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8/24 15:23:02
Name 에바 그린
Subject [LOL] 당신의 정규시즌 MVP, 영플레이어, 베스트 코치는 누구? (수정됨)
사실 퍼스트,세컨,서드 뽑는게 재미인데
이번에는 퍼스트쪽은 너무 뻔히 보이고, 세컨 서드는 그냥 애매하니 관심이 떨어지는것 같기도 하네요 크크
세컨글은 밑에 따로 있으니 남은 수상은 어떻게 될까 예측해보려구요.


1. 정규시즌 MVP(스프링 수상자: Gen Bdd)

DWG Canyon

쇼메이커와 캐니언중에 고민했는데 제 선택은 캐니언입니다. 스프링 담원과 서머 담원의 가장 큰 차이는 캐니언의 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니달리나 카서스같은 AP 정글러를 잡았을 때 활약한 모습이나, 세트 정글로 미친듯이 다니면서 게임을 풀어낸 장면이 바로 눈앞에 떠오를정도로 인상적이였습니다. 정글 최초 펜타킬또한 기억나구요.
물론 쇼메도 스프링때는 챔프폭이 약점 아니냐는 말이 나오던게 무색하게 서머때는 그런 문제를 안 보이고 안정감과 캐리력을 둘 다 뽐냈기때문에 쇼메가 받는다고 해도 이상하진 않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쇼메는 그래도 경쟁자가 있는 느낌이라면 캐니언은 그냥 정글의 언터쳐블 느낌이였기때문에 캐니언한테 주고 싶네요.



2. 베스트 코치(스프링 수상자 : T1 KIM-김정수)

DWG Zefa-이재민

2R 전승하겠다고 약속하고 그 약속을 지킨 약속왕 제파. [그것이 약속이니까]

사실 감코는 칭찬받기 정말 힘든 포지션이라고 봅니다. 못하면 욕 먹기는 쉽구요. 유일하게 칭찬받을 기회가 이 상 뽑을때가 아닌가 싶을 정도에요 크크. 저는 담원의 압도적인 정규시즌 1위를 이끈 제파한테 주고싶네요.
사실 감코가 뭘 잘했다고 밖에서 보기는 어려운게 사실이라 정규 1위면 그냥 줘도 된다고 봅니다.크크

이렇게만 적으면 무책임해보이니까 뇌피셜 반 섞어서 왜 뽑았는지를 설명드리면 1R때 보이던 문제를 2R때 답습하지 않은 모습에 가장 큰 점수를 주고싶습니다. 게임 후반으로 가면 오브젝트 앞에서 실수가 나오면서 지는게 담원 패턴이였는데, 아예 거기까지 가지도 않는 상황에서 게임을 끝냈으니까요. '이게 뭔 감코 힘이야? 그냥 선수가 잘하니까 빨리 끝나서 티 안나는거 아니야?' 하실 수 있는데.. 그럴수도 있어요 크크.
그래도 저는 담원이 2용까지는 쿨하게 주고 전령위주로 빠르게 굴려내는 LCK안에서는 자신들만의 색깔 강한 운영을 장착한것에도 제파의 지분이 있을거라고 봐서 제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3. 영플레이어 상(스프링 수상자 : DRX Keria)

칸나, 클로저?

사실 이거 좀 문제있지 않나? 쓰려고 글 쓴것도 있습니다. 저어게  제일 먼저 떠오르는 선수는 위에 말한 두 선수입니다.
저한테는 신인상 개념이 아닐까 하고 느껴져서요. 근데 둘 다 못 받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칸나는 나이가 걸려서, 클로저는 출전 세트수가 걸리는게 아니냐는 말이 나와서요. (세트 수는 정확한 건 아닙니다. 근데 스프링 관련 글 찾다가 18세트라는 글을 본거 같아서 일단 그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만약 클로저가 세트 수가 부족해서 못 받는다? 그건 백번 이해합니다. 그런건 당연히 있어도 되는 규정이니까요.

