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1 22:12:09
Name 여기
Subject [LOL] 일본 롤은 룬 이름 번역을 뭐라고 했을까 궁금해 찾아 보았습니다
[정밀](Precision)부터 하겠습니다  

우선 정밀은 栄華(영화) 라는 한자로 번역 하였습니다 여기서 부터 번역이 다르죠

한국어에서는 부귀영화할때 그 영화입니다

①세상(世上)에 드러나는 영광(榮光)  ②권력(權力)과 부귀(富貴)를 마음껏 누리는 일

이라는 뜻이죠

정밀의 핵심룬부터 가보겠습니다

1. 원거리 평타 챔프가 무난한 [집중 공격](Press the Attack)

プレスアタック 프레스어택이라 영어 그대로 번역 했군요

2. [치명적 속도](Lethal Tempo) 치속이라 줄여서 말하죠

リーサルテンポ 리살템포 이것도 집공처럼 영어명 그래도 입니다

3. [기민한 발놀림](Fleet Footwork)

フリートフットワーク 플리트 풋워크 라고 영어 그대로 가져왓습니다

4. [정복자](Conqueror)

征服者 정복자 한국과 번역이 같군요


다음은 2번째 페이즈인 [영웅](Heroism) 입니다

일본어는 勇壮 용장이라고 번역했습니다

영웅의 룬으로는

1. [과다치유](Overheal)

オーバーヒール 오버힐 입니다 또 영어명 그대로 입니다

2. [승전보](Triumph) 터지면 갓전보라고 하죠

凱旋 개선이라는 한자로 번역했군요 개선장군, 개선문 할때 그 개선입니다

3. 침착(Presence of Mind)

冷静沈着  냉정침착이라고 번역했군요

3번째 페이즈인 전설(Legend) 입니다

일본어로는 伝説 전설 이네요 똑같습니다

1. [전설: 민첩함](Legend: Alacrity)

レジェンド: 迅速  레전드:신속

2. [전설: 강인함](Legend: Tenacity)

レジェンド: 強靭 레전드:강인

3. [전설: 핏빛 길](Legend: Bloodline)

レジェンド: 血脈  레전드:혈맥 이라고 번역했습니다

전투(Combat) 정밀의 마지막 페이즈 입니다

戦闘 전투 똑같습니다

1. [최후의 일격](Coup de Grâce)

最期の慈悲 최후의 자비

2. [체력차 극복](Cut Down)

切り崩し 무찔르기  

3. [최후의 저항](Last Stand)

背水の陣 배수의 진 으로 번역 했습니다

심심해서 해보았는데 반응이 좋으면 다른 룬과 한국과 번역이 완전다른 스킬명에 대해 정리해보는 글을 써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모이맨
19/11/01 22:23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챔피언 이름 부르는게 신기했는데 중국은 챔프 이름으로 안부르고 다 별명?으로 부른다고 하더라고요
케일은 천사, 루시안은 오바마라던데 크크
다시마두장
19/11/02 02:52
수정 아이콘
중국인 친구에게 오바마 얘길 꺼내니까 어떻게 알았냐며 빵 터지더군요 크크
19/11/01 22:24
수정 아이콘
진 스킬 이름 번역이 "진짜"던데요 크크
19/11/01 22:39
수정 아이콘
정말 양질의 글 감사드립니다. 이런 소소한 언어적 차이가 각 나라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어렴풋하게나마 대변하는거 같아 재밌는거 같아요. 시리즈물로 연재되면 응원합니다!
저격수
19/11/01 22:52
수정 아이콘
꾸드 그라스를 최후의 자비로 번역하는 건 이상하지 않나요? 자비의 일격이라 하던가 최후의 일격이라 해야 할텐데..
19/11/01 23:18
수정 아이콘
最後랑 最期랑 같은 사이고로 읽는데

最期라고 한자로 쓰면
최후; 명이 다하는 때; 죽음; 임종 이런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잠이온다
19/11/01 23:05
수정 아이콘
음역이 많네요. 하긴 한국도 블리자드의 화염구 번역 이전엔 다 음역이었으니...
及時雨
19/11/01 23:06
수정 아이콘
비슷하군요.
던파망해라
19/11/01 23:46
수정 아이콘
보통 일본에서 아주 자주 쓰는 용어 아니면 원 용어 그대로 갖고오더군요
19/11/01 23:50
수정 아이콘
용어도 영어 베이스로 쓰는 것들이 많더군요.

