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2/06 10:18:24
Name susimaro
Subject [스타2] 스타2를 잘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물론 최상위권 그마까지는... 불가능합니다.
일단 제가 그마가 아니니까요.
그마가 되고 싶으시면 다른분께 문의 부탁드릴꼐요.

1. 테란을 주종으로 삼지 마세요.
테징징이 예전과 같은 테징징이 아닙니다.
정말 요즘 토스상대로 너무나 힘듭니다.
물론 패치가 어찌될지 모르겠지만 초반 중반 후반 유리한 타이밍이 없습니다.

2.전체유닛 선택키는 최대한 쓰지 마세요.
저같은 경우 아예 지워버렸습니다. 전체유닛키에 맛들이면
부대지정보다 전체유닛키 하나로 전 부대를 지휘합니다. 그럼 뭐 발전투가 일어나곤 합니다.

3.같은건물끼리는 항상 같이 부대지정을 해두세요.
연결체,부화장,사령부 또는 병영,관문 등등 같이 부대지정을 해두면 훨씬 편합니다.
이게 스2가 스타1보다 편해진 인터페이스죠. 테란같은 경우는 아예 생산부대를 다 같이 지정해도 됩니다.

4.중요유닛은 항상 따로 부대지정해주세요.
토스의 파수기 모선핵 1번 유닛에 다 지정해두면 시간왜곡 쓰고 텝 누르고 역장치고
수호방패 켜야하는 딜레마가 생깁니다. 거기다가 고위기사까지 추가되면 정말..
기본 유닛은 어느정도 뭉쳐다녀도 되지만 가스 많이 먹는 고급유닛들은 항상 따로 부대지정이 필요합니다.

5.화면지정을 꼭 사용하세요. 스타1때도 그랬지만 화면지정의 편안함을 정말 따라갈수가 없습니다.
펌핑을 하던 증폭을 걸던 화면지정 하나면 다 빠르게 해결할수 있습니다.

6.자신에게 맞는 단축키를 설정하세요. 저같은 경우 모든 공업은 A로 통일 모든 방업은 C로 통일
저글링 발업은 Z 아드업은 A 이런식으로 외우기편하고 누르기 쉬운 자리에 지정해 둡니다.

7.선수들 리플레이 파일을 구해서 똑같이 따라해보려고 노력하세요.
해외대회는 리플레이 파일을 다 푸는 추세라 구하기가 정말 쉽습니다.
선수들의 단축키 화면 움직임까지 스타2는 리플레이에서 다 구현됩니다.
거기다가 옆에 시간까지 뜨죠 몇초에 뭘 하고 몇초에 뭘 뽑고 뭘짓고 다 알수있습니다.
정말 이게 큰 도움이 되고 손이 조금 느려도 빌드빨로 이길수 있는 방법입니다.
똑같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비슷하게만 하고 15초 20초 느리더라도 래더에서는 통합니다.
래더에 다 프로게이머만 있는건 아니자나요.

8.저그유저로써 팁인데.. 절대 유닛에게 생산랠리 찍지 마세요.
저그의 특성상 잘 죽는데 랠리찍힌 유닛이 죽게되면 멍청하게 서있습니다.
대신 쉬프트키를 항상 활용하세요. 쉬프트 단축키 누르면 그 부대에 항상 편성됩니다.

그럼 즐거운 스타2 생활되세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승훈
14/02/06 10:45
수정 아이콘
좋은 팁 감사합니다.

저는 테란만 파고들어 플레이 하는데 자날 초창기에 부대지정을 모두 1로하는 습관을 들였더니 고쳐지질 않네요.
덕분에 대규모 싸움에서 분명 이겨야 하는 조합인데 지는 경우가 종종 나옵니다...

최근에 몇번 부대지정을 바꾸려고 해 보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짓을 하니까 스트레스만 받더라구요.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살고 있습니다. 흐흐
프로솔로
14/02/06 10:50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그마테란분도 부대지정 하나에 몰아서 쓰시는데 탭 키 쓰면서 잘하시더라구요..
부대지정 고치는게 힘드시다면 탭키를 잘 활용해 보세요.
이승훈
14/02/06 11:03
수정 아이콘
탭키는 열심히 쓰고 있습니다만, 어택 땅 할때 밤까같은 공격력은 없지만 중요한 유닛이 자꾸 앞으로 나가서 문제네요.
프로솔로
14/02/06 11:08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 부대지정 같이 하지마시고 후방 유닛에 무브로 붙여놓으세요.
이승훈
14/02/06 11:10
수정 아이콘
제가 밤까를 후반가면 거의 부대단위까지 모으는지라... 부대 지정을 하긴 해야 되서요. 크크