근데 칸나는 나이때문에 못 받는다는 글을 보고 띠용 했습니다? 엥 나이가 뭔 상관?
-영 플레이어 상이랍니다. 신인상이 아니라..

솔직히 신인상으로 바꿔야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저의 픽은 칸나 아니면 클로저구요.

혹시나 서머에 규정이 바뀐건데 제가 모르고 있는거면 좋겠습니다.



4. 라코에 바라는 점

제발 와카전 시작전에 합산해서 발표 부탁드립니다. 스프링때처럼 플옵 중간에 말구요. 솔직히 그렇게 어려운거 아니잖아요?

그리고 표 관련해서인데 성캐,전캐도 투표권 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시즌 내내 중계하시는 두분이 투표권 없는것도 웃긴거같음.
부담스럽다? 저는 관계자들이 더 의견표출을 자연스럽게 좀 했으면 좋겠어요. 오히려 다들 자연스럽게 의견을 내다보면 덜 부담스러울겁니다.
롤알못이라 안한다? 성캐 전캐님보다 게임 안보는 시청자가 훨~씬 많습니다. 전캐님 가끔 새벽 LEC 언급하시는거 보면 최소한 하이라이트는 챙겨보시는것 같은데 그정도면 롤 시청자 상위 10%안에 무조건 듭니다.

저는 장기적으로 인터뷰하는 누나들도 오래 하셔서 LEC의 샥즈처럼 이 판의 아이콘으로 남고, 투표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제 바램임.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24 15:27
수정 아이콘
2등과 가장 차이가 심한 포지션 어디냐? 하면 너무나 정글이라 캐니언 맞는것같네요.

사실 감코는 이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뭐라 평이 어려워지는듯 합니다. 예전엔 뭔가 인플레이는 선수 밴픽은 코치 이런식으로 보는 분들이 많아서 그걸로 평가하던 시기도 있었는데, 요새는 밴픽도 선수라는 분들이 늘어난 느낌이고 저도 이쪽이거든요. 이 말은 밴픽이 이상하다고 코치를 욕해선 안된다는 의미이면서, 동시에 밴픽 잘했다고 딱히 칭찬할 필요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요새는 감코의 평가는 정말 순수 성적 말고 다른걸로는 아예 언급하기가 어렵네요. 1라 티원 김정수가 1픽이었던 이유? 우승했으니까. 2라 제파가 1픽일것 같은 이유? 정규 1위고 우승 초유력 후보니까... 딱 성적만 남게됨.
에바 그린
20/08/24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감코가 그나마 관여하는게 밴픽이니 감코 탓이다 라는 의견이 꽤나 있었던걸로 아는데.. 모르죠 뭐. 근데 감코는 결국 욕받이포지션이라고 봅니다. 어쩔 수 없어요.. 요즘 보면 창의력을 발휘해서 까는분들도 있는데 어쩌겠습니다.

정말 옴므나 김정수 래퍼드처럼 팀 바꿔가면서 증명하지 않으면 끊임없이 의심받는 포지션이죠. 선수도 마찬가지인 면이 있지만..

그리고 1라,2라가 아마 스프링 서머 얘기신거 같은데 스프링은 젠지가 정규 1위죠. 그런점에서 최우범 감독이 참 아쉽습니다.
서머 젠지 결국 정규3위거든요? 근데 별 말 안나옵니다. 이유는 모르겠음 크크. 오히려 서머 젠지는 다시 룰러에 기대는 팀이 되었는데 아마 최우범 있었으면 바텀게임하니, 결국 룰러만 보네 어쩌네 헛소리 백프로 나왔습니다. 애초에 18,19젠지는 자원이 바텀게임을 할 수 밖에 없는 팀이였는데 어찌나 억지로 까던지 참 크크. 제일 먼저 해외메타 따라가려고 노력하고, 스프링때 칼리,타릭도 최우범이 권해서 젠지가 제일 먼서 써서 유행시켜도 아무도 몰라줘요. 그냥 자기들 보고싶은대로 보니까.

