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6/04 22:26:05
Name Leeka
Subject [LOL] 북미와 중국에서 롤드컵을 대표하는 팀..
비시즌이기에 소소한 뻘 자료들로 찾아오는 시간을 맞이해서..



북미

시즌3 - 최고 성적 8강 (Cloud 9)
시즌4 - 최고 성적 8강 (Cloud 9 / TSM)
시즌5 - 최고 성적 16강 재경기 (Cloud 9)
시즌6 - 최고 성적 8강 (Cloud 9)
시즌7 - 최고 성적 8강 (Cloud 9)


자국리그는 TSM이 최다우승이지만, 항상 롤드컵에서는 Cloud 9가 북미의 자존심을 지킴


중국

시즌3 - 최고 성적 준우승 (RNG)
시즌4 - 최고 성적 준우승 (RNG)
시즌5 - 최고 성적 8강 (EDG)
시즌6 - 최고 성적 8강 (RNG / EDG)
시즌7 - 최고 성적 4강 (RNG / WE)


자국리그는 EDG가 짱짱이였으나.. 자존심은 RNG가 지키는 패턴....
(EDG는 와일드카드전 패배, 16강 광탈등의 사건으로..)



14, 16, 17년 모두 자국리그 결승전 한번 안가고도 롤드컵 결승 가버린 삼성만 봐도..  
자국리그 강팀과 국제대회 강팀은 별개가 아닐까..  싶은 느낌을 주는..



덧붙이자면

북미와 유럽의 대결은

시즌1 - 유럽 우승 / 북미 3위
시즌2 - 유럽 4강 / 북미 8강
시즌3 - 유럽 4강 / 북미 8강
시즌4 - 유럽 16강 / 북미 8강
시즌5 - 유럽 4강 / 북미 16강
시즌6 - 유럽 4강 / 북미 8강
시즌7 - 유럽 8강(2팀) / 북미 8강(1팀)

유럽이 북미보다 못한적은 시즌4. 단 한번밖에 없고. 그 이외의 대회에서 전부 북미보다 잘함...
(시즌4가 카붐에게 얼라이언스가 한대 얻어맞은.. 와일드카드의 첫 반란이 일어난 대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쟤이뻐쟤이뻐
18/06/04 22:30
수정 아이콘
북미는 항상 인재는 잘 빼가는데 성적은 그모양...
18/06/05 16:04
수정 아이콘
중국이랑 비교하니까 더 비참해지네요..
다크템플러
18/06/04 22:36
수정 아이콘
TSM/EDG의 롤드컵 수난사는 참 신기합니다 크크물론 이분야의 끝판왕이자 짠할정도던팀은 G2지만요.
내일은해가뜬다
18/06/04 22:54
수정 아이콘
G2, EDG는 msi 우승, 준우승이라도 했지..... TSM은 국제대회 잘한적이 ㅠ
태연이
18/06/04 22:41
수정 아이콘
북미가 갖고 있는 진짜 문제점은 뭘까요
그냥 단순히 실력이 부족해서라면 도대체 왜 지난 몇년동안 항상 똑같은 대답밖에 듣지 못하는가 이게 제일 궁금합니다.
북미 솔랭이 다른곳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한건가
아니면 선수들이 북미만 가면 헤벌레하면서 침을 흘리기라도 하는 것인가....
결정장애
18/06/04 22:46
수정 아이콘
제가 북미롤팬이 아니어서 다행....
VinnyDaddy
18/06/04 22:54
수정 아이콘
RNG가 어떤 팀한테 졌나 보면
13 - 결승전 0:3, SKT
14 - 결승전 1:3, SSW
15 - 출전 안함
16 - 8강전 1:3, SKT
17 - 4강전 2:3, SKT

