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30 03:43:00
Name 삭제됨
Subject [LOL] 다이아1, 모스트1, 눈 먼 수도승, 리신 공략.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랜슬롯
13/10/30 03:54
수정 아이콘
음, 그림이 안올라가네요... 왜그럴까. 일단, 글에 대한 수정은 좀 있다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Holy shit !
13/10/30 03:58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글이네요.

첨언하자면 솔로라인, 미드나 탑 같은경우 상대 라이너가 집에 갔을때 CS만 타워에 박아서 손실시키는게 아니라 아군라이너와 같이 타워밀어주는게 좋습니다. 이런식으로 미드,탑 타워만 빠르게 2개 공략해도 5킬의 효과가!
세종대왕
13/10/30 04:57
수정 아이콘
어젠가 혼자 게임을 하는데 제가 초가스 정글이었습니다.
우리편 미드가 "초가스 정글 약하니까 정글돌면서 역갱만 봐 주세요" 라길래 알았다고 게임을 플레이 했는데
미드가 킬 따이고 "아 초가스 역갱 봐 달라니까 " 라더군요.
뭘 어떻게 봐라는거여 와드도 없는디 -_-;; 적이 오는게 보이기라도 하면 봐주겠는데 정글러가 무슨 점쟁이도 아니고
미드만 캠핑하고 있으라는건지...그러면서 또 와드 안사고 미드로 달리더군요.
라이너들의 정글러 탓은 아주 습관적이예요.

공략 잘봤습니다.
리신은 해도해도 어려운 것 같아요.
갱 갈때도 선 q로 갈것인지, 와드 방호로 갈것인지, 그냥 달려서 e를 먼저 써야될지 선택지가 너무 다양한 것 같아요.
어떤 상황에 어떤 판단을 해야할지 어렵더라고요.
많이 해봐서 순간적인 상황판단을 몸으로 익히는게 답일런지요.
13/10/30 07:01
수정 아이콘
라이너의 '역갱봐주세요'의 뜻은 '다른 라인 가지말고 내 뒤에만 있다가 갱오면 도와주세요. 죽으면 정글탓 할거임. 다른 라인 가고 싶으면 와드 2개 사서 박아주던가' 죠.
랜슬롯
13/10/30 08:05
수정 아이콘
많이 해봐야하고 일단은 어떤식으로 싸우던간에 Q를 맞추느냐 못맞추느냐가 핵심입니다. 좀 하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피하려고 하거나 미니언 뒤에 숨으려고 하기때문에. 상대가 우리미니언 먹으로 온다 싶으면 방호 E, 상대가 원거리다해도 가깝게 다가가서 E Q를 맞추거나 멀리서 Q 맞추고 E걸면 바로 점멸로 빠지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낭만토스
13/10/30 05:38
수정 아이콘
공략 잘 봤습니다.

제가 손가락이 리신...아니 잭스라

리신 같이 화려한(?)챔프는 잘 못하는 편이라 리신 공략은 저에게 의미 없었지만

정글학개론(?)에 대해서는 잘 읽고 갑니다. 특히 오란다고 오고 가란다고 가고 하지 말라는 것에 크게 공감하고 갑니다.

자기 주관을 가져라. 굿이네요.
LikeDaniel
13/10/30 05:57
수정 아이콘
공략 잘 봤습니다.
리신 돌려보러 가야겠네요.
근데 실론즈 정글러들은 자기 주관을 갖게 두면 안됩니다 ...
제가 브론즈때 봇이 더블킬내고 귀환후에 라인 계속 밀고 타워 압박하고 있어서 정글러가 작골먹길래 봇 갱타임이니 역갱 봐달라고 했는데 그냥 무시하고 미드 가더군요 ..