그래서 1번 공격, 2,3, 그리고 4번은 생산 건물 등, 하고 5번부터 특수 유닛을 써보려고 하는데 맨날 꼬이네요.
프로솔로
14/02/06 11:16
수정 아이콘
특수유닛을 2번에 지정하는 것은 어떨까요? 5번은 너무 먼 것 같은데..
이승훈
14/02/06 12:19
수정 아이콘
2번에는 사령부랑 각종 업그레이드 건물들을 지정해 둬서.. ㅠㅠ

사령부와 업그레이드 건물을 3번, 생산 건물을 4,5 번으로 바꾸려 했더니 손이 꼬여서 포기 했습니다...
신예terran
14/02/06 12:37
수정 아이콘
사실 손따라주면 그렇게 해도 되죠 크크. 이정훈 선수도 해불의탱크 다 1에 놓고 탭으로 다 컨하던걸로 기억하거든요.
루카쿠
14/02/06 10:51
수정 아이콘
테란을 주종삼지 마세요라..

저그보다도 테란이 암울하던가요? 그건 아닌것 같던데.

프사기에는 동의합니다. 제가 정말 허접인데 종족빨로 이긴 경기가 한 두 경기가 아니라서요.

모선핵좀 어떻게 했으면 합니다. 패치가 된것 같던데 아직 올려주시는 분이 없네요.
azurespace
14/02/06 10:59
수정 아이콘
무슨 말씀입니까. 지금 저 > 테, 저 > 프인데....
하후돈
14/02/06 12:17
수정 아이콘
그거야 다이달로스때문에 저>프 가 된게 아닐까요? 최근 두 해외대회 모두 프프전 결승이 나왔고, IEM쾰른 아시아예선도 토스2명이 뚫었고 어제 GSL 코드S A조만 봐도 저그 둘이 떨어지고 토스 둘이 올라갔죠. 이정도만 봐도 이제는 프 > 저 아닐까요? 극후반이 아니고서야 토스가 저그를 찌를 타이밍은 언제나 존재하니까요. 견제하는것도 토스가 훨씬 쉽죠. 솔직히 요즘 토스들이 타종족 지면 반성해야되요.
불확정성
14/02/06 12:21
수정 아이콘
작년 12월 29일부터 어제까지 국내 프로리그, 개인리그에서는 저그가 프로토스 상대로 우위입니다. 어제 결과를 포함하면 개인리그는 19:24입니다.
진실은밝혀진다
14/02/06 12:37
수정 아이콘
다이달로스 아니더라도 저그 우세입니다.
지금 밸런스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저프전 저그 소폭 우세, 테프전 토스 대폭 우세, 저테전 저그 소폭 우세
이정도로 의견이 모아지죠.
테프전 때문에 토스만 뭇매를 얻어맞고 있는거지...현재 세종족 중에 저그가 가장 좋은거 맞습니다.
프로솔로
14/02/06 11:03
수정 아이콘
프테전 밸런스가 제일 깨진 것 같기는 하지만 제일 좋은 종족은 저그죠..
susimaro
14/02/06 11:37
수정 아이콘
현재 밸런스가 많이 무너졌죠.