김정수감독도 요즘 한참 시달리는 중이죠. 스프링 우승에 베스트 코치 수상자인데도요. 크크 걍 진짜 뭐랄까.. 어렵다고 봅니다.
선수처럼 평가받을 기회는 적은데, 항상 증명해야되는 포지션이랄까요

감코는 그냥 그런포지션인가 싶기도 하고 크크. 제파도 스프링까지는 욕 살벌하게 먹었죠. 근데 뭐.. 서머 잘하니까 크크크
그래서 지금이라도 칭찬해주고 싶어요. 성적 나왔을때요. 또 언제 욕 먹을지 모르니까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24 15:45
수정 아이콘
약간 뒷문단 보다보면 느끼는게, 감코의 평가야말로 실제 실력(?) 보단 명성치 비중이 너무 높은것 같아요. 일단 실제 어떤식으로 하는지를 우리가 전혀 모르니까. 당장 밑에 언급되는 양대인 코치분만 해도 방송에서 언급된다는건 실력이 상당하신분 같은데 팬들 대다수는 있는지도 모를거거든요. 이러다보니 걍 이름 알려진 사람에게 모든 공과가 쏠릴 수 밖에 없음...

그래서 한줄 요약하면 선수 평가까진 몰라도 팬들의 감코 평가는 진짜 의미 거의 없는것 같아요. 장님 코끼리 만지기나 다름없음.
프테라양날박치기
20/08/24 15:49
수정 아이콘
올해 한화 보다 느낀건데... 김정수 코치같은 경우도 딱 한번만 바닥 찍으면 완전히 선수빨 어쩌고 할거같아요. 지금 티원 감독 상태에선 어찌됬든 롤드컵 나갈 가능성 있는 성적은 꾸준히 나오니까, 공격하는 사람 물량도 엄청나지만, 방어하는쪽 물량도 엄청납니다.

근데 팀 옮겨서 9등 10등 한번 딱 찍으면 공격은 들어오는데 방어해줄 사람은 싹 사라질거고 바로 선수빨 감독 될듯... 여러모로 힘든 직책입니다.
더치커피
20/08/24 15:27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제파 칸나요
Dreamlike3
20/08/24 15:28
수정 아이콘
사실 이번시즌은 걍 영 플레이어 빼고 1등팀에서 주루룩뽑으면 되는것 같아서 예상하는 의미가 없네요

막말로 원딜 포지션을 제외하면 올프로팀 퍼스트도 다 담원에서 뽑을만 하거든요
인간atm
20/08/24 15:30
수정 아이콘
베스트 코치에 담원에 새로 들어온 양대인 코치도 공동 수상 받았으면 좋겠네요
민트밍크
20/08/24 15:30
수정 아이콘
클템해설 유튭 영상 챙겨보다보면 담원 경기력 향상에 새로 온 양대인 코치라는 분이 엄청 큰역할 하고 있다는 관계자들 이야기가 있다고 몇번 언급이 됩니다. 이분도 표를 좀 받을지 궁금하네요
에바 그린
20/08/24 15:34
수정 아이콘
두분이나 양대인 코치 언급을 해주셔서 댓글로 조금만 첨언하면 저도 양대인 코치 인터뷰도 몇개 봐서 기억에 남는 분인데 아무래도 감독상 느낌인거 같아서 제파로 선정했습니다. 뭐 감독 주면 그 팀 감코진 다 준다고 봐도 되는거 아닐까요 크크
20/08/24 15:39
수정 아이콘
이게 룰러 제외하곤 담원 선수 밀어내고 퍼스트 먹을 사람이 없다는게 중론이라..