결과 미드는 다이브로 2데스, 봇은 원딜 데스 ...
실버는 모르겠는데 브론즈는 주관을 가지면 안됩니다 ....
정공법
13/10/30 06:20
수정 아이콘
그럴땐 정글러를 욕할게아니고 한타임 빼시면됩니다.....이래서 정글들이 욕먹습니다...
피즈더쿠
13/10/30 06:33
수정 아이콘
그때는 본인이 빠지셔야...
13/10/30 07:07
수정 아이콘
솔랭에서 정글러에게 역갱 봐달라고 하는건 왠만하면 지양해야 하는것 같아요. 라이너의 주관으로 정글러를 콜해서 갔는데 상대정글은 다른라인이나 가고 그러면 시간낭비에 정글링이 완전 꼬이거든요. 팀랭같은 팀게임에서는 상관없는데 솔랭에서 역갱은 우리 정글러 역량에 맡겨야죠.
정공법
13/10/30 06:19
수정 아이콘
특성중 공격에 도살자 1개빼고 공속에 2개빼서 대파괴3개를 넣는건 어떻게생각하시나요?
q잃은체력비례랑 시너지가 좋을거같은데 어차피 공속보정은 패시브로 되고....
랜슬롯
13/10/30 08:06
수정 아이콘
솔직히 대파괴의 효용성자체에 아주 크게 회의를 가지고 있어서요. 데미지 100에 추가 AD 5, 이건 정말 의미 없는 수치라고 생각하기때문에. 5오르느니 차라리 공속 4% 더올라서 한대 더때리는게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정공법
13/10/30 08:19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제가말씀드린건 공속2%차인데...
e평eq평평q 데미지 400들어갔다고치면 +20이 더들어가는데 별로일까요? 2%공속이 더 미미하다고 생각되서요 ㅠㅠ
Legend0fProToss
13/10/31 04:40
수정 아이콘
리신은 공속 증가로 퍽퍽하는 기술이있으니
차라리 고뎀5가 공속보단 효율이 있을거같아요
리신이 평타를 맘놓고 막칠수있는 경우도 잘없는데 그 공속4퍼가지고 한대 더때려지지도 않을거같아요
슈퍼프라임피자
13/10/30 06:27
수정 아이콘
리신의 도마뱀이나 야만몽둥이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듣고 싶네요.
랜슬롯
13/10/30 08:03
수정 아이콘
도마뱀이나 야만몽둥이 둘다 흥하면 괜찮습니다. 더 흥하게 해주는 템들이라. 그러나, 망하면 한없이 망하기때문에 무난하게 흘러가면 안사고 내가 좀 흥했는데? 싶으시면 사면 됩니다. 도마뱀이 야만몽둥이보다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10/30 06:42
수정 아이콘
정성스럽고 좋은글잘봤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있는데
요즘 선롱소드를 하는편입니다. 선도란을 하면 첫버프를먹고 집을가는게 강제되는것같아서 선롱소드2포로. 두번째버프까지 풀피로먹고 미드나 탑에 갱가는 플레이를 주로하는데요. 이후에는 흥하면 도마뱀.무난히흘러가면 브루탈이후 모빌 시야석 골램 위주로 올리는편입니다. 선롱소드에대해 어케생각하시나요.3렙 쌍벞 풀피 공+10리신은 정말위협적이라고보는데
13/10/30 07:14
수정 아이콘
리신은 룬특성(+도란은 선택)만으로도 다른정글 챔프보다 충분히 강력하다고 생각해서 도마뱀은 안 가고 브루탈은 20판하면 1판정도 가는편입니다. 선도란시작했을때 봇듀오한테 두세대 맞아달라고 하고 2렙에 w를 찍어서 쉴드 + q강타q를 주문흡혈 해주면 큰 체력손실없이 쌍버프 먹을수 있어요.
소녀시대김태연
13/10/30 07:19
수정 아이콘
바텀라이너에게 빨리가서 경험치라도더먹으라고 리시는 대충받는편입니다.
2왕흡룬을끼려니 딜차이가 심하더라구요.
물론 탑삼거리와드나 미드 두번째버프쪽 와드가 정형화되었다시피해서.
탑땅굴이나 미드 반대부시등 으로 돌아가능데 도란으로 집갔다올경우 차이가있더가구요.
13/10/30 07:2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요새는 탑미드 와딩을 해주기때문에 초반 갱킹이 힘들어져서 저같은 경우에는 선도란으로 블루퍼플 진영상관없이 블루골렘시작, 귀환 후 포션 와드 사서 레드를 하는 방식으로 레드를 더 오래 가지고 있어서 와드 꺼진 타이밍에 갱을 보다 강력하게 하는 운영을 하기도 합니다. 4분대 이전에는 탑은 와드가 있어서 푸쉬할테고, 결국 정글러가 갈 곳이 미드 아랫쪽이나 봇으로 예상이 너무 쉽게 되어서요. 와드가 있으면 바론벽을 와드로 넘어가서 상대 시야 벗어나는 갱루트를 잡아볼 수도 있구요.
소녀시대김태연
13/10/30 07:37
수정 아이콘
확실히 우리와드도 그쪽에 박혀있을테니 라이너들도 알아서 피할..피했으면좋겠는데. 골론즈라그런지 흐흐.
감사합니다. 결국 뭘가도 갱킹이힘들꺼 와드하나 사가는게 큰도움이되겠네요.
리신은 와드있고없고가 큰차이니.
감사합니다
랜슬롯
13/10/30 08:02
수정 아이콘