테란상대로도 저그가 좋고 토스상대로는 최최상위권 말고는 정말 답이없어보입니다.
배지현
14/02/06 10:53
수정 아이콘
2번팁 정말공감합니다 크크
한화99스
14/02/06 11:03
수정 아이콘
2번 완전 공감입니다. 맛들였더니 패트롤 해 논 애들 다 따라오고 멀티 체크하는 애들 다 오고 난전보낸 애들 중간에 다시 돌아오고 최악입니다.
susimaro
14/02/06 11:40
수정 아이콘
특히 저글링 상대 본진에 난전 보내놓고 대규모 전투하는데 저글링이 다시 돌아오는....... 안타까운 현상이.
뮤탈을 컨트롤 했는데 저글링이 상대 앞마당에 꼬라박고 있는 경우도 있고요 크크
14/02/06 11:07
수정 아이콘
전 유닛지정의 순환을 잘하라고 말하고 싶네요.(전체유닛 선택키와도 일맥상통합니다.)
유닛지정을 정해놓고 쓰시는 분들이 많은데 테란일 경우 1번 해병,불곰 2번 의료선 3번 공성전차 or 바이킹 이렇게 한다고 치면
초반에서 중반넘어가기전까지 한타페이즈로 넘어가기전엔 유동적으로 쓰는 게 나은 거 같아요.
의료선으로 견제를 한다치고 굳이 2~3번 쓸 필요없이 1번으로 충분합니다.(상대방과 대치중엔 다르겠지만)익숙한 1번으로 지정후에
컨트롤할거 다하고 빼고나서 다시 주요유닛에 1번지정해서 컨트롤하고 이런식으로요. 근데 뭐 이것도 취향차 인듯...
이승훈
14/02/06 11:12
수정 아이콘
저두 유닛 지정을 계속 순환시키기는 합니다만, 한번 잘못 순환시켜서 꼬이기 시작하면 그거 바로 잡는데 10초이상 걸리네요. 크크.
14/02/06 11:21
수정 아이콘
F2키를 뽑아버리고 싶어졌어요 ㅠㅠ 전부대지정키는 정말 안좋은 습관이더군요. 화면지정으로 F1~4 쓰니 정말 편해지는거같은데 손이 아직 익숙해지지 않으니 맨붕 자주 겪네요.
susimaro
14/02/06 11:36
수정 아이콘
전 안뽑고 그냥 지워버렸습니다. 크크
F2키는 스타1 하던 버릇대로 화면지정으로 쓰고있습니다.
프로솔로
14/02/06 11:22
수정 아이콘
전 화면지정키는 안쓰는데 보통 지정하면 어디를 많이 지정하시나요?
14/02/06 11:28
수정 아이콘
스1하면 F2 본진/ F3 앞마당/F4 제2멀티(혹은 유닛집결시점/생산건물시설)이런 식으로 쓰는데 스2도 그런 식으로 많이 씁니다.
susimaro
14/02/06 11:32
수정 아이콘
주로 본진 앞마당 2멀티 가장 중요한 전투핵심지역에 지정해둡니다.
토스로 할때는 차관 증폭때문에 차관에 화면지정 하기도 하고 업을 빠르게 해야한다면 제련소에 화면지정 하기도 합니다.

전 주종이 저그인데 본진/앞마당/2멀티/마지막 점막지점에 화면지정해둡니다
점막에 화면지정 해두면 늘리는 속도가 훨씬 빨라지더군요.
저그인
14/02/06 11:35
수정 아이콘
2번 완전 공감합니다!
자날때는 유닛 따로따로 지정해서 전투하니 산개나 별동대운영도 간간히 했었는데, 군심에서 f2키 맛들리고는 별동대들도 다 돌아오고 밀리유닛이 후방에서 부비대고 특히 패치전에는 감시군주들이 먼저 진격하다가 몰살 당했었죠. 크크.
susimaro
14/02/06 11:38
수정 아이콘
감지탑 잡고있던 유닛이나 멀티체크하던 유닛이 다 따라오죠. 그러면서 시야는 좁아지고
물론 마우스로 컨트롤은 할수 있겠으나 세세하게 유닛마다 컨트롤이 힘들죠.
14/02/06 11:49
수정 아이콘
2번은 저도 익숙해져서 이제 어쩔수가 없어요. 근데 테란이면 몰라도 토스나 저그는 써도 되는듯.
장차 F2에 특정 유닛 제외 이런 옵션 있었으면 좋게썽요..

4번은... 토스할때는 고위기사만, 저그할때는 타락귀-살모사만 따로 지정하는듯

근데 화면지정 진짜 편한가요 써본적이 없는데 그냥 기지선택키 `에 설정하고 해도 대충 되는거 같아서... 그리고 펌핑은 아예 여왕부대지정하고 미니맵으로 해결...
susimaro
14/02/06 11:50
수정 아이콘
미니맵으로 하면 한번씩 대륙횡단을 해서 크크
화면지정은 써보시면 진짜 편합니다.
김소현
14/02/06 12:06
수정 아이콘
부대지정이 편해졌다고 하나 사실 스2해보니 마법유닛이 많아서 오히려 부대지정이 까다롭더군요

스1 스2 토스유저인데 스1은 마법유닛이 해봐야 아비터/템플러 조합된 병력인데

스2는 파수기,모선핵,고위기사 딱 이 세가지만해도 따로따로해줘야하고 전시상황 아니더라도 예언자나 불사조같은 유닛도 있고,,
또 백번양보해서 건물은 연결체랑 차관만 이용한다 해도,,

