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7/23 17:14:39
Name Shotable
Subject [LOL] 현시점 LCK 롤드컵 경우의 수 정리
길었던 2016 롤챔스가 이제 각팀이 정규시즌을 3~4경기만 남겨둔채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저를 비롯한 많은 분들이 슬슬 롤드컵 진출팀에 대해 궁금점을 가지고 계셔서 알아볼겸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롤드컵 포인트 (챔피언십 포인트 랭킹)에 대해서 한국 리그오브레전드 공식 홈페이지의 내용을 참고해서 정리 해보았습니다.
http://www.leagueoflegends.co.kr/?m=esports&mod=championshippoint


일단 정규시즌 순위는 상관 없이 포스트시즌 후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얻게 되며 아래와 같습니다.

스프링 시즌 포인트: 90 -> 70 -> 50 -> 30 -> 10 -> 10
섬머 시즌 포인트   : AQ-> 90 -> 70 -> 40 -> 20 -> 20 (AQ = 자동진출권 확보)

그리고 롤드컵 진출팀은 섬머 우승팀과 포인트 최상위팀, 그리고 마지막에 최종 진출전을 통하여 3팀을 선발하게 됩니다.

1번시드: 섬머시즌 우승팀
2번시드: 섬머 우승팀을 제외한 챔피언십 포인트 랭킹 1위
3번시드: 그 뒤로 4개 팀은 최종 진출전을 통하여 1위팀 진출
*** 포인트 동률시엔 순위 결정전을 합니다. (이건 작년 기준 입니다. 섬머시즌 상위 팀을 우선 순위로 해주는지에 대해선 검색을 아무리 해도 안나와서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제보 부탁으려요.)
*** NightBAya님의 제보로 포인트 동률시 섬머 순위로 순위를 결정합니다.
*** LCK의 1번 시드 팀은 SKT가 2016 MSI에서 4강 이상 성적을 거둠에 따라 롤드컵 예전 조추첨 시 첫번째 풀에 배정됩니다.

그럼 이제 스프링 시즌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SKT T1 : 90
2. ROX TIGERS : 70
3. KT Rolster : 50
4. JIN AIR Greenwings : 30
5. Afreeca Freecs : 10
5. Samsung Galaxy : 10

그리고 섬머시즌이 지금 순위데로 끝날 경우.

0. ROX TIGERS : 70 + AQ (1번시드)
1. SKT T1 : 90 + 90 = 180  (2번시드)
2. KT Rolster :  50 + 70 = 120 (최종 진출전 1번시드)
3. Samsung Galaxy : 10 + 40 = 50
4. Afreeca Freecs : 10 + 20 = 30
5. JIN AIR Greenwings : 30 + 0 = 30
6. MVP : 0 + 20 = 20


<각 팀별 자동 진출 경우의 수 - 섬머 우승 제외>

1. SKT T1
락스가 우승 할 경우: 3위 이상 할경우 자동 진출, 4위 이하를 하고 KT가 2위를 할 경우 최종 진출전.
락스를 제외한 나머지 팀이 우승 할 경우: 2위 할 경우 자동 진출. 3위를 하고 락스가 2위를 하면 160점 동률로 락스가 자동 진출.

2. ROX TIGERS
SKT가 우승 할 경우: 2위 할 경우 자동 진출, 3위를 하고 KT가 2위를 할 경우 140점 동률로 KT가 진출.
SKT 제외한 나머지 팀이 우승 할 경우: 2위를 하고 SKT사 3위를 하면 순위 결정전. 3위를 하고 SKT가 4위 이하를 하면 자동진출

3. KT Rolster
SKT가 우승 할 경우: 2위를 하고 락스가 3위를 하면 동률로 순위 결정전. 락스가 4위 이하면 자동 진출
락스가 우승 할 경우: 2위를 하고 SKT가 4위 이하를 할 경우 자동 진출

4. Samsung Galaxy와 Afreeca Freecs
SKT와 락스가 자동 진출 하고 2등을 한 후 KT가 4위 이하를 할경우 자동 진출

5. MVP
SKT와 락스가 자동 진출 하고 2등을 한 후 KT가 4위 이하를 할 경우 자동 진출

추가. JIN AIR Greenwings
MVP가 5위 이하를 하고 진에어가 8위 이상을 할 경우 최종 진출전. (작년 기준: 승강전으로 갈 경우 챔피언십 포인트 박탈)