브루탈은, 글세요. 솔직히 브루탈 그렇게 나쁜 아이템은 아니라고 보는데 그렇게 좋은 아이템이라고도 생각안합니다. 브루탈가느니 내가 리자드가지, 라는 생각에 가본적은 있어도요. 선롱소드는 한 번도 안해봤습니다만 괜찮긴 하겠네요. 그렇다고 해도 선도란이 한 열배는 낫다고 생각합니다만. 일단 리쉬만 잘받으면 무조건 선도란이 선롱소드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10/30 08:1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골론즈 모1리신인데. 많은도움됬습니다
13/10/30 06:55
수정 아이콘
정글은 진짜 심리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대 어느라인에서 정글을 콜하고있을까 쟤네가 지금 노릴만한데가 어딘가
13/10/30 07:01
수정 아이콘
저는 초반 스노우볼을 중요히생각해서 고정공격 고정마방 으로 하는데 레벨당 마방은 많이봤지만 레벨당 공격력은 차이가 많나요??
랜슬롯
13/10/30 07:50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올렸네요... 고뎀이 맞습니다.
13/10/30 07:18
수정 아이콘
룬 표식에 레벨당 공격력은 실수시겠죠?
특성은 저랑 완전히 똑같이 사용하시는데 다른게 한가지 있다면 저는 칼날갑옷(미니언 반사댐)대신에 강건함을 찍습니다. 반사데미지로 블루를 먹는 일이 없도록 해서 우리미드의 멘탈을 보존하기 위해서요.
랜슬롯
13/10/30 08:00
수정 아이콘
만약 그렇게 되면 어차피 전 용의분노를 여러번 쓸수있기때문에 괜찮고, 우리팀에게 내가 갱가서 적미드라이너잡아서 너 블루줄테니까 기달려, 라고 합니다.
정공법
13/10/30 07:19
수정 아이콘
모쿠자 정글 10계명중 4번은 옛날에는 미드가 리시해줬죠 크크
13/10/30 07:37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추천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Jealousy
13/10/30 07:40
수정 아이콘
음 성장ad라니.. 고정이훨신낫지않나요
13/10/30 08:12
수정 아이콘
글이 명품이시네요...
저도 랭겜을 시즌2, 3 합쳐서 5천판정도 돌렸는데
어렴풋이 느꼇던 것들, 그리고 내 주관적으로 생각했던 것들을 비슷하게 생각하시는 분을 만나서 기쁩니다.
정말! 무지무지하게 공감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남김없이 꿀팁이네요. 하하
단지날드
13/10/30 09:29
수정 아이콘
모쿠자의 저 얘기는 워낙에 오래전 얘기라 지금은 많이 다르죠 흐흐 정글 잘 안하는데도 글 재밌게 잘봤습니다.
허시멜로
13/10/30 10:40
수정 아이콘
리신 공략이라기보다 정글러 전반에 관한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13/10/30 10:42
수정 아이콘
공감가는 애기들이 많네요. 잘봤습니다.
블루라온
13/10/30 11:03
수정 아이콘
저 같은 경우 선시야석을 가는데, 와딩이나 와드방호를 이용한 플레이면에서 시야석을 먼저 가는게 좋지 않나 생각이 드는데요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랜슬롯
13/10/30 12:09
수정 아이콘
확실히 와드무시갱면에선 선시야석이 낫습니다. 그러나 950이 모이지않는한 기본적으로 루비수정하나만 들고 있을타이밍이 있을텐데 이러느니 부츠라도 들고있으면 이속을 이용한 플레이가 가능하거든요. 현실적으로 950원 모여서 시야석을 이용한 갱을 한다! 라고 해도 모빌을 간것에 비해 갱 성공률 / 속도도 빠르진않구요. 모빌에 와드 2개가 이상적입니다. 이후 시야석이구요.
Darth Vader
13/10/30 11:21
수정 아이콘
리신은 경험이 8할이상인 정글러라(정글러가 다 그렇지만 리신은 유독..)
Q진입 W진입 E진입 영원한 숙제죠.
Soulchild
13/10/30 11:38
수정 아이콘
보통은 상대방생존기없는초반 큐 백퍼맞을때 큐진입 대쉬기하나로 붙을때 w진입 상대방스킬쿨이돌았는시점붙어서e슬로묻히기 가 일반적일거 같네요
큐두번가능한정도의 적챔프와적타워간거리가멀다면 큐실패후에도붙을수있기에 큐진입될수있고 딸피마무리로 큐쓸때가 많기도 하구요
다리기
13/10/30 11:44
수정 아이콘
인베와서 첫 버프를 뺏긴 상황이나 심지어 아예 킬까지 줘버려서, 2분 30초에 혼자서 나머지 버프 먹고, 3버프 먹은 적 정글이 쓸고 지나간 내 정글캠프 꾸역꾸역 먹으면서 3렙 찍고 영혼의 갱킹하고 킬먹은 걸로 템사서 커버 다니고.. 진짜 눈물 겨운 정글링을 했던 게임이 기억나네요.