여튼 손이 작아서 단축키 6이 한계인 저로서는 스2가 스1보다 컨트롤이 어렵다고 느껴집니다..
불확정성
14/02/06 12:14
수정 아이콘
차원관문은 q를 써보세요. q가 전체 차원관문선택입니다.
캐리어가모함한다
14/02/06 12:20
수정 아이콘
사소한 테클이라 죄송합니다;; 기본키는 w인걸로...
불확정성
14/02/06 12:21
수정 아이콘
테란유저라서(...) W가 맞는 것 같네요 크크크
susimaro
14/02/06 12:39
수정 아이콘
토스로 전투할때 간단한 팁은 일단 전투전에 수호방패부터 키고
전투가 일어날것 같다 하면 시간왜곡을 두방 날려줍니다.
그 뒤로 전투하면서 역장과 점멸 폭풍을 적당히 써주고요.

불사조를 쉽게 컨트롤 하는팁은 아예 우관랠리를 불사조에 찍어두면 알아서 모입니다.
불사조는 잘 안죽는 유닛이라 랠리 찍어두는게 편하더군요.

연결체는 모두 한번에 부대지정 해두고 증폭쓰면서 일꾼생산중인경우 연결체 부대 눌러보면 하얀점이 있습니다.
그걸로 현재 연결체에 일꾼이 뽑히고 있는지 확인하면 편하더군요.
불확정성
14/02/06 12:14
수정 아이콘
트리플 할 때까지 일꾼 생산을 쉬지 않는 것도 중요한 기본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테란인데 보급고 막힐 때가 종종 있는데 아예 보급고 짓는 일꾼을 쉬프트 광물지정하지 않으면 알아서 화면에 노는 일꾼으로 표시되니까 바로 보급고 짓습니다. 보급고 막히는 게 조금 줄었네요.
susimaro
14/02/06 12:35
수정 아이콘
스타는 1이나 2나 일꾼을 꾸준히 뽑는게 중요하죠.
특히 펌핑이 필요한 저그나 증폭을 써줘야 하는 토스는 더더욱 애벌레관리 증폭관리가 중요하고요.
스타2는 일꾼 최적화가 워낙 쉽다보니 최적화만 잘 해놔도 돈은 잘들어오죠
캐리어가모함한다
14/02/06 12:24
수정 아이콘
많이 공감합니다. 저는 세 종족을 고루 하는데 전체선택 F2키는 테란일 때만 사용합니다.
저그 : 분명히 저그 감시군주가 F2키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패치 내용을 본 거 같은데! 실제로는 F2 누르면 다 따라와서 안 씁니다.
토스 : 옵저버 뿌려놨는데 그거 다 따라와서 안 씁니다 -_-;; 모선핵+파수기+고위기사 스킬 쓰는 문제도 있고요.
테란 : 주병력이 바이오닉+의료선이라 병력 충원 및 갈무리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서 가끔씩 사용합니다.
susimaro
14/02/06 12:33
수정 아이콘
토스는 진짜 옵저버가 문제죠. 맵에 뿌려놨는데 어느새 내 머리위에 둥둥둥둥둥
저그로 안쓰는 이유도 저글링 뿌려놨는데 어느새 모여있어서......
테란은 순간적으로 모을때 쓰면 좋을것 같긴 하네요. 하지만 아예 부대전체지정기를 없애서 크크
azurespace
14/02/06 12:37
수정 아이콘
저는 전체선택 키는 분명 뽑았는데 어디 갔는지 모를 바이킹 찾는 용도로만 쓰려고 합니다.

단 저그전엔 교전중에 급히 추가병력 충원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그럴 땐 쓰죠
14/02/06 15:0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그놈의 바이킹은 맨날 어디가있는지....
14/02/06 12:40
수정 아이콘
쉬프트 단축키가 이해가 잘 안가는데 자세히 설명 해줄실 분 안계신가요?
susimaro
14/02/06 12:43
수정 아이콘
주로 번호키에 부대지정을 하게됩니다. 1-0번까지
건물을 추가하던 유닛을 추가하던 쉬트프 그 해당 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추가가 되죠.

만약 저그라고 치면 뮤탈이 2번에 부대지정이 되어있다.
그럴때는 애벌레에서 뮤탈을 누르면서 바로 쉬프트+2번을 눌러줍니다. 그럼 같이 부대지정이 되죠.

