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1/07 21:08:06
Name 오분만
Subject [하스스톤] 왜 개풀만 한방콤보를 쓰나.. 다른직업으로 개풀따라해보자.
 요즘 개풀냥꾼이 대세라죠. 성능도 성능이지만 무과금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개풀덱한번쯤 안짜본 유저가 없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개풀덱비슷한 한방콤보가 다른직업도 쓸수 없을까? 라는 의문에 생각해본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모방일 뿐 실제로 쓰기엔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점을 생각해주세요. 카드를 모아서 들고 버티기가 사냥꾼처럼 쉬운것도아니고 들고있다고해서 확실히 끝낼 가능성도 사냥꾼에 비해 낮으니까요.

 그냥 다른 직업도 개풀같은 한방콤보가 가능은 하다라는 걸 보여드리기위해 쓴 글입니다.

1. 개념
 기본개념은 저코스트 버프카드를 모아두었다가 하수인에게 버프를 줘서 강력한 데미지를 주는 겁니다. 그러나 하수인에게 미리 버프를 줘놓으면 상대가 어떻게든 그걸 막으려 할 테죠. 침묵으로 버프를 풀거나 양변,사술,마격등등 처리할 방법이 많습니다. 하다못해 도발하수인이라도 한  마리 있으면 공격가기힘들죠.

 그래서 개풀덱이 야수와 개풀을 모아두는 것처럼 버프카드를 모았다가. 공격턴에 공격가능한 하수인에게  한번에 버프를 사용해서 공격하는 거죠. 그러면 도발만 어떻게 처리되어 있다면 (갓빼미, 마법등) 엄청난 데미지를 줄 수 있죠. 특히 그게 질풍하수인이라면요.

 그러나 전사의 질풍하수인+돌진이나 주술사의 질풍+돌진하수인을 제외하고는 한턴에 쏟아부어서 고데미지를 주는 게 불가능합니다. 돌진이 없기때문인데요. 그래서 주술사,성기사,도적의 경우 은신하수인이나 도적의 은신부여를 사용하는 겁니다.

 이 방법의 약점으로 도발 이외에도 엎드려!나 폭덫, 증발시키기등의 비밀카드는 조심해야 합니다. 개풀은 하수인이 여러 마리라 폭덫외엔 위험한 상황이 없는데 다른 직업들은 한마리에 올인하는거라 위험합니다.

 그리고 가장 어려운 문제일지도 모르는 부분이 드로우에 너무 의존하는 것 입니다. 냥꾼의 개풀덱은 10여 마리 정도 되는 야수를 종류 불문하고 4~5마리모으고 추가로 개풀만 뜨면 됩니다. 물론 용매나 1코스트늑대가 많으면 좋지만요. 그러나 다른직업들은  필수카드들을 모으기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일단 버프카드자체가 수량이 부족하니까요. 오히려 초반에 버프를 사용해서 필드장악하는게 훨씬 좋은경우가 많죠.

 요약해보면 1) 버프카드를 모은다. 2) 돌진이나 은신으로 공격가능상황을 비교적 확정적으로 만든다.  입니다. 1번은 필수적인 요소지만 2번은 보너스 팁같은거랄까요.



2. 하수인은 무엇이 좋은가?

 필드싸움을 이기고 있다면 사실 아무 문제 안됩니다. 한방콤보라기엔 아쉽지만 그냥 공높은 하수인에 버프걸고 써도 됩니다.

그래도 쓸만한 하수인 종류를 살펴보면..

1) 질풍하수인 - 도적!! 전사! 그 외 모든 클래스
 질풍하수인을 올리고 공격턴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면 최선입니다. 하지만 질풍하수인은 도발하수인보다 더 어그로가 높아서 도적으로 은신을 부여하거나 전사로 돌진을 주는게 아니라면 사용하기 힘듭니다. 그러나 공격턴까지 살아남고 상대 도발하수인이 없다면? 4턴~5턴정도에 버프를 부어서 30 이상의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실 용매만 살아있어도 버프를 한 방에 몰아줄 수 있으면 20 데미지 정도는 줄수 있습니다. 질풍은 무섭습니다.

2) 돌진 - 주술사!, 성기사(10코스트급 후반한정..)
 코스트가 높은 상황에서는 돌진도 좋은 선택입니다. 그러나 그때까지 버프카드를 가지고 버티긴 힘들죠. 또, 개풀처럼 한방용으로 돌진하수인을 쓰면 의외성은 높지만 주술사와 성기사를 제외하면 데미지가 부족하기도 하구요.