서머 퍼스트팀은 재미 자체가 사라졌죠 -.-;;
보리차
20/08/24 15:53
수정 아이콘
본문에 있는 1라의 문제점을 2라에 답습하지 않음<이 부분 특히 공감합니다. 그러지 못한 팀들도 많죠..
치키타
20/08/24 15:55
수정 아이콘
제파가 티원에 있을때는 밴픽을 잘하는건가 의문이였고, 담원갔을때도 잘 할까? 했었는데..
역시 카오스 레전설 출신들은 겜잘잘 재능이 다른것 같기도 하네요..
이정재
20/08/24 15:59
수정 아이콘
신인왕으로바뀌려면 일단 롤리그가 일년에 한번이 되어야될거같습니다

신인왕 기회가 두번있는것도 이상하고...
에바 그린
20/08/24 16:08
수정 아이콘
저는 결국 롤드컵을 목표로 1년단위로 돌아가는 리그라고 생각해서 1년단위라도 문제될 게 있나 싶지만..
뭐 그부분은 의견이 다양할 수 있죠. 다른 스포츠처럼 이번 시즌 전 n경기 이하 출전선수 조건같은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리치같은 경우 작년에 어설프게 몇게임 나왔다고 올해 조건이 안된다면 좀 억울할거 같기도 하고요
Good Day
20/08/24 16:01
수정 아이콘
캐년 제파 칸나요
기사조련가
20/08/24 16:01
수정 아이콘
리그 mvp는 사실상 우승팀을 바꾼 스산슬이 아닐까?
퍼리새
20/08/24 16:04
수정 아이콘
어차피 drx가 슼한테 져서 상관없는 일이...
기사조련가
20/08/24 19:44
수정 아이콘
스산슬한테 진 다음부터 Drx경기력이 이상해지긴 했음 크크크 물론 스때쯤 데프트 허리가 ㅜㅜ
비역슨
20/08/24 16:02
수정 아이콘
저도 캐니언 제파 칸나. 아마 투표에서 다른 변수는 별로 없을거같고 mvp에서 쇼메가 표를 좀 갈라먹을수는 있을것 같긴 하네요
퍼리새
20/08/24 16:02
수정 아이콘
음 칸나는 저번시즌 후보라 이번시즌은 불가능한거 아닌가요?
20/08/24 16:03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제파 캐니언
감별사
20/08/24 16:05
수정 아이콘
캐니언, 제파, 칸나
그리고 진짜 영 플레이어상, 말고 신인상으로 하고 한 번만 탈 수 있게 하는 걸로 바꾸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신인상 조건으로는 그 해 데뷔 정도로 하고요.
skylarcs
20/08/24 16:14
수정 아이콘
신인상 조건은 해 단위로 자르는게 아니라 데뷔 후 1년 지나기 전으로 했으면 합니다.
이번 서머에 클로저가 자격이 안되어 신인상을 못탄다면 내년 스프링 스플릿에는 신인상에 도전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감별사
20/08/24 16:15
수정 아이콘
아, 그게 더 좋겠네요.
조말론
20/08/24 16:16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
ㅡ 정글이 잘하는데 미드가 느낌이 없다면 몰라도 미드가 잘하는 와중에 정글이 위대해보이는건 미드빨을 엄청 받고 있기때문이라 생각하기 때문에(스코어, 타잔) 쇼메이커가 담원과 lck에서 제일 잘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정수
ㅡ 몰락할 티원을 건져냈다고 생각합니다

칸나
ㅡ 00년생인데 나이가 제한이 걸리는 시대가 왔다니..
황제의마린
20/08/24 16:18
수정 아이콘
캐니언, 제파, 칸나

칸나가 안된다면 딱히 떠오르는 선수가 ?
클로저도 받을만한거같은데 안된다고하고;
아웅이
20/08/24 16:22
수정 아이콘
담원 멤버 5인 + 감코까지 6인 다 퍼스트같아요
칸나가 너구리랑 그나마 근소한 차이라고 보고 정글 미드 서폿은 엄청 차이났다고 보고

고스트도 역할수행 측면에서 퍼스트라고 봅니다.

