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1/22 10:19:19
Name Leeka
Subject [LOL] LCS, LEC. 북미와 유럽리그의 롤드컵 선발전이 폐지되었습니다. (수정됨)


북미(LCS)


스프링 우승팀 - MSI 진출

서머 우승팀 - 롤드컵 1번 시드
서머 준우승팀 - 롤드컵 2번 시드
서머 3위팀 - 롤드컵 3번 시드


유럽(LEC)


스프링 우승팀 - MSI 진출

서머시즌 6위 이내 팀들을 대상으로
'스프링 최종 점수 + 서머 정규시즌 점수' 를 합산해서 '서머 플레이오프 시드 배정'

그 이후

서머 우승팀 - 롤드컵 1번 시드
서머 준우승팀 - 롤드컵 2번 시드
서머 3위팀 - 롤드컵 3번 시드




북미는 아에 서킷포인트가 폐지되면서 선발전 없이 서머 1~3위가 롤드컵 진출. 

유럽은 서킷 포인트는 남지만, '스프링 최종 성적 + 서머 정규 성적을 합산해서' 서머 플옵 시드 배정'에 사용되며. 선발전 없이 1~3위가 롤드컵 진출. 



즉 북미는 '스프링 성적이 아에 롤드컵에 반영 안됨'
유럽은 '스프링 성적이 롤드컵에 반영은 되지만, 선발전을 따로 하지는 않음' 

의 제도를 택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빠이
20/01/22 10:28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면 각 리그가 상당히 독립된 형태로 각자도생하는 느낌이군요 흐흐
클로이
20/01/22 10:48
수정 아이콘
MSI가 그정도의 위상인가에 대해서 의문이 드네요.
파란무테
20/01/22 10:52
수정 아이콘
LCK는 그냥 그대로 했으면 좋겠네요. 일률적이지 않다면, 굳이 따를 필요는 없지요.
문문문무
20/01/22 11:12
수정 아이콘
꽤 괜찮아 보인다 생각되면서도 찬밥씨의 너무 적은경기수에 많은게 결정되어버리는게 아쉽다 발언을 생각하면 선발전이라는 2차 기회정도는 주어져야하지않을까 싶기도하고...
20/01/22 11:19
수정 아이콘
MSI와 롤드컵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적절해보이네요.
신불해
20/01/22 11: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프링을 롤드컵 포인트에 100% 아무 영향도 없게 하는건 좀 아쉽고, 우승팀에게만 약간 좀 더 주고 나머지는 무시하는 정도가 어떨까 싶네요.
20/01/22 11: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왜 이렇게 스프링을 무시하려드는지 모르겠네요. 스프링과 섬머의 비중차이는 직행과 포인트차이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스프링 1위팀이 섬머 3위팀보다 롤드컵 진출의 혜택을 못 받는 방식인데 아무리 곰곰히 되짚어봐도 스플릿 하나의 중요성을 스스로 낮춰버리는 이런 디시젼들은 어긋난 시도라고 봅니다.
작년 롤드컵에서 스프링 6위-섬머 2위한 팀은 롤드컵에서 전체 9위를, 스프링 우승 - 섬머 7위한 팀은 전체 4위를 했습니다. 재작년 롤드컵에서도 스프링 5위 - 섬머 3위한 팀은 16강에서 탈락했고 스프링 2위 - 섬머 6위한 팀은 4강까지 진출했습니다. 2017년에도 이런 사례가 있고 2016년에도 이런 비슷한 사례가 있습니다. 즉 섬머시즌 성적이 더 좋은 팀이 스프링 시즌 성적이 더 좋은 팀보다 롤드컵에서 잘할거란 전체 자체가 사실 단순 추정일 뿐이지 근거가 되기엔 희박한거죠.

거기에 더해 물론 선수들이야 매경기 최선을 다하겠지만, 막말로 스프링 2~3달 죽어라해서 얻는보상이 msi(+유럽은 섬머플옵시드) 정도라면 무슨 의미가 그리 크겠습니까? msi자체도 너무 대회일정이 빡빡하고 섬머 준비도 빡빡하다는 말이 나오는 판인데요.
더불어 스프링 섬머 고루 잘한팀은 1년간 강팀임을 드러내는거고 오히려 어느 메타변화가 와도 잘 적응하고 대처하고 좋은 경기력을 담보한 팀이라는 의미를 부여해도 무방한데 서킷포인트를 통한 직행의 가치도 줄여버리구요.
어떤 면에서 봐도 LCS와 LEC의 이런 흐름은 개악에 더 가깝다고 보고, LPL과 LCK는 부디 지금의 방식을 유지해주었으면 하네요.
파란무테
20/01/22 12:20
수정 아이콘
(1시드) 최근폼이 가장 좋은팀 - 서머우승팀
(2시드) 1년간 제일 잘한팀 - 포인트1위 직행팀
(3시드) 수위권팀의 마지막 기회 - 선발전통과팀