 1코스트 멧돼지 3코스트 마나 골렘과 4코스트 리로이 젠킨스가 베스트이고 딱히 대안도 없죠. 돌진과 동시에 질풍과 버프를 함께 쓸 수 있는 후반이면 나름 강력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주술사라면 1코스트 멧돼지로도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스니다. 버프가 잘 모여있는 상황이라면 5~7턴정도에 쓸수있긴합니다. 멀록이나 늑대기수도 좋지만 코대비 효율이 약간 나빠서 제외했습니다.

3) 은신하수인 - 주술사, 성기사, 사제
 질풍하수인은 쓰기 어렵고 돌진하수인은 코스트가 많이 필요하니 현실적인 타협점은 은신입니다. 은신하수인의 장점은 공격타이밍을 원할 때 가져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마법으로 처리하기도 힘들죠.

 3코스트 밀림표범은 4/2라서 광역에 위험하지만, 초반에 쓸 수 있고 5코스트 호랑이는 5/5라 광역에도 안전하고 무난하죠. 7코스트 암살자도 끝내기용으로 쓰면 좋습니다만 너무 고코라 덱에 넣기 부담스럽죠 다른 고코하수인 좋은 게 많으니..

 물론 미리 내놓아야 하는 특성상 도발카드를 처리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면 공격가기 애매한건 어쩔수 없습니다. 특히 상대가 예측가능한 상황일테니 필사적으로 처리하거나 도발하수인을 내려놓을 겁니다. 다른 하수인이 있다면 그걸로 처리하거나 침묵, 기타 마법으로 처리하도록해야죠.

4) 기타 모든 하수인
 위의 3가지 이외에도 개풀같은 대응하기 힘든 한방콤보라는 이름을 버리고 그냥 강력한 데미지로 보자면 아무 하수인을 써도 상관없습니다. 제일 중요한 포인트는 버프카드를 모으는거죠.



3. 무슨 카드를 모아야 할까?

 우선 공용하수인인 1코스트 "가혹한 하사관"이 있습니다. 한턴에 한해서 공격력2를 추가해주는 카드인데요. 버프 수치 자체는 약간 낮고 1회성이지만, 1코스트라 공격턴에 사용하기 가볍다는 점이 좋고 한방에 실패하더라도 어쨋든 하수인 숫자가 늘어나니 좋죠. 이 카드 두장을 모아서 사용하면 4공격력 확보입니다. 특히 버프카드 수량이 모자라니 이걸 차선책으로 써야겠죠. 직업버프가 좋은건 어쩔 수 없으니까요.

 그외의 공용하수인으로는 3코스트 무너진 태양 성직자나 4코스트 검은무쇠 드워프등의 카드를 사용해서 버프를 미리 주면 좋죠. 버프받은 하수인을 살릴 수 있다면요. 그러나 이 글의 내용은 개풀따라잡기니 이런 경우는 제외하겠습니다.
그리고 공대장같이 하수인에 버프를 주는 카드를 미리 깔아둘 수 있다면 베스트입니다.

 그러면 공용하수인 이외의 각 직업별 모아야 하는 카드를 살펴보겠습니다.

1) 주술사
 개풀 따라 하기는 제일 좋은 직업이라 생각합니다. 2코스트 질풍덕에 공격턴에 낮은 코스트로 아무하수인에게 버프를 줄 수 있습니다. 보통의 질풍하수인은 어그로가 높아서 최우선 처리대상이지만 주술사는 공격턴에 질풍을 사용하면 되죠. 그게 아니더라도 은신하수인이면 미리 질풍마법이나 4코스트 바람예언자로 질풍을 부여해둘 수도 있죠.

 그리고 1코스트 대지무기(한턴 +3 공격력), 2코스트 불꽃 토템(양옆하수인 +2공격력), 코스트가 된다면 5코스트 블러드(한턴 내 모든 하수인 +3공격력)처럼 버프카드도 많습니다.

 특히 돌진하수인과 질풍부여의 조합은 상성이 좋습니다. 진정한 개풀따라잡기랄까요. 1코스트 멧돼지만해도 버프가 다모였고 불꽃토템등이 깔려있다면 6턴정도에 20이상 데미지도 줄 수 있으니까요.

2) 도적
버프자체는 냉혈 뿐이지만 코스트 대비 공격력이 높아 좋습니다. 또 은신을 부여할 수 있어서 질풍하수인과 연계가 좋아요. 그리고 상대 본체를 공격할 방법이 각종 연계마법으로 상대 본체를 공격하면 되어서 꼭 한방이 아니라도 좋습니다.