고스트처럼 다양한 역할 수행하고 희생하면서 오더까지 하는건 현 LCK에서 데프트 정도일거같아요.
고스트가 룰러 역할 못하듯 룰러도 고스트 역할 못할거라고 봅니다.
퍼리새
20/08/24 16:22
수정 아이콘
캐년, 제파는 고정이고 칸나 클로저가 안된다면 전 페이트? 페이트도 나이에 걸리는지는 모르겠네요
정글자르반
20/08/24 16: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말 완벽하게 시청자가 체감 가능한 감코진만의 역할은 딱 하나에요. 용인술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주전 서브 선정 및 시즌 중 핵심 라인업 교체 이야기에요. 같은 선수가 라인업을 결정할리가 없으니까요

너무나 별것 아닌것처럼 보이지만 이걸 재빠르게 캐치하고 굳히는것 자체가 감독 코치의 핵심역량입니다. 흔히 말해서 헤매는팀? 리그 끝날때가서 주전이 확정되거나 그때까지 가변적으로 선수를 씁니다. 서브 선수를 쓰는게 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주전과 서브의 출전 비율이 모호해서 팬들도 누가 나올지 모르는게 긍정적인 시그널이 아니라는 뜻이에요.
롯데올해는다르다
20/08/24 16:44
수정 아이콘
캐니언 : 캐니언이 동전던지기형 정글에서 꾸준히 폭발적으로 잘해주는 정글이 된게 정규시즌 담원의 원동력이라고 봅니다.

제파 : 감독코치는 기대치 대비 팀 성적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 그렇게 따지면 제파가 0순위, 다이나믹스의 스브스랑 샌박 야마토캐논이 2순위 같네요.

캐니언 : 영 플레이어상 기준 만족하는 선수중 이번 시즌 제일 잘한선수는 캐니언이라서.. 상 기준좀 바꿔야합니다
고스트
20/08/24 16:53
수정 아이콘
전 코치는 육성쪽이 큰 것 같아서 제파보다는 김정수 씨맥 둘 중 하나인데.... 음 애매하네요
스덕선생
20/08/24 16:56
수정 아이콘
영플레이어 상을 쵸비가 받아서 꼬인것도 있지만 대다수 팀들이 늦어도 스프링엔 주전을 정하고, 서머엔 합을 맞춰 대권도전하는걸 감안하면 신인왕 뽑기가 힘들죠. 클로저만 해도 리그경기 절반도 못 치뤘고요.

영플레이어 상은 신인왕이란 이름으로 바꿔서 시즌통합으로 주는게 맞다고 보고, 그런 상이라면 케리아가 받아야한다고 봅니다.
에바 그린
20/08/24 17:27
수정 아이콘
스프링때 케리아가 받았습니다. 그래서 케리아는 수상 대상이 아닌걸로 알고있구요
스덕선생
20/08/24 17:39
수정 아이콘
쵸비가 받은줄 알았는데 그건 찾아보니 빛돌해설 투표결과였군요. 제가 착각했습니다.
20/08/24 17:38
수정 아이콘
베스트 코치상은 칸나와 클로저를 영입한 엘림...은 농담이었습니다.
20/08/24 18:29
수정 아이콘
캐니언 제파는 사실상 고정이고 ... 영플레이어 기준이 미묘하네요
jakunoba
20/08/24 18:50
수정 아이콘
서머 어워드 제 픽은

베스트 코치 : 제파
영 플레이어 : 캐니언(?) 신인왕이었으면 클로저
LCK 팀 : 퍼스트 너구리-캐니언-쇼메이커-룰러-베릴 / 세컨드 칸나-커즈-쵸비-고스트-케리아 / 서드 라스칼-표식-비디디-데프트-라이프
MVP : 1위 쇼메이커 / 2위 캐니언 / 3위 룰러 입니다.
김연아
20/08/24 20:18
수정 아이콘
캐년-제파-케리아

신인상했으면 스프링 케리아, 서머 칸나 타고 깔끔했을텐데...