우리 정글이 시작할 때 어떻게 망했든 말든 내가 맞라이너보다 잘하니까 압박한다! 라인 퍽퍽 밀면서 크크 내가 라인전 압도하네, 하다가 갱 당하고는
아~ 우리정글 뭐함 정글 개념 하나도 없네 동선이 왜 그따위임, 라인은 다 이기는데 정글 땜에 짐 이러고 있는 라인이 2개씩 있으면 멘탈이 살아날 수가 ㅡ.ㅡ
정글이 시작부터 완전히 망했으면 라인도 상황봐서 좀 사리면서 해야하는 게 게임상식 아닌가요. 그러고 라인밀다 미드가 죽으니까 다음 버프도 컨트롤 당하고 나오는 말있죠. 나 블루도 안주는 정글러 쯔쯔
나도.. 블루 못먹어봤어요 미드님아 ㅠㅠ 님이 안죽으셨으면 먹을 수 있었을지도 몰라요ㅠㅠ 으아아

혼자 망한 라인 살려보려다 같이 망하면 다 정글탓이니까 그냥 흥한 라인을 가는 게 낫습니다. 2라인 이상 솔라인킬이 났다, 그러면 오늘도 졌구나 하는 게 낫습니다. 상대 정글도 나랑 같은 레벨의 정글러에요. 자리 없어서 정글로 밀려온 정글바보가 아닌 이상 못이겨요. 제일 답답할 때가 초반에 솔킬이 나고, 거기 커버가는동안 다른 라인에서 솔로킬이나 갱킹으로 인한 킬이 또 나고.. 슬슬 정글탓 할 때죠.
랜슬롯
13/10/30 12:22
수정 아이콘
망했을 경우에 대한 이야기를 안썼네요. 일단 최대한 간단하게 적어 본문에 추가해보겠습니다.
13/10/30 13:15
수정 아이콘
공략 잘보았습니다. 중간에 원딜기반 데미지 딜러라는 말이 있는데 평타기반이 아닌가 싶네요~
Neon Strike Vi
13/10/30 13:43
수정 아이콘
흡룬 선도란스타트나

방관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바이로 방관룬을 많이 써서 그런지 리신도 가끔 저걸 쓰고 싶게 되더라구요 ..
랜슬롯
13/10/30 13:55
수정 아이콘
일단 선도란에 대해서는 연구를 많이했는데, 프로게이머들 룬과 특성을 살펴본결과 흡룬을 갈필요는 없습니다. 첫 리쉬만 잘받는다면 피가 많이 빠지지않고 더블버프를 달 수 있습니다. 설사 피가 빠지더라도 집을 빠르게 가서 W로 미니언을 타고 포션과 와드를 사서 오면 금방 먹습니다.