모아야 할 카드는 1코스트 냉혈(연계시+4공격력)입니다. 질풍 하수인을 은신시켜두었다가 공격턴에 가혹한 하사관과 냉혈을 사용해서 공격하는거죠.

물론 은신부여콤보가 아니라도 초반에 질풍하수인이 살았고 버프카드도 많다 이러면 뭐 상대가 항복버튼도 못 누르게할수도 있습니다.

3) 전사
 제대로 쓰려면 카드 숫자가 너무 많이들어갑니다. 그러나 3코스트 전쟁노래 사령관이나 0코스트 돌진카드의 돌진효과를 잘 사용하면 한방콤보를 쓸 수는 있습니다. 일단 버프카드 숫자는 많으니 한방콤보가 아니라도 적당한 데미지를 노리면 되고요.
특히 질풍하수인에 각종 버프마법을 조합잘하면 강력한 한방을 줄수있죠. 내면의 분노나 소용돌이를 광란과 함께 잘 쓰면 다른 직업보다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역시 카드모으기가 문제. 버프카드 너무 많이 넣으면 전사덱굴리기 힘들 테니까요.

 모아야 할 카드는 0코스트 내면의분노(피해1주고 +2공격력) 2코스트 광란(피해입은하수인 +3/3)입니다. 2코스트 잔인한 감독관도 대용으로 쓸수있지만 코스트 대비 공격력상승이 부족해서 차선책입니다. 내면의분노와 함께쓰기에도 하수인이 살아남기힘들고요.

4) 성기사
 성기사는 질풍하수인이 아니라도 무려 공격력을 2배로 만드는 5코스트 축복받은 용사가 있습니다. 질풍하수인에게 준다면 버프몇개 안 쓰더라도 엄청난 데미지를 줄 수 있죠... 질풍하수인이 아니라도 질풍받은 효과니까요. 다만 보통 잘 안쓰는카드고 코스트가 조금 부담스러워서 실제로 쓰기 힘들듯 합니다.

 모아야 할 카드는 1코스트 힘의 축복(+3공격력)과 5코스트 축복받은 용사(공격력2배)입니다. 왕축도 당연히 쓸 수 있다면 좋죠. 하지만 이 글은 개풀따라잡기 한방콤보니 코스트높은 버프는 우선 순위를 낮게 잡겠습니다. 그러나 왕축걸린 은신하수인은 잡기도 힘드니 잘 활용한다면 좋을듯하네요.

5) 사제
뭐 설명이 필요하겠습니까. 다만 천정내면콤보는 너무 유명해서 피높은 하수인만 내면 처리하려고 달려드는 문제가 있죠.

6) 사냥꾼
개풀쓰세요.

7) 기타
다른 클래스는 그냥 한방노리지말고 착실하게 하는게 더 좋습니다. 질풍하수인 살려서 공격가는거말고는 한방이라기엔 너무 부족하니까요.



3. 클래스별 주요 콤보
 카드앞의 숫자는 코스트입니다. 그리고 최소턴 발동 위주로 작성했습니다. 마나가 더 많고 버프카드를 더 쓰면 더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죠. 또,약간 코스트가 더 높더라도 원킬급데미지를 줄수있다면 그것도 추가로 넣어보았습니다.
 물론 실전에서 나오긴 힘든 재미삼아 보는 콤보입니다.  일단 버프카드를 다모으기 힘드니까요. 그러니 실제 기대 데미지는 20이상주기 힘든경우가 많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버프카드 적당히 모이고 피해를 줄수있겠다싶다면 한방을 굳이 노리기보다 적당히 쓰거나 필요하다면 버프카드를 필드장악용으로 쓰는게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 글은 개풀따라잡기니 모아봐야죠!