너무 명확하고 좋은데요.
LCK는 이 방식 고수했으면 좋겠습니다.
Birdwall
20/01/22 12:36
수정 아이콘
이 정도로 스프링에 의미를 안 둘 거면 차라리 야구처럼 스프링 섬머를 통합하고 리그 중간에 휴식기간을 두던가 하는게 낫지 않으려나요
DownTeamisDown
20/01/22 12:53
수정 아이콘
LEC 방식도 나름 괜찮은것 같은데... 북미는... 차라리 스프링 서머 통합이 나은것같은...
20/01/22 13:01
수정 아이콘
스프링: 각 리그의 메타해석
MSI: 리그별 비교 대결
서머: MSI의 교류를 피드백후 각자 리그별 발전
롤드컵: 결산
좋아보이는데요
곰성병기
20/01/22 13:17
수정 아이콘
자주 밸런스 조정되는 게임리그는 직전시즌 성적으로 뽑는게 가장 합리적인거 같네요.
트윈스
20/01/22 13:46
수정 아이콘
스프링에 가중치 안둘거면 서머고 뭐고 전팀 모아서 롤드컵 진출전 해야죠. 롤드컵이 서머 다음 시즌이라고 봐도 되는데 스프링은 안쳐주면서 서머는 왜 대우해주는지.. 유럽은 약간이나마 합리적이라지만 북미는 자살행위같은데 흠..
20/01/22 15:21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우습다고 벌써 말들이 나오는게, 스프링 1위보다 섬머 3위가 더 잫랄거다라고 생각하는 근거가 롤드컵에 더 가깝기 때문이라면, 롤드컵에 가장 가까운 다전제 대회인 선발전은 왜 폐지하냐 하는 지적도 벌써 나오고 있는 것 같더군요. 서머 3위보다 선발전에서 다전제 1~2번 승리하고 올라간 팀이 더 최근메타에서 잘할텐데 하면서요. 스프링은 먼 대회니까 빼고 섬머는 그다음 먼 대회니까 섬머 순위로 선발전 꾸려서 선발전으로 정하지 그러냐 이런 얘기들이 벌써 나오더군요
건강보험증
20/01/22 13:48
수정 아이콘
LCK방식이 가장 합리적인거 같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0/01/22 13:53
수정 아이콘
스프링 왜 있죠? 그냥 통합리그 하지
좋은데이
20/01/22 1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롤드컵 경쟁력으로만 봤을땐 서머1,2,3위 보내는게 가장 효율이 좋을수 있죠.
하지만 스프링은 버리는 기간이 될텐데, 무슨 근거로 팀들에게 열심히 하라고 할수있을까요.
방송스크림 경기 그 이상이하도 아니게 될텐데.. 스크림 잘하면 MSI나가는 정도는 있겠네요.
계속 보다보니 북미는 롤드컵 몰빵이 되는건데 여태까지 국제 성적만 봐선 뭐 한번정도 저지를만하다고 보고..
유럽 제도는 좀 흥미롭네요. 전 어느정도 일리는 있어보입니다.
GjCKetaHi
20/01/22 14:08
수정 아이콘
이게 왜 그러냐면 롤드컵이 여러팀이 나가서 그런지 올 시즌 최고 팀 가리기가 아닌 1부리그 결정전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각 리그 운영진에서도 롤드컵에 점점 더 사활을 걸게 된 겁니다. 롤드컵에서의 좋은 성적이 마치 좋은 리그 운영을 했다는 것처럼 보이니까요. EPL, 라리가 운영진이 자국 리그 팀의 챔스 우승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인거죠.
밤의멜로디
20/01/22 14:15
수정 아이콘
북미 방식은 왜 스프링을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그냥 본 시즌과 예열하는 보너스 시즌이 있다고 봐도 될 듯
20/01/22 14:25
수정 아이콘
유럽은 그냥 진출전을 서머플레이오프에 퉁치는거고
북미는 관중들 뒤통수 퉁치는거고 크크크크크
Jeanette Voerman
20/01/22 14:38
수정 아이콘
LCS는 뭘로 바꿔도 똥망일 거라서 별로 걱정안됩니다. 과거 시스템으로 회귀한 건데 이건 롤드컵 성적을 위한 거라고 하는 건 무슨 조삼모사인지. 스프링 때 신인들 자유롭게 써보고 최적의 멤버 찾으라는 건데 애당초 좋은 신인이 없잖아요.
엔티티
20/01/22 15:11
수정 아이콘
뭔가 msi가 붕뜨는 느낌
20/01/22 16:01
수정 아이콘
다 좋은데 msi우승하고 리그 바로시작하는 심하게 바쁜일정때문에 서머 손해보면 너무.. 불이익이지않나 싶네요. 최소한 텀을 뒀으면 좋겠습니다. 방식이 불합리냐 합리냐보단 저렇게하면 롤드컵 준비기간도 넉넉해지고 성적도 더 잘낼거라는 판단이 있었나보네요.
저격수
20/01/22 16:27
수정 아이콘
msi 결승 진출팀에게 롤드컵 직행권을 주는 정도의 메리트는 있어야 저 결정으로 인해서 msi가 예전 iem의 전철을 밟지 않겠네요. 우승팀에게 주는 걸로는 부족하고요.
20/01/22 17:12
수정 아이콘
저런식이면 북미는 MSI 가면 미친거 아닌가요