철천지웬수 SKT...
cluefake
18/06/04 23:21
수정 아이콘
MSI는 더욱 웃긴게 1등 했는데 SKT가 4등해서 1등해놓고 SKT와 강제로 4강에서 만나고 탈락..
의문의 CLG 예선 2등해서 1등보다 이득..
불가촉천민
18/06/04 23:32
수정 아이콘
중국 시즌 3때는 스타혼 로얄 클럽 아니었나요? RNG랑 미묘하게 다른 팀이라고 알고 있었는데요.
니시노 나나세
18/06/04 23:36
수정 아이콘
스타혼 로얄클럽이
로얄 네버 깁업 으로 바뀐거 아닌가요?
불가촉천민
18/06/05 00:00
수정 아이콘
저도 lpl을 본 건 아니지만 두 팀이 동시에 존재했던 기간이 있었던 것 같아서 방금 찾아봤는데, 위키에 따르면
(1) 스타혼 로얄 클럽이 강등당하면서
(2) 구단이 vici potential gaming을 인수해서 rng라고 이름을 바꾸고
(3) Team King과 로스터 교체를 해서(??)
만들어진 구단이라고 하네요. 스타혼로얄클럽은 강등 이후에도 잠시 존속했다는 것 같은데, 이게 글을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Nasty breaking B
18/06/05 01:00
수정 아이콘
로얄(RNG)가 원래는 승강전에서 져서 2부리그로 떨어져야 했었는데
간단히 말해 로얄 구단주가 돈으로 1부리그 시드권을 사서 다시 1부리그에 참여한 거죠. 로얄클럽=RNG
18/06/05 00:44
수정 아이콘
삼화도 결승간적없는거보면 삼성자 다는 팀은 뭔가 국내리그 대비 국제리그랑 인연이 깊은건가 라는생각이드네요
어우송
18/06/05 09:59
수정 아이콘
엠브이피오존은 우승했...
18/06/05 12:25
수정 아이콘
당해년도는 우승못했죠
18/06/05 16:40
수정 아이콘
정작 오존은 역대 유일 조별예선 광탈팀..
레몬커피
18/06/05 10:19
수정 아이콘
삼화는 늘 삼블이 문제였죠 준결승에서 삼블한테만 두번졌으니
그때도 드는 생각이였지만 내전변수만 아니였으면 다 우승할만했습니다 전 그때도 삼화가 훨씬 잘하는팀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삼블이 다데 야스오도 그렇고 꿀챔을 좀 빠르게찾아내서 잘썼어요 탑마오카이로 재미 많이봤죠
이후 메타 고정된 롤드컵에서는 삼화가 압도적으로 승리해버려서..
18/06/05 12:26
수정 아이콘
글쎄요 승부에 무조건 부등호 끼는것도아니고 어차피 넘버 원팀 뽑는건데 대진운이안좋아서 3위 계속했다는 말은 좀 어불성설같네요. 애초에 넘버원이면 다이기고 우승해야죠. 꿀챔 찾는것도 실력이고요.
서즈데이 넥스트
18/06/05 16:42
수정 아이콘
티에스엠이 찬트는 참 좋은데 쓸일이...
다레니안
18/06/05 22:34
수정 아이콘
전 솔로랭크 수준 차이가 리그경쟁력에 있어 꽤나 크다고 보기에 중국에서 한국서버 못하게 좀 막아봤으면 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888 [LOL] 어제 북미에서 나온 희대의 북미 [14] MystericWonder10135 18/07/31 10135 4
63713 [스타2] 아주 방태수다운 경기 - WCS 발렌시아 북미 예선 4강 1경기 [6] 及時雨8620 18/07/01 8620 3
63604 [LOL] 북미와 중국에서 롤드컵을 대표하는 팀.. [20] Leeka8215 18/06/04 8215 1
63532 [LOL] 최후의 희망을 붙잡은 북미! 4일차 후기 [81] Leeka12168 18/05/14 12168 0
63529 [하스스톤] HCT 북미 대회로 보는 컨사제 유형 [15] 잠잘까9307 18/05/14 9307 5
63359 [스타1] 4.1 북미 만우절 패치 내용 [16] 유자농원12069 18/04/09 12069 1
62875 [LOL] 2018 LCS 개막 전, 팀들을 정리해보자 (북미편) [12] 후추통7141 18/01/12 7141 1
62656 [LOL] Jacob Wolf의 팟캐스트 썰 요약 (ESPN, 북미 소식 위주) [11] 비역슨7292 17/11/29 7292 0
62551 [스타2] 밸런스 패치 예정 목록이 북미 공홈에 떴습니다(펄서광선 너프 포함) [33] 싫습니다10389 17/11/18 10389 3
62529 [스타2] [협동전 임무]한과 호너 북미 출시, 그리고 1판 해본 소감. [1] 그룬가스트! 참!7182 17/11/15 7182 3
62301 [스타2] [협동전 임무]피닉스의 보복 프로토콜 및 용사 연구 비용에 관한 리워크 예정 소식이 북미 스2 공식 협동전 포럼에서 언급되었습니다. [5] 그룬가스트! 참!7763 17/10/28 7763 0
62251 [LOL] 양키즈/골스/클블/휴스턴로킷 북미 LCS IN, 프나틱/G2/미스핏츠/스플 북미 LCS OUT [58] 마빠이8581 17/10/20 8581 1
62206 [LOL] 2주차에서 부활하는 유럽과 몰락하는 북미.. [14] Leeka6910 17/10/14 6910 2
61542 [LOL] MythBreaker : 북미나 유럽은 한국에 비해 신인이 없다? [45] 스팀판다7862 17/07/03 7862 0
60920 [히어로즈] 히어로즈 오브 더 돔 : 북미 대학생들의 히오스 도전기 [13] 은하관제10105 17/03/12 10105 0
60906 [하스스톤] 영웅 난투 북미 얼방 법사 후기 [12] 전력질주8809 17/03/09 8809 0
60404 [LOL] 롤드컵 진출팀 위주의 LCS 리뷰 - 북미편- [9] 후추통11017 16/11/28 11017 4
60115 [LOL] 시즌2~6 북미 롤드컵 성적 [41] 오즈s7657 16/10/14 7657 2
60096 [LOL] [레딧] '북미팀은 한국에서 전지훈련을 하지 말아야 한다.' [189] The Special One16786 16/10/12 16786 6
60092 [LOL] 2016 롤드컵 북미팀 Q&A 분석 - 마무리 [25] becker10215 16/10/10 10215 32
59959 [LOL] 2016 롤드컵 북미팀 Q&A 분석 - Cloud 9 [13] becker6653 16/09/23 6653 22
59956 [LOL] 2016 롤드컵 북미팀 Q&A 분석 - Counter Logic Gaming [38] becker10979 16/09/21 10979 22
59931 [LOL] 2016 롤드컵 북미팀 Q&A 분석 - Team SoloMid [34] becker8088 16/09/15 8088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