연결체나 부화장도 같은 원리고요. 만약 4번에 연결체가 부대지정이 되어있다.
그럼 멀티를 하면서 멀티 연결체를 쉬프트+4 눌러둡니다. 그럼 같이 부대지정이 되어있습니다.
증폭쓸때도 매우 편하고요 굳이 에너지 있는 연결체 찾을필요없이 4번 누르고 c 눌러버리면 되니까요.
다만 조심할 점은 랠리도 같이 찍힌다는 점이겠죠. 저그같은 경우는 유닛이 따로나올 필요가 있을때도 있기에
전체 부화장 부대지정을 하고 따로 하나씩 하기도 합니다.
이게 숙달되면 매우 편합니다.
두둠칫
14/02/06 22:35
수정 아이콘
허얼~~~~..... 이런게 있었다니......

지금까지 저그하면서 새로운 부화장을 원래 부대에 추가로 넣을때 다같이 선택 이후에 부대지정을 하는 방법으로 했었는데... 엄청난거 알아갑니다;;;
리듬파워근성
14/02/06 12:46
수정 아이콘
반대로 감시군주 변태시켜놓은게 어디있더라? 싶을 때 최고의 방법은 바로 F2
14/02/06 13:04
수정 아이콘
아직도 프로토스가 강세군요. 제가 군대가기전 자유의날개 할때도 프로토스가 강세였는데..
스타같은(RTS라고 하나요?) 게임을 정말 많이 해봤는데. 가장 좋은것은 자원 잘 캐서 일단 잘뽑는게 중요하구요. 그다음 꼼꼼하게 업그레이드하는것. 그다음 특정 선수의 정석빌드를 리플레이를 보고 따라서 연습 많이 해보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빌드를 따라할수있게됐다면 정찰을 잘하는 것.
그렇게만해도 다이아는 갈수있을거같네요. 그외에 잘 싸우면 마스터리거. 거기에다가 운영도 잘하면 프로게이머.
결국 정석적인 기본기가 실력의 기초라는 이야기... 입스타였습니다.
모든걸 한꺼번에 배우기보단 하나하나 중점을 두고 연습하는게 좋을것같네요.
진실은밝혀진다
14/02/06 13:16
수정 아이콘
아직도...라기 보다는 군심 초반에는 테란의 강세였습니다. 토스 강세로 전환된건 얼마 안 됐죠.
susimaro
14/02/07 10:58
수정 아이콘
자날 초기에는 테란 짱짱맨이였고 자날 후반에는 무감타 저그시대였죠.
자날때 토스가 좋았던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토스의 유일한 희망이 장민철이였고요.
다만 묻계라는 맵과 원관문 트리플의 멸뽕으로 잠깐 반짝했었죠.
14/02/08 02:5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벌써 4년전 일이라 가물가물하네요.
제가 3종족 다했는데 프토로스로 가장 높은 티어를 찍어서 그렇게 기억하나봅니다.
14/02/06 13:10
수정 아이콘
친구랑 하루에 몇판씩 하는데
후반도 아니고 중반부터 어떻게 해야되는지 감을 못 잡겠더라구요

거신(쭈꾸미)랑 고위기사 나오면.....

애초에 스1 자체도 실력차이가 났기때문에
다른종족전(테저,저테,저프,프저,프테 등등)은 70퍼센트 이상 이기는데
테플전은 5대5수준이라...
이기는것도 초반에 밀어붙인거 아니면 이긴적이 없어서ㅜ
테플전 중후반만 잡으면 친구녀석이 그만 붙자고 할텐데
asdqwe123
14/02/06 13:1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엔 돈안남기면 골드까지 무난하고 멀티하면서 돈안남기면 플레 돈 안남기면서 멀텟도 어느정도 가능하면 다이아 거기다가 운영까지 하면 마스터 모두 통달하면 그마 아닐까 하네요. 크크
azurespace
14/02/06 13:40
수정 아이콘
돈 안남기는 것만 해도 다이아 충분합니다. 솔직히 다이아도 돈 잘 못 쓰거든요
14/02/06 14:11
수정 아이콘
초반부만 최적화 잘되면 돈 좀 남기고 인구수 좀막혀도 프로 이길수도 있습니다? 물론 올인 한정이지만서도
azurespace
14/02/06 14:37
수정 아이콘
프로급 영혼이 담긴 컨트롤이 있어야..
14/02/06 14:56
수정 아이콘
맞다 컨...

