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30 11:17:09
Name Leeka
Subject [LOL] 시즌3. 올한해 최고의 명장면 Best 3
올한해, 최고의 명장면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한번 보다가

개인적으로 꼽아본 Best 3입니다.

순서는 날짜 순이며 순위와는 무관합니다.



1 - IEM 엑스페케 대장군의 백도어



SK를 상대로 펼친..  프나틱의 엑스페케 대장군의 카사딘 백도어!

이 사건으로 인해.. 엑스페케하다 = 백도어하다.  로 통용될 정도로
오셀롯은 고통의 아이콘으로.. 변했고

카사딘하면 엑스페케가 상징이 되었죠..  


2. 올스타전.  인섹킥



유럽 올스타를 상대로 보여준.  인섹의 환상적인 리신 발차기!

이사건 이후. 리신의 멋진 발차기 플레이는 전부 인섹킥으로 불리게 되며..
라이엇 공식 레드포스트에서 조차.. 인섹킥이라고 언급할 정도의 대명사가 되었고..
다이아몬드 프록스와의 리신 1:1 대결에서 승리하면서
리신 = 인섹이 통용될 정도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이 이슈로 인해 이번 시즌3 월챔.  베스트 인섹킥 탑 10 투표 및 영상까지도 아래와 같이 제작되었습니다.




3. 섬머 결승. 페이커의 환상적인 제드



유튜브 조회수 150만 돌파!라는. 대기록을 세운.  환상적인 페이커와 류의 제드 일기토.

해당 영상이 레딧등에 퍼지면서 이틀만에 해외 유튜브 조회수 100만을 넘기는 폭발적인 인기를 통해서
페이커는 롤드컵 선수 소개시에 라이엇에서 슈퍼스타 페이커라고 소개할 정도로 특급 스타로 거듭납니다.

그 뒤는 모두가 아는 대로.. 롤드컵을 통해서 전세계 최고의 스타이자
페이커 센빠이, 몬테의 기차, ThingsFakerDoes.. 등의 수많은 말들을 만들어냈으며

라이엇 대표 공식 전세계 PT에서 대표 선수로 소개되었습니다.

덕분에 롤드컵 결승 2경기에서 페이커가 제드를 골랐을때 함성은 정말...



곧 시작될 시즌 4에서는, 어떤 멋진 장면을 만들어내면서
엑스페케, 인섹, 페이커와 같이 전세계를 열광시키는 슈퍼스타가 탄생할 것인지. 기대해봅니다..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크레시안
13/10/30 11:21
수정 아이콘
정말 많이 봐서 제목만 봐도 뇌리에 자동재생되는 영상들이군요 크크 시즌4에도 탄성이 절로 나오는 장면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마빠이
13/10/30 11:27
수정 아이콘
1번 게임은 그야말로 난장판이였죠

게임 끝나고서 오셀롯의 멘붕장면은 다시봐도 짠하군요 크크
안스브저그
13/10/30 11:31
수정 아이콘
댄디의 팬타킥이 없을 만큼 명장면들이네요. 외적 상황이나 게임 내적인 진행을 차지한다면 입롤의 실현이라고 할 만큼의 완벽한 이니에이팅과 그뒤에 사방에서 달려드는 오존 멤버들의 궁극기의 향연은 가장 아름다운 한타설계지 싶습니다
13/10/30 11:33
수정 아이콘
펜타킥도 엄청난 명장면이긴 했는데..

위 3개의 장면은 그 뒤에 '전세계 롤판의 용어'를 자신의 아이디로 통용되도록 바꿀 정도의 장면들이다 보니..

