/01 16:29
수정 아이콘
재기상빼고는 괜찮은 거 같습니다
20/09/01 16:30
수정 아이콘
최고의 슈퍼플레이도 선정하면 좋겠네요.
풍경화
20/09/01 16:33
수정 아이콘
lck 올 프로팀, 최다 pog, 시청자 투표 mvp, 스프링 서머 통합 신인왕.
The Seeker
20/09/01 17:06
수정 아이콘
MIP, MVP, 신인상, 퍼스트~서드팀 이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 NBA잖아?
황제의마린
20/09/01 17:11
수정 아이콘
뭐 NBA처럼 다양한 상을 만드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막상 롤드컵이 가장 중요한데 롤드컵상이라고 해봐야 파이널 mvp말고 없지 않나..
오클랜드에이스
20/09/01 17:14
수정 아이콘
야구 보면 규정타석이 있듯 저런 상 후보에 넣으려면 규정경기수도 있긴 해야할것같네요.
20/09/01 22:25
수정 아이콘
있습니다.
클로저는 규정세트미달로 자격이 안됐습니다.
개인적인생각으로는 세트가 아니라 경기수로 했으면 합니다.
탐이푸르다
20/09/01 17:33
수정 아이콘
LCK 첫 데뷔 선수에게 주는 신인상이나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리치, 칸나, 클로저 등 많은 후보가 있었을 거 같은데 이게 더 흥미로웠을 거 같습니다.
Lord Be Goja
20/09/01 17:52
수정 아이콘
리치의 경우는 이전에 젠지에서 뛰던 선수로 알고 있는데 그냥 히오스만 젠지에서 한건가요?
탐이푸르다
20/09/01 17:56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다이나믹스에서 처음으로 LCK 데뷔했다고 생각했네요.
작년 섬머에서 젠지 소속으로 5경기 출장했네요.
Lord Be Goja
20/09/01 17:58
수정 아이콘
아 저도 롤은 올 섬머부터 보기시작한 뉴비라
그냥 히오스할때 리치가 젠지에서 롤까지 뛴다고 길바갤(히오스 마갤)에서 비슷하게 본거 같아서 반쯤 질문한거에요
탐이푸르다
20/09/01 18:01
수정 아이콘
아마 젠지 나오고 몇 개월 후에 LOL 연습생으로 테스트 봐서 재입단하고 별 활약이 없어서 이번 년도 다이나믹스로 계약한 걸로 알고 있어요.
20/09/01 18:40
수정 아이콘
개인상은 최대한 간단하게!
체리쥬빌레
20/09/01 18:43
수정 아이콘
LCK는 MVP 신인상 올프로 정도면 충분한 것 같고 라이엇에서 롤롱도르나 만들어줬음 좋겠네요
소금사탕
20/09/01 18:58
수정 아이콘
신인상 그리고 비플옵권팀에서의 에이스?를 뽑을만한 상도 하나 있었으면 좋겠네요

후자는 상금은 좀 적더라도 충분히 동기부여 할만할듯싶어서요
20/09/01 20:12
수정 아이콘
"개근상"
이양현
20/09/01 21:09
수정 아이콘
야구같은 경우는 KBO 말고 조아제약에서 따로 시상식을 열어서 본문에 나온 재기상이나 기량발전상 프런트상 등을 시상하지요
pzfusiler
20/09/02 05:18
수정 아이콘
다 별로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조잡하기만 한데 상은 간결하게.
20/09/02 08:20
수정 아이콘
당장 지금도 감독상 투표보고 말도 안된다는 반응 나오던데 그런 상 만들면 기준이 더 애매해서 안만들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877 [LOL] 팬들의 눈높이만 너무 높았던 것 일수도 있습니다 [121] Pokemon14339 20/11/03 14339 34
69825 [LOL] 롤드컵 끝! 스토브리그 시작 [72] 스위치 메이커10557 20/11/01 10557 0
69432 [LOL] 롤은 상대적인 게임이다 - 롤드컵 희망회로와 T 1이야기 [41] ipa11891 20/09/16 11891 33
69377 [LOL] 슈퍼스타가 있는 팀에는 리빌딩이 없다. [120] 류지나15726 20/09/11 15726 19
69362 [LOL] 롤드컵 LCK 대표 3팀에 대한 주관적 평가 [71] 베스타11234 20/09/10 11234 5
69360 [LOL] 페이커와 클로저 이야기 [24] 대관람차11370 20/09/10 11370 8
69359 [LOL] 내년 T1을 기대하고 기다립니다 [77] 베스타11738 20/09/10 11738 23
69336 [LOL] 결국 마지막의 마지막까지도 호흡이 맞지 않은 T1 [411] 아우어케이팝_Chris21418 20/09/09 21418 3
69324 [LOL] 롤드컵을 놓고 펼치는, 전세계 마지막 대결. - 젠지 vs T1 프리뷰 [36] Leeka49871 20/09/08 49871 1
69296 [LOL] 프로듀스 T1, KT 그리고 아프리카. 과연 어떤팀이 롤드컵으로 올라갈 것인가? [46] 랜슬롯10163 20/09/07 10163 1
69255 [LOL] LCK 정규리그 수상자들이 나오는 김에 적어보는 다음 시즌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상들 [43] 세인8977 20/09/01 8977 0
69254 [LOL] 서머시즌 베스트 코치, 영 플레이어가 공개되었습니다. [83] Leeka11076 20/09/01 11076 0
69214 [LOL] T1 vs AF 와일드 카드에 대한 소감과 향후 T1의 선발전에 대한 예상 [70] Black Clouds12680 20/08/27 12680 1
69211 [LOL] 팬이보는 서머 시즌 T1에 대한 총평, 그리고 응원 [79] 베스타13151 20/08/26 13151 49
69207 [LOL] 각성 아프리카! T1 무너뜨리고 와일드카드 승리 [360] 스위치 메이커19472 20/08/26 19472 17
69200 [LOL] 2020섬머 플옵, 5개팀별 최상, 최악 시나리오는? [10] 기사조련가8908 20/08/26 8908 3
69198 [LOL] 와리가리 ep7 이후 와디드의 개인 발언 요약.txt [19] 키류10755 20/08/26 10755 0
69197 [LOL] 오늘자 와리가리 + 폰 방송 내용 요약.txt [62] 키류15149 20/08/25 15149 2
69190 [LOL] 최근 T1을 둘러싼 논란과 팀의 전망에 대한 생각 [519] 베스타26514 20/08/25 26514 37
69185 [LOL] LCK Young Player 후보를 정리해봤습니다. [20] Leeka8733 20/08/24 8733 0
69184 [LOL] 당신의 정규시즌 MVP, 영플레이어, 베스트 코치는 누구? [39] 에바 그린8585 20/08/24 8585 1
69176 [LOL] 정규시즌 세컨드팀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41] 황제의마린9941 20/08/23 9941 0
69175 [LOL] 개인적으로 뽑아보는 섬머 정규시즌 어워드 [40] TAEYEON9173 20/08/23 917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