그 짧은 일정동안 구버젼으로 뒤지게 게임하고 돌아오면
새 버젼으로 메타바껴서 서머 적응 빡셀텐데
전남남간
20/01/22 17:58
수정 아이콘
19 Skt도 msi 이후 섬머 초반 해매던거 생각하면 ..
20/01/22 18:05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그냥 MSI폐지하고 그자리에 리프트 라이벌즈를 MSI규모로 승격시키는게 낫겠네요
20/01/22 18:29
수정 아이콘
정답은 없지만 메타적응에 안정적인 스프링 1등, 서머 4등팀/패치수혜받아 스프링 하위권, 서머 3등한 팀이 나오면 후폭풍이 엄청나겠네요.
롤드컵 버전 때는 대규모 패치 안 한다고하고 서머 주챔 칼질해서 성적 날려먹은 팀이 몇개인데..
롯데올해는다르다
20/01/22 18:40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MSI는 벌칙인데요
일관되게 MSI 까는 쪽이긴 했는데 이건 진짜 심해요.
이정재
20/01/22 20:44
수정 아이콘
그냥 MSI 없애고 올스타전을 시즌 중간에 하고 한해리그를 통짜로 하는게 맞죠
마감은 지키자
20/01/22 22:14
수정 아이콘
대놓고 전반전은 버리라는 거네요. 서태웅 메타인가.
동굴곰
20/01/23 11:17
수정 아이콘
뭐하러 스프링-서머 나누나요. 그냥 단일리그 하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892 [LOL] LCS 5주차 요약 - 1강 8중 1약의 북미 [9] 비오는풍경6891 20/02/25 6891 1
67833 [LOL] LCS 4주차 요약 - 올해도 C9만 바라볼 북미? [20] 비오는풍경7650 20/02/18 7650 0
67799 [LOL] LCS 3주차 요약 - 북미의... [18] 비오는풍경9124 20/02/11 9124 4
67719 [LOL] LCS, LEC. 북미와 유럽리그의 롤드컵 선발전이 폐지되었습니다. [32] Leeka9083 20/01/22 9083 1
67360 [LOL] 전 북미/유럽 중계진 에스페란자님이 유서를 남겼습니다 [249] Leeka32607 19/11/28 32607 3
67277 [LOL] 북미 롤 씬의 육성제도 현황 소개 [12] Le_Monde11267 19/11/23 11267 1
66811 [LOL] 그룹스테이지 북미팀 멸망 후기 [53] 암드맨9866 19/10/21 9866 9
66794 [LOL] 북미는 멸망할것인가? [38] Leeka9775 19/10/20 9775 1
66729 [LOL] 북미 1시드 잔혹사(feat. 더블리프트) [44] 카바라스10603 19/10/13 10603 0
66239 [LOL] 마지막 주 북미 LCS 치열한 플옵 막차싸움 [53] 암드맨8328 19/07/29 8328 0
65618 [LOL] 북미, 유럽, 중국 대표 선수들의 자국리그 위상을 알아보자 [22] Leeka8192 19/05/08 8192 0
65609 [LOL] 북미가 저평가 당하는 이유는 뭔가요?? [59] 구리트33310196 19/05/07 10196 0
65223 [스타2] 3월 13일 커뮤니티 업데이트 (북미) [9] Liberation8071 19/03/13 8071 0
65166 [LOL] 해외 메이저 리그의 명문팀들 이야기 - #1 북미편. [30] Leeka7761 19/03/04 7761 2
64890 [기타] 2018년 북미 & 일본 패키지 게임 판매 순위 [16] Leeka5994 19/01/17 5994 0
64855 북미 2018년 비디오게임 판매 차트 TOP 10 [51] Leeka8056 19/01/07 8056 0
64854 2018 북미 아마존, 비디오게임 부분 판매순위 [25] Leeka5329 19/01/02 5329 0
64477 [LOL] 북미 유럽 롤스타전 최종 득표 결과.jpg [40] MystericWonder10745 18/10/25 10745 0
64443 [LOL] Seven Years! 드디어 북미의 한을 풀기 시작한 Cloud9 [13] Leeka5143 18/10/21 5143 0
64430 [LOL] 4부리그로 끝난 2018 LCK 이야기와 북미 최고의 팀 C9 [15] Leeka5284 18/10/21 5284 0
64386 [LOL] [레딧] 북미팬들의 100T 혐오 [36] The Special One10936 18/10/18 10936 0
64352 [LOL] 영원한 북미의 희망 C9.. 가장 먼저 8강을 확정짓다. [85] Leeka8187 18/10/14 8187 6
63923 [LOL] 2주 연속으로 나온 희대의 북미 [13] MystericWonder7432 18/08/07 74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