방관룬은, 글쎄요. 써봤지만 크게 데미지가 늘어났다는 느낌은 못받았습니다. 오히려 데미지가 약해졌다는 느낌만 받았습니다.
하카세
13/10/30 13:59
수정 아이콘
초반 방어룬을 든 상대를 대상으로 방관룬과 고뎀룬의 효율이 표로 나온적이 있는데.. 일반적인 방어룬을 낀 대상으로는 고뎀룬이 초반 효율이 압도적으로 좋았습니다.
13/10/30 13:46
수정 아이콘
대리 정글들은 꼭 보면 도마뱀가던데 도마뱀이 좋긴 좋은거죠?? 물론 자기가 흥했을때겠지만
13/10/30 14:26
수정 아이콘
글이 너무 좋네요
요르문간드
13/10/30 22:58
수정 아이콘
아무리 그래도 정글러가 점수 올리기 쉽죠...
탑 아무리 잘해봐야 미드봇 망하면서 겜 끝나는거.. 봇 아무리 잘해봐야 탑미드 망하면서 끝나는거... 너무 많이 봐서;;;
Psychedelic Moon
13/10/31 21:20
수정 아이콘
공략 잘봤습니다. 실버레기 정글 유저로써 리신은 손이 안되서 운영 영웅들을 많이 합니다만. 정글을 어떻게 운영해야하는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56 [스타2] 차기 시즌 공식맵 선정 및 2.1 패치 예고 [12] 저퀴9286 13/11/01 9286 0
52655 [기타] 날 울렸던 엔딩크레딧, FF9 [77] 곰주10176 13/11/01 10176 0
52654 [LOL] [스압주의] 각 스토리상 세력별 라인업, 어디가 가장 강할까? [61] 버스커버스커12592 13/11/01 12592 10
52653 [하스스톤] 쉽고 재밌고 강하면서도 값싼 주술사 공략 [15] 정용현9818 13/11/01 9818 0
52652 [기타] 배틀필드4 싱글 소감. [10] 니킄네임10869 13/10/31 10869 0
52651 [기타] 중독법의 음험함. 그리고 뻔히 예상되는 결과 [29] The xian8545 13/10/31 8545 12
52650 [LOL] 플레 달성과 낮은 실력이지만 소소한 팁 [17] 수의신비8417 13/10/31 8417 4
52648 [LOL] 10/31 10월 마지막날 패치노트 [69] Jinx11834 13/10/31 11834 2
52646 [스타2] 프로토스는 아직도, 완성형의 꿈을 꾼다. [30] 파란만장10691 13/10/31 10691 8
52645 [LOL] 일주일정도 남았습니다 테두리 한단계 업글합시다 [36] 삭제됨9215 13/10/30 9215 0
52644 [하스스톤] 무과금 3성 마스터 달성! [31] 레이몬드8840 13/10/30 8840 2
52643 [기타] 게임업계가 이것 하나는 생각했음 좋겠습니다. [44] 미카즈키요조라7670 13/10/30 7670 9
52642 [LOL] 챔프 픽을 그려보자. [9] aura8279 13/10/30 8279 2
52641 [하스스톤] 마스터 3성 찍었습니다! 아옳옳옳옳옳 +덱추가 [23] 오즈s9397 13/10/30 9397 1
52640 [기타] 돌아온 배트맨 아캄 오리진 [42] RoseInn7203 13/10/30 7203 0
52638 [LOL] 프리시즌 변경 사항 안내 - 게임 시스템 [33] Leeka8079 13/10/30 8079 0
52637 [LOL] 시즌3. 올한해 최고의 명장면 Best 3 [17] Leeka12986 13/10/30 12986 4
52636 [LOL] 다이아1, 모스트1, 눈 먼 수도승, 리신 공략. [49] 삭제됨9816 13/10/30 9816 12
52635 [하스스톤] 간만에 흑마로 투기장 9승을 했습니다. [29] Leeka8869 13/10/29 8869 0
52634 [기타] [스타1] 마지막 4강을 추억하며 [18] 삼공파일6788 13/10/29 6788 0
52633 [LOL] 내가 롤 중독이라고? 일상이 롤인걸 어쩌겠어 [8] 정유미9215 13/10/29 9215 3
52632 [하스스톤] 활용가능성이 많은 공용 하수인들 [18] Siriuslee9842 13/10/29 9842 1
52631 [LOL] SKT T1 #1. 최고의 탑솔과 함께하는 그들의 권토중래는 성공할까? [55] 다솜12157 13/10/29 1215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