1) 주술사 - 은신과 돌진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그냥 아무 하수인이라도 살아남아서 공격만 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
은신하수인
3턴 3밀림표범 ,4턴 1대지무기 2장 + 2질풍 = 20데미지
3턴 3밀림표범 ,4턴 2질풍 + 2불꽃토템 ,5턴 1대지무기 2장 + 1가혹한 하사관 2장 = 32데미지
5턴 5호랑이, 6턴 2질풍 + 1대지무기 2장 + 1가혹한 하사관 2장 = 30 데미지

돌진
5턴 1멧돼지 + 2질풍 + 1대지무기 2장 = 14데미지
7턴 1멧돼지 + 2질풍 + 1대지무기 2장 + 1가혹한하사관 2장 = 22데미지
7턴 3마나골렘 + 2질풍 + 1대지무기 2장 = 20데미지
8턴 4리로이 + 2질풍 + 1대지무기 2장 = 24데미지

2) 도적 - 질풍하수인과 위장의대가가 필요합니다. 버프 2개정도만 모아도 쓸만합니다만 질풍하수인+은신부여는 코스트가 높습니다. 그러니 질풍하수인을 은폐로 초중반에 살리는게 베스트입니다.
은신부여콤보
2턴 1용매 + 1은폐 3턴 1가혹한 하사관  + 1냉혈 2장 = 22데미지
5턴 1용매 + 4위장의대가, 6턴 1가혹한 하사관 2장 + 1냉혈 2장 = 26데미지
7턴 3질풍하수인 + 4위장의대가 ,8턴 1가혹한 하사관 2장 + 1냉혈 2장 (늑대인간이면+0기습) = 28 or 32데미지

3) 전사 - 특정콤보는 정말 강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걸 다모아서 필요코스트까지 버티기엔 힘들것같군요. 적당히 버프숫자를 좀 줄이고 발동턴을 빠르게 가져가는게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모으면 모을수록 강해지는 콤보니까요.
돌진(0돌진 or 워송이 살아있다면 그냥 or 3코스트로 워송추가)
3턴 3질풍하수인 + 0돌진 + 0내면의분노 2장 = 12데미지 or 16데미지
5턴 3질풍하수인 + 0내면의분노 2장 + 2광란 = 18 or 22데미지
5턴 3질풍하수인 + 0내면의분노 2장 + 1가혹한하사관 2장 = 20 or 24데미지
7턴 3질풍하수인 + 0내면의분노 2장 + 1가혹한하사관 2장 + 2광란 = 26데미지 or 30데미지

4) 성기사 - 제일 큰 문제가.. 축복받은용사쓰시는분? 물론 하피라도 살아남아서 힘축+축복받은용사면 최고지만..
은신
3턴 3밀림표범, 4턴 4왕축, 5턴 5축복받은용사 = 16데미지
5턴 5호랑이, 6턴 1힘축 + 5축복받은용사 = 16데미지
5턴 5호랑이, 6턴 4왕축, 7턴 1힘축 2장 + 5축복받은용사 = 30데미지
7턴 7암살자, 8턴 1힘축 2장 + 1가혹한하사관 + 5축복받은용사 = 30데미지

돌진- 코스트가 높아서 버프들고 계속버티기는 힘들지만...그래도 적어보겠습니다.
8턴 1멧돼지 + 1힘축 2장 + 5축복받은용사 = 14데미지
10턴 1멧돼지 + 1힘축 2장 + 1가혹한하사관 2장 + 5축복받은용사 = 22데미지
10턴 3마나골렘 + 1힘축 2장 + 5축복받은용사 = 20데미지
10턴 4리로이 + 1힘축 + 5축복받은용사 = 18데미지

5) 그외의 영웅은 의미없을것같아서 제외하겠습니다. 다른직업은 그냥 버프적당히 쓰는게 효율적일거 같고 사제 천정내면콤보는 너무 유명하니까요.

4. 결론
 여러분 한방 좋아하면 한방에 망합니다.

 실제로 이런 콤보를 모아서 쓰는 전략에 올인하는건 좋지못한 선택입니다. 쓰려면 기존 덱운영에 추가로 세컨드옵션 정도로 생각하는게 좋을 겁니다. 개풀 야수모으기는 전체덱중 최소 3분의1정도는 되지만 다른직업은 버프카드가 가혹한하사관포함한다쳐도 몇장 안되기 때문에 드로우신이 돕지않는 이상 모으기 힘듭니다.

 그러니 버프카드 모으는 것보다 그냥 사용할 상황이 오면 써서 필드장악 하는게 더 좋을듯합니다. 개풀은 냥꾼이라 좋은 거죠. 하수인처리를 마법으로쉽게하고 고정사격으로 피를 미리 줄여놔서 한방이 가능하고 기타 등등. 개풀덱은 참 잘짜인 덱입니다.

 그래도 나는 한방이 좋다 하시는분들은 한번 따라해보세요. 다만 승률은 책임못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엔타이어
13/11/07 21:22
수정 아이콘
굉장히 정리 잘하셨네요.
이헌민
13/11/07 21:36
수정 아이콘
흑마로 투기장에서
마나골렘
압도적인힘x2
얼굴없는 하수인
이렇게 원콤으로 24데미지주고 영혼의불길로 4데미지줘서 이긴적이 있는데 그때 기분이란...