오존은 다 롤드컵에서 못한게 문제....
소녀시대김태연
13/10/30 12:16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론 댄디의 팬타킥을 예상했는데... 롤드컵이.. ㅠ
ThisisZero
13/10/30 11:51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C8wzdpan22w
3번은 이걸 봐야죠 크크크
13/10/30 11:52
수정 아이콘
1번은 어느 대회 장면인가요? 꽤 큰 대회 같은데... 엄청나네요 흐흐
13/10/30 12:00
수정 아이콘
인텔 익스트림 마스터즈입니다.
13/10/30 12:06
수정 아이콘
IEM 카토비체에서의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입니다. 여기서 이기는 팀이 상위 라운드로 진출하는 상황이였죠
4팀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라 2경기가 동시에 진행되었는데 나겜에선 프로스트 경기를 해줬어요.
근데 프로스트 경기 끝나고 저쪽경기가 안 끝났으니 한번 보죠 하고 가벼운 맘으로 틀어줬는데 갑자기 저런장면이 나오더라고요..
프로스트 경기가 상당히 일찍 끝난 덕에 이런 멋진 순간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새벽에 혼자 흥분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랜슬롯
13/10/30 11:54
수정 아이콘
아래글에서도 적었지만 댄디야말로 사실 인섹의 뒤를 이을 만한 인섹과 매우 흡사한 스타일의 정글러라고 전 봅니다만, 정말 롤드컵에서... 어휴. 다시 생각해도 한숨밖에 안나오죠. 롤챔에서 그렇게 미친듯한 포스를 뿜어내며 T1과 17연승을 달리던 블레이즈를 박살내고 올라왔던게 엇그저께같은데 귀신같이 겜빗한테 연달아 패배하고 프나틱한테도 패배하며 떨어진. 정말 오존 올라갈때까지만해도 오존대 T1결승볼수있겠구나 하고 기뻐하던때가 얼마전인데..

트포의 상향에 따른 임프의 약화와 더불어 미드가 해멘게 너무 컸다고 생각하네요. 탑은 정말 밥값은 충분히 했다고 보는데..
라엘란
13/10/30 12:08
수정 아이콘
많이 아쉽죠. 사실 미드가 그런 상태면 정글러가 뭘 할수가 없으니.. 임프도 기대치보다 못한게 사실이지만 결국 다데 얘기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댄디도 평소보다 못했다고 해도 할 말은 없지만 미드때문에 정글러가 자기 플레이를 못하고 끌려다니는게 눈에 보였으니..

시즌3 월챔 인섹킥 영상도 잘 보시면 제일 필사적인 리신이 댄디죠. 저기 나온 정글러들의 플레이들을 폄하할 생각은 없지만 사실상 탑2로
꼽히는 원조격의 인섹과 다이아몬드 영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리신 플레이들은 대부분 상황이 일방적으로 많이 유리한 상황에서 나온거라
슈퍼플레이라고 까진 못하겠습니다. 하지만 댄디는 한타 각을 만들어볼라고 죽기살기로 들어가는 거였으니..
13/10/30 12:51
수정 아이콘
1번의 오셀롯의 멘붕이란.. 크크 반대로 엑스페케는 그걸로 대장군행..

그리고 2번 인섹킥은 보면서 소름이..
3번 페이커도 저게 정말 상징적이었구요
데자와
13/10/30 13:03
수정 아이콘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면은 저 3장면이 맞을 거 같습니다.
국내 롤챔스에서 일어난 제드 일기토는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게 대단하다고 보이고...
3경기 다 라이브로 봤군요..
13/10/30 14:56
수정 아이콘
카사딘 백도어 저 장면은 진짜 두고두고 잊혀지지 않겠네요.. 어후
13/10/30 15:31
수정 아이콘
그런데 2번 인섹킥은 옐로우핏이 워낙 못하는지라 그닥 감흥이 없어요. EG에서 프로겐 고통주는 주범인이자 정말 허무하게, 독특한 방법으로 맨날 죽어요. 죽고나서 ' 아 이런식으로도 죽을 수 있구나' 이런 마인드로 플레이하는 움직임을 매번 보여줍니다.