아직 스프링의 우승자 SKT도... 현재 부진을 격고 있는 진에어도 롤드컵이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과연 올해는 어떤 팀이 롤드컵에 진출할지 이제부터 더욱 유심히 지켜보면 더 꿀잼 롤챔스가 될 수 있을거 같네요. 제가 손으로 계산한 경우의 수라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혹시 발견 하시고 댓글 달아 주시면 수정 하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ightBAya
16/07/23 17:20
수정 아이콘
6.2.4.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결정
서머 시즌 이후 2개 이상 팀이 동일한 챔피언십 포인트를 기록한 경우, 서머 시즌에서 획득한 챔피언십 포인트의 순위로 최종 순위를 판가름한다. 만일 동일한 챔피언십 포인트를 기록한 팀이 서머 시즌에도 같은 챔피언십 포인트를 기록한 경우, 서머 시즌 정규시즌 승리 경기 수, 세트득실, 상대 전적 순서로 최종 순위를 판가름한다.

롤챔스 규정집에서 가져왔습니다.
Shotable
16/07/23 17:21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맞게 수정 해야 겠군요
16/07/23 17:45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상황을 보면 SKT1, 락스, KT, 삼성, 아프리카는 안정권이라고 보고 진에어, MVP 두 팀이 경쟁하는 체제라고 봅니다.
Shotable
16/07/23 17:5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지금 하는 에버와 MVP전이 참 아이러니 하네요.. MVP 입장에선 사실 에버가 승수 쌓아서 진에어 승강전에 밀어넣는게 좋은건데 그렇다고 져주는건 말도 안되는 상황이고.. 애매하네요 크크
반니스텔루이
16/07/23 18:01
수정 아이콘
포인트 동률이면 서머 시즌 포인트를 우선으로 둡니다. 그래서 락스가 정규 시즌 1위 찍으면 무조건 롤드컵 직행 확정이죠
16/07/23 19:33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네요. 요즘 LCK를 거의 안보고 있지만 롤드컵같은 세계대회는 항상 기대됩니다. 올해도 부디 좋은 성적 거두길!
IRENE_ADLER.
16/07/23 19:52
수정 아이콘
올해 룰북에서도 승강전갔을 시 챔피언쉽 포인트 박탈한다는 내용이 있었어요.
IRENE_ADLER.
16/07/23 19:52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SKT는 아프리카 상대로 또 졌군요 또.. 어휴 진짜 왜 아프리카한테만 그러냐;;;
Shotable
16/07/23 19:58
수정 아이콘
이정도 되면 상성이 있나 봅니다..
성큼걸이
16/07/23 21:16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의 존재가 LCK, 그리고 롤드컵의 운명을 결정지을 겁니다
SKT가 포스트시즌에서 아프리카를 만나지 않는다면 섬머도 SKT가 우승할거고
반대로 SKT가 포스트시즌에서 아프리카를 만나게 된다면 섬머 우승팀은 SKT가 아닌 다른 팀일겁니다.
롤드컵도 마찬가지입니다. SKT가 우승할 가능성이 높지만 만약 아프리카가 롤드컵에 진출하고 SKT를 만나게 된다면 롤드컵 우승팀이 누가 될지 알수 없습니다
Frezzato
16/07/23 21:52
수정 아이콘
와 나왔다 롤챔스에서 가장 재밌는 경우의수 정리하는 시간
HeavenHoper
16/07/23 22:16
수정 아이콘
슬슬 윤곽이 드러나겠군요....
피아니시모
16/07/23 23:48
수정 아이콘
락스와 SKT는 확실히 유리한 상황이네요
하긴 두 팀 모두 스프링 결승진출팀인데다 현재 순위도 좋은 편이니..
KT는 락스나 SKT보다 불리할 뿐 나머지 팀들에 비할바가 아니고 (다만 락스나 SKT가 아니면서 자기들도 아닌 다른 팀이 섬머시즌 우승해버리면 골떄려지겠지만..)