전령같이 ヘラルド(Herald)로 줄여서 말하는 것도 많고,
텔포는 TP, 평타는 AA, 물방, 마방은 AR, MR... 공속, 이속은 AS, MS...
기무라탈리야
19/11/02 09:10
수정 아이콘
사실 능력치 부분은 전부 한자화 되었습니다 (물리공격, 마법공격, 물리방어, 마법방어, 이동속도, 공격속도 etc) 그런데 일본서버 열리기 몇년 전 부터 일본에서 대회를 열어왔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버릇(?)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소환사 주문은 전부 영어고요, 정글몹도 전부 영어이긴 합니다.
좌종당
19/11/03 08:50
수정 아이콘
완전히 번역한 한국도 시즌3 정도까지는 영어명 줄임말을 읽는게 상식처럼 여겨졌죠..
19/11/03 16:02
수정 아이콘
지금도 남아있는 줄임말의 잔재는 대충 블클 트포 데캡 텔포정도가 생각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6032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0960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2134 13
81691 [LOL] 승자 결승이 있었는데요.. 없었습니다. LCK 플옵 한화vsKT 후기 [50] 하이퍼나이프9102 25/09/20 9102 2
81690 [LOL] 2025 월즈 슬로건으로 추정되는 문구가 확인되었습니다. [6] 코라이돈7351 25/09/20 7351 1
81689 [LOL] 2025 롤드컵 트로피. 소환사의 컵이 새롭게 디자인 됩니다. [10] Leeka8047 25/09/20 8047 0
81688 [LOL] 4세트 람머스 픽에 대한 김정균 감독의 반응 [66] Lz12211 25/09/19 12211 10
81687 [LOL] LCK에서 3시즌 내내 반복된 역사와, 바뀐 역사 [25] Leeka11505 25/09/19 11505 8
81686 [LOL] 어둠을 뚫고 내가 돌아왔다! LCK 플레이오프 T1 vs DK 후기 [33] 하이퍼나이프11652 25/09/18 11652 4
81685 [LOL] LCK 롤드컵 시드 관련 [30] 영혼10380 25/09/18 10380 4
81684 [LOL] 김대호 코치 “이기는 게 더 상상돼서 아쉬웠다” [138] 반니스텔루이13171 25/09/18 13171 0
81683 [LOL] 어쨌든 진출 [55] roqur9181 25/09/18 9181 3
81682 [LOL] 월즈에 진출한 20명의 월즈 연속 진출 기록 정리 [9] Leeka4997 25/09/18 4997 0
81681 [LOL] 각 팀별 월즈 우승시 행복 시나리오 [24] 잘생김용현4696 25/09/18 4696 2
81680 [LOL] 티원과 딮기가 롤로파 1시드 결정전을 펼칩니다. [87] Leeka7831 25/09/18 7831 1
81679 [LOL] 노란 폭풍을 잠재우고 북벌을 향해 - LCK 플레이오프 DKvsBFX 후기 [47] 하이퍼나이프8669 25/09/17 8669 8
81677 [LOL]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아시아 인비테이셔널(ASI) 확정! [75] 본좌9084 25/09/17 9084 2
81676 [LOL] 현재 LPL 상황 [30] 포스트시즌13592 25/09/16 13592 2
81675 [오버워치] OWCS 2025 스테이지 3 3주차 리뷰 [2] Riina5265 25/09/16 5265 0
81674 [LOL] KT vs HLE 승자조 경기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99] 자유형다람쥐17644 25/09/15 17644 10
81673 [LOL] 이 와중에 LPL 상황 [22] 포스트시즌18886 25/09/14 18886 1
81672 [발로란트] T1 이겨줘.. [7] 김삼관10426 25/09/14 10426 0
81671 [LOL] [LCP] 2025 월즈에 올 베트남 팀이 결정되었습니다. [3] BitSae7390 25/09/14 73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