저것보다 올스타전 이후에 펼쳐진 롤챔스 8강 MVP오존 vs KT B에서 인섹이 보여준 인섹킥이 없어보이는 틈을 환상적으로 파고드는 것 부터해서 딸피로 살아가는게 멋졌네요. 임프의 바루스를 그것도 마타를 뚫고 했다는게 놀라웠습니다. 물론 2분 후에 하드 쓰로잉도 인상적이였습니다.
감자튀김
13/10/31 04: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인섹킥보다 같은 올스타전에서의 덥맆 펜타킬이 더 기억에 남네요 크크
아 진짜 스카라 보면서 암걸리뻔했는데..
13/10/31 13:14
수정 아이콘
sk는 항상 백도에 고통받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75 [하스스톤] 4번째 투기장 9승 달성한 뒤 적어보는 추가 팁들.. [12] Leeka8132 13/11/06 8132 1
52674 [기타] [컴프매] 덱을 맞춰나가는 방법 [59] Lightkwang16811 13/11/05 16811 0
52673 [기타] 드래곤 플라이트 2.2.0 패치 기념 - 나의 드래곤 플라이트 이야기 [27] 마음속의빛11510 13/11/05 11510 1
52672 [기타] [컴프매] 스마트폰 야구게임 같이 하실래요? [79] Lightkwang10753 13/11/05 10753 0
52671 [하스스톤] 투기장을 색다르게 이용해봤습니다. [10] 에스터8076 13/11/05 8076 1
52670 [LOL] 지인의 게임을 4시간동안 관전하면서.. [95] Cavatina11974 13/11/05 11974 1
52669 [도타2] 초보의 공략(2) 분신 캐릭들 단순한 공략. [11] 세이젤10662 13/11/04 10662 2
52668 [하스스톤] 투기장을 임하는 플레이어의 자세 [22] Nybbas10178 13/11/04 10178 3
52667 [하스스톤] 하스스톤 대회들을 보고 느낀점. [30] Leeka9794 13/11/04 9794 0
52666 [도타2] 접근하기 - 2 [8] Quelzaram8887 13/11/03 8887 3
52665 [하스스톤] 저도 드디어 투기장 9승을 달성했습니다.(추가) [65] 저 신경쓰여요8277 13/11/03 8277 0
52664 [LOL] 골론즈까지만 통할 꿀챔들 및 잡설 [66] 소나기가내려온다13399 13/11/03 13399 0
52663 [기타] 매출의 5%를 가져간다는건... 그냥 죽으라는 소리... [44] 마르키아르8193 13/11/03 8193 0
52662 [LOL] 골드 승급은 정녕... 대리를 맡기고 싶은 하루 [71] 국제공무원10534 13/11/02 10534 0
52661 [LOL] 프로리그와 현 온게임넷 롤챔스 방식 [137] 그시기12862 13/11/02 12862 0
52660 [LOL] 시즌4 바텀라인의 변화 예상 [32] 리산드라9404 13/11/02 9404 1
52659 [LOL] 앞으로 열릴 프로리그 방식은? [79] Lustboy11364 13/11/01 11364 0
52658 [하스스톤] 60 레벨이 만렙인가 보네요. [5] 이사무15490 13/11/01 15490 0
52657 [LOL] 드디어 프리시즌 대격변이 PBE에 적용되었습니다. [97] Leeka12481 13/11/01 12481 0
52656 [스타2] 차기 시즌 공식맵 선정 및 2.1 패치 예고 [12] 저퀴9284 13/11/01 9284 0
52655 [기타] 날 울렸던 엔딩크레딧, FF9 [77] 곰주10174 13/11/01 10174 0
52654 [LOL] [스압주의] 각 스토리상 세력별 라인업, 어디가 가장 강할까? [61] 버스커버스커12589 13/11/01 12589 10
52653 [하스스톤] 쉽고 재밌고 강하면서도 값싼 주술사 공략 [15] 정용현9818 13/11/01 98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