주술사로는 둠해머 들고있다가 대지의무기가 딱 2장째나와서 본체에 16데미지를..
애매호모
13/11/07 21:42
수정 아이콘
정말 깔끔하네요.
와우할때도 고술은 남자의 로망이었는데
그래서인지 질풍에 끌리네요.
13/11/07 22:53
수정 아이콘
컨셉이 굉장히 괜찮은데요?? 지금 바로 해보러 갑니다~!
13/11/07 22:59
수정 아이콘
주술사로 과부하카드 및 저코스트 크리쳐를 사용해 초중반을 장악하고,
게임이 길어지면 7코 은신을 꺼내 버프, 질풍으로 한방을 노리는데 은근히 쏠쏠하더군요.
13/11/07 23:18
수정 아이콘
컨셉은 참 좋죠 하지만 중요한건 개풀덱이 각광받는 이유는 그놈의 사격과 덫들로 필드정리가 가능하다는데 있죠

전 정말 폭덫이 제일 아오!!
13/11/08 00:22
수정 아이콘
진짜 유용한 팁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해요!!
why so serious
13/11/08 19:47
수정 아이콘
개풀말고 실제로 쓸만한 덱은 없는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735 [기타] 워크래프트2 리메이크? [18] 삭제됨9498 13/11/12 9498 0
52734 [LOL] 수많은 유저들의 경고. 안일한 라이엇의 대처. [73] Leeka10816 13/11/12 10816 4
52733 [LOL] 20연승 달성 기념 후기 [10] Senioritis11378 13/11/12 11378 1
52732 [스타2] 2013년 11월 둘째주 WP 랭킹 (2013.11.10 기준) - 글로벌 파이널 반영! [2] Davi4ever5894 13/11/12 5894 0
52731 [LOL] 첼린저가 그리 가고 싶냐? [117] Holy shit !11456 13/11/12 11456 3
52730 [LOL] 다이아 실패했습니다. [14] 삭제됨5869 13/11/12 5869 0
52728 [도타2] 초보의 공략 (3) 하드 캐리형 챔프 [23] 세이젤11550 13/11/11 11550 0
52727 [도타2] 롤 유저의 도타2 1달 플레이 후 소감 [6] 호지니롱판다8601 13/11/11 8601 0
52726 [하스스톤] 계속되는 트랜드 변화. 덱을 짜는 재미. [117] Leeka8760 13/11/11 8760 0
52725 [도타2] 무작정 시작해도 의외로 괜찮았던 게임 [32] 고스트7911 13/11/11 7911 0
52724 [LOL] 여기까지네요. 결국 다이아 승급에 실패했습니다. [40] 뀨뀨7477 13/11/11 7477 2
52723 [LOL] 치킨 이벤트 : 친구와 천만원 내기를 했습니다 ㅡ 후기 [265] 9192 13/11/11 9192 3
52722 [스타2] 이제동 선수, 고맙습니다. [38] 세이시로11535 13/11/11 11535 34
52721 [히어로즈] 시연 게임 리뷰 [44] 저퀴10697 13/11/10 10697 0
52720 [스타2] 게임을 스포츠로 이해하지 못하는 아내 [80] 먹보의하루10605 13/11/10 10605 5
52718 [기타] [우주영웅전] 모바일 대작게임(제 생각엔?) 우주영웅전을 같이 해 보아요! [11] 하나12923 13/11/10 12923 2
52717 [LOL] 그는 왜 강등만 되는가 [16] Cavatina8405 13/11/10 8405 3
52715 [하스스톤] 하스스톤 밸런스 관련 이슈에 대한 발표 정리 [24] Leeka8377 13/11/10 8377 0
52714 [기타] [컴프매] 단일덱을 맞추는 방법 및 공략법 [41] 성철v24782 13/11/09 24782 0
52713 [기타] [문명5] 신빠름 클리어했습니다. [25] 라라 안티포바17061 13/11/09 17061 1
52711 [하스스톤] 차기 밸런스 패치 및 컨텐츠 안내 [34] 저퀴8969 13/11/09 8969 0
52709 [하스스톤] 최근 쓰는 덱들입니다. [17] 이사무7187 13/11/09 7187 0
52708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에 대해서 [81] 저퀴9409 13/11/09 940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