근데 역장이나 점멸은 좀 그래도 할만해요 산개가 힘들지
14/02/06 13:22
수정 아이콘
전체선택키는 이신형선수가 말했었는데 교전중에 f2눌러서 저그 멀티같은곳 어택찍어놓고 따라가는 본부대는 부대지정 되어있을테니

다시 센터교전이나 신경쓰이게 만들면서 하면 좋다고 하더라구요
azurespace
14/02/06 13:41
수정 아이콘
테란 대 저그전에는 써도 되죠. 근데 타 종족전에는 감지탑 잡고 있는 유닛들이 따라가버리니..
세상의빛
14/02/06 17:4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디자인
14/02/06 20:49
수정 아이콘
이제 테란사기시절은 가고 토스사기시절이 왔군요 저그도 똥망쓰레기종족에서 좋은종족으로 탈바꿈 음하하
토스가 사기인 이유중 크게 한몫하는 이유하나가 동력만 있다면 어디든유닛생산 이점 아닐까싶네요 그렇다고 없애자니 토스고유특성이라 어쩔수없고... 스1때는 최종테크 아비터를만들고 마나를 모아야가능했는데.... 스2에선 수정탑 몰래지으면가능, 붕가기 꽂으면 가능...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522 [스타2] 온게임넷이 새롭게 준비한 스타행쇼 시즌5 과연 어떤 내용일까? 개인적인 견해로 글 써봅니다. [57] AQUAn9155 14/10/29 9155 1
55452 [스타2] PC방 점유율에 대한 생각과 고찰을 여기에 글을 써봅니다. [163] AQUAn10681 14/10/20 10681 3
55311 [스타2] 2014 GSL 시즌3 결승전 간단 후기 [16] 무관의제왕5402 14/10/04 5402 3
55119 [스타2] 차기 프로리그와 차기 WCS에 대한 의견 [9] 씨앤더5135 14/09/14 5135 0
55032 [스타2] 스타에서 가장 유명한 라면 [32] 야생의곰돌이11405 14/09/01 11405 13
54974 [스타2] 벌써 2년 [16] ThisisZero6172 14/08/23 6172 7
54943 [스타2] 초보 탈출하는 법 [19] 정주원16464 14/08/19 16464 5
54886 [스타2] 대 프로토스 시대는 끝이나는가? [16] 사신군8155 14/08/12 8155 0
54877 [스타2] 있어줘서 고맙습니다. [6] Daita6435 14/08/10 6435 4
54872 [스타2] KT팬인 한 30대 유부남의 프로리그 직관기(를 빙자한 스타이야기, 일부사진 추가) [13] shildy7088 14/08/10 7088 6
54841 [스타2] 온게임넷의 문제 -- 엄.전.김 [106] Daita23062 14/08/06 23062 16
54801 [스타2] 2014년 7월 넷째주 WP 랭킹 (2014.7.27 기준) - Code S 리거들의 급상승 [8] Davi4ever5920 14/07/31 5920 3
54784 [스타2] 최종병기의 귀환! 프로리그 2014 통합PO 4강 2-3차전 리뷰 [20] Forwardstars6649 14/07/29 6649 2
54769 [스타2] 패치후 개인적으로 더 재미없어진 스타2메타 대세는 올인! [24] 사신군9646 14/07/27 9646 5
54599 [스타2] 오늘 스타행쇼에 대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49] Davi4ever7939 14/07/08 7939 0
54395 [스타2] 국내 스타2판은 그리 기반이 약하지않습니다. [46] 사신군8353 14/06/14 8353 3
54389 [스타2] 옥션 올킬 스타리그를 그리워 합니다. [59] Alchemist18361 14/06/13 8361 9
54154 [스타2] 프로게이머의 눈물 [20] 씨앤더10355 14/05/07 10355 16
54115 [스타2] 요즘 스타2가 너무 재밌네요. [28] 케이건9725 14/05/02 9725 5
54042 [스타2] 글로벌 GSL 8강 B조 엄청난 이변이... [17] 발해의꿈6469 14/04/25 6469 0
53753 [스타2] CJ의 선택과 집중에 대한 의문 [8] Leeka6991 14/03/27 6991 1
53568 [스타2] Trueskill으로 본 스타1, 두번째 이야기 [15] azurespace10012 14/03/03 10012 8
53450 [스타2] 어제 프로리그 1라운드 갔다온 후기 [16] 해오름민물장어11101 14/02/12 111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