소위 WAR 같은 개념으로 본다면, 캐년이 압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0/08/25 09:40
수정 아이콘
저는 영플레이어 계속 유지했으면 좋겠어요. 데뷔가 아닌 나이가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독특하고 후보도 많거든요 크크. 물론 그러다보니 mvp와 후보군이 많이 겹치긴합니다. 그래서 차라리 20세 기준으로 어린 쪽에서 한명, 많은 쪽에서 한명 이렇게 주는게 공평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877 [LOL] 팬들의 눈높이만 너무 높았던 것 일수도 있습니다 [121] Pokemon14340 20/11/03 14340 34
69825 [LOL] 롤드컵 끝! 스토브리그 시작 [72] 스위치 메이커10557 20/11/01 10557 0
69432 [LOL] 롤은 상대적인 게임이다 - 롤드컵 희망회로와 T 1이야기 [41] ipa11891 20/09/16 11891 33
69377 [LOL] 슈퍼스타가 있는 팀에는 리빌딩이 없다. [120] 류지나15726 20/09/11 15726 19
69362 [LOL] 롤드컵 LCK 대표 3팀에 대한 주관적 평가 [71] 베스타11234 20/09/10 11234 5
69360 [LOL] 페이커와 클로저 이야기 [24] 대관람차11370 20/09/10 11370 8
69359 [LOL] 내년 T1을 기대하고 기다립니다 [77] 베스타11738 20/09/10 11738 23
69336 [LOL] 결국 마지막의 마지막까지도 호흡이 맞지 않은 T1 [411] 아우어케이팝_Chris21418 20/09/09 21418 3
69324 [LOL] 롤드컵을 놓고 펼치는, 전세계 마지막 대결. - 젠지 vs T1 프리뷰 [36] Leeka49871 20/09/08 49871 1
69296 [LOL] 프로듀스 T1, KT 그리고 아프리카. 과연 어떤팀이 롤드컵으로 올라갈 것인가? [46] 랜슬롯10163 20/09/07 10163 1
69255 [LOL] LCK 정규리그 수상자들이 나오는 김에 적어보는 다음 시즌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상들 [43] 세인8977 20/09/01 8977 0
69254 [LOL] 서머시즌 베스트 코치, 영 플레이어가 공개되었습니다. [83] Leeka11076 20/09/01 11076 0
69214 [LOL] T1 vs AF 와일드 카드에 대한 소감과 향후 T1의 선발전에 대한 예상 [70] Black Clouds12680 20/08/27 12680 1
69211 [LOL] 팬이보는 서머 시즌 T1에 대한 총평, 그리고 응원 [79] 베스타13151 20/08/26 13151 49
69207 [LOL] 각성 아프리카! T1 무너뜨리고 와일드카드 승리 [360] 스위치 메이커19472 20/08/26 19472 17
69200 [LOL] 2020섬머 플옵, 5개팀별 최상, 최악 시나리오는? [10] 기사조련가8908 20/08/26 8908 3
69198 [LOL] 와리가리 ep7 이후 와디드의 개인 발언 요약.txt [19] 키류10755 20/08/26 10755 0
69197 [LOL] 오늘자 와리가리 + 폰 방송 내용 요약.txt [62] 키류15149 20/08/25 15149 2
69190 [LOL] 최근 T1을 둘러싼 논란과 팀의 전망에 대한 생각 [519] 베스타26514 20/08/25 26514 37
69185 [LOL] LCK Young Player 후보를 정리해봤습니다. [20] Leeka8733 20/08/24 8733 0
69184 [LOL] 당신의 정규시즌 MVP, 영플레이어, 베스트 코치는 누구? [39] 에바 그린8586 20/08/24 8586 1
69176 [LOL] 정규시즌 세컨드팀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41] 황제의마린9941 20/08/23 9941 0
69175 [LOL] 개인적으로 뽑아보는 섬머 정규시즌 어워드 [40] TAEYEON9173 20/08/23 917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