진에어는 확실히 힘이 좀 빠졌네요 스프링때 벌어놓은 게 있는데 이대로 가다간..-_-; 맨 밑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할지도 모르는 데다 자칫 강등전을 가버리면 포인트가 소멸해버리니..
게롤트
16/07/24 13:01
수정 아이콘
SKT와 락스가 타팀들 위의 레벨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어서 무난히 롤드컵 갈 것 같고, 나머지 한 자리를 KT와 아프리카 둘 중에 한팀이 갈 것 같은 느낌입니다.
로즈마리
16/07/24 16:01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가 왠만해서는 포스트시즌은 갈것 같긴한데...
지난시즌에도 보면 큰경기에 은근 긴장을 해서요. 와카전에서 금방 떨어질것 같기도 하고.
사실 아프리카를 아나키때 챌린저스때부터 보아왔지만 알수없는팀이에요--;
Matt Harvey
16/07/24 20:45
수정 아이콘
자동진출 두 팀은 SKT, 타이거즈가 될 것 같고, 나머지 한팀은 개인적으로 아프리카 응원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653 [기타] 2016 블리즈컨 가상입장권 + 선물꾸러미 구매 비용 [24] Secundo8244 16/07/26 8244 0
59652 [기타] 대항해시대3 연재(5) - 흰비늘계단, 파르테논신전, 미케네 [14] guldan14496 16/07/26 14496 14
59651 [기타] [포켓몬] [스압] 뭐? 꼬렛이 포켓몬스터 X에 안 나온다고? [91] Sgt. Hammer11694 16/07/26 11694 37
59650 [오버워치] 오버워치 공수 밸런스 개선안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42] habsburg9246 16/07/26 9246 0
59649 [기타] [포켓몬GO] 일본 여행 도중에 열풍을 느끼고 왔네요. [18] 어리버리7329 16/07/26 7329 0
59648 [스타2] 프로리그 병행 시즌을 이렇게 했었다면 어땠을까요? [24] 성수8484 16/07/24 8484 0
59647 [기타] [워크3] PGL 결승 장재호 우승!! [44] kkaddar13286 16/07/24 13286 10
59646 [LOL] SKT 정글러/메인딜러간의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스탯.data [121] Vesta17351 16/07/24 17351 9
59645 [LOL] 현시점 LCK 롤드컵 경우의 수 정리 [16] Shotable11012 16/07/23 11012 3
59644 [하스스톤] 안녕로봇이 정규전에 편입?? [63] 이진아11380 16/07/23 11380 0
59642 [오버워치] 승자결정전에 대한 개선안? [31] pgr-2925138246 16/07/23 8246 0
59641 [LOL] 나이스게임TV 김경우 캐스터(aka.에스퍼란자) 트위터 발언 논란 [207] 키토35322 16/07/22 35322 3
59640 [오버워치] 데이터로 보는 팀별 실력 [8] SC210611 16/07/22 10611 0
59638 [오버워치] 아나 성우 논란 처음 제기한사람이 메갈 유저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24] 홀리워터12935 16/07/22 12935 0
59637 [스타1] 새로운 패치가 예정되어있다고 합니다. [103] 열역학제2법칙17487 16/07/22 17487 2
59636 [LOL] 중국 LSPL에 난리가 났네요. [86] 코우사카 호노카16900 16/07/22 16900 5
59635 [기타] 다이렉트 게임즈 2016 여름세일 [39] 샨티엔아메이10127 16/07/22 10127 0
59634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블리즈컨을 향하여" [20] 은하관제5977 16/07/22 5977 4
59633 [오버워치] 아나 성우 이선주 씨가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47] 캬옹쉬바나11775 16/07/21 11775 2
59630 [LOL] 안녕하세요. 후추통(KarLDeath)입니다. [23] 후추통8157 16/07/21 8157 31
59629 [LOL] 챌린저스 코리아 포스트 시즌 / 이벤트 안내 [15] 빛돌v5523 16/07/21 5523 11
59628 [오버워치] 심해탈출기 - 그래도 내가 (못)하지 않았어 [19] 이사무8312 16/07/21 8312 1
59627 [오버워치] 버스운빨겜 오버워치 캐릭추천 [윈스턴/디바] [10] 캐리건을사랑8203 16/07/21 82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