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21 17:48:07
Name 글곰
Subject [기타] TCG의 원조는?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MTGO)
  최근 클로즈베타 진행 중인 하스스톤 때문에 게임관련 커뮤니티들이 아주 들끓고 있네요. TCG 계열이 상당히 마니악한 게임인데도 이렇게 광범위한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모습을 보니 역시 블리자드는 블리자드다, 아직 죽지 않았구나, 뭐 그런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서 언뜻 저도 하스스톤을 해볼까 싶기도 합니다만, 결국 베타키 이벤트에 신청조차 하지 않은 건 제가 다른 TCG를 온라인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넵. MTG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매직 더 개더링(Magic : The Gathering)의 온라인 버전입니다. 통칭 MTGO(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이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MTGO에 대해 부정적인 이야기로 글을 시작할 수밖에 없겠네요. 사실 MTGO는 여러 면에서 초심자들이 접근하기 힘듭니다. 첫째는 게임의 역사가 오래 되다 보니 소위 말하는 고수가 너무 많아요. 초심자에게 폭풍 연패는 이미 예정되어 있는 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둘째로는 돈이 많이 듭니다. 가입비만 9.9달러고, 각종 이벤트(소규모 대회)에 참여할 때마다 참가비가 2~6틱스(tix. 1tix=$1인 게임머니)나 듭니다. 물론 순위에 따라 그에 상응하거나 혹은 더 많은 상품을 획득하고 그 상품을 손쉽게 틱스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부담되는 게 사실이죠. 셋째로, 가장 치명적인 문제인데 오프라인에서 하는 MTG은 한글판이 나오고 있지만 온라인버전인 MTGO는 영문 클라이언트밖에 없습니다. 즉 영문 카드로 게임을 해야 합니다. 채팅도 당연히 영어로 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MTGO를 한번 권해보고 싶습니다. 무엇보다도 매직에서 느껴지는 원조의 품격이 있습니다. 20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이미 20년 가량의 역사를 쌓아올린 매직은 로테이션이라는 규칙이 있는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스탠다드 토너먼트에서는 최근 2년 동안 출시된 카드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여타의 TCG가 나날이 카드풀이 늘어나면서 밸런스 조절이 어려워지고 동시에 판매 촉진을 위해 신규 카드의 능력을 예전보다 조금씩 더 강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현상을 볼 때, 이는 매직의 게임 환경이 항상 신선함을 유지하고 밸런스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극단적으로 말해 패치 전 불곰처럼 완전히 밸런스 오버인 카드가 나와 버리더라도, 2년 후면 그 카드는 토너먼트 환경에서 사라진다는 거죠. 물론 예전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환경이 있기야 합니다만 주력은 스탠다드니까요. 물론 ‘내가 비싸게 돈 주고 산 카드가 왜 2년 후에 못쓰게 되는데?’라고 반발할 수도 있습니다만, 반대로 신규 유저라 하더라도 기존의 카드를 잔뜩 가지고 있는 올드 유저와 동등한 위치에 설 수 있게 됩니다. 실재로 이 환경 변화를 체험해 본다면 왜 매직의 수명이 이렇게 길게 이어질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됩니다. 한번 상상해 보세요. 스타크래프트가 1년마다 패치되는데, 그 때마다 종족별로 유닛이 네 종류씩 사라지고 대신 새로운 유닛이 네 종류씩 추가되는 겁니다. 게임의 환경이 격변하겠지요?

  두 번째로 다양한 게임 방법을 들 수 있습니다. 최근 2년간의 카드 중에 골라 60장 이상의 덱을 구성해 싸우는 스탠다드가 가장 일반적인 게임 방법이지만, 그 외에도 부스터(카드팩)을 세 개씩 뜯고 그중 그 팩에서 한 장을 뽑아 가진 후 옆으로 계속 돌리면서 자신의 덱을 만드는 부스터 드래프트(Booster Draft)나, 여섯 팩의 부스터로 즉석에서 덱을 만드는 실 덱(Sealed Deck)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예전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모던 환경이라든지, 매직 역사상 대부분의 카드를 전부 사용할 수 있는 빈티지 환경 등 다양한 게임 방법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실력보다도 행운이 아주 크게 작용하는 흥미로운 방식인 모미르도 있네요.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밸런스가 잘 맞아 들어갑니다. 물론 몇 년마다 한 번씩 밸런스 파괴자가 등장합니다만, 이 경우에는 해당 카드를 금지(Ban)해 버리죠. 자주 있는 일은 아닙니다.  

  세 번째 장점은, MTGO는 말 그대로 Trading Card Game이라는 점입니다. 즉 자신의 카드를 다른 사람과 Trade할 수 있어요. 카드를 사고팔 수 있으며, 게임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시세가 변동하고, 이는 종종 게임 그 자체만큼이나 즐거움을 줍니다. 또한 이 말은 운의 개입 요소가 적으므로 덱을 맞추기 위한 일정수준의 현질을 하면 덱의 강함이 보장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확밀아같은 운빨 100% 게임이라면 아무리 현질해도 강해질 수 있다는 보장이 없지만, 매직은 그 보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강력한 덱의 리스트는 전 세계적인 매직 사이트들에서 매우 손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그 리스트를 보고 원하는 카드를 구입하면 되지요. 비싼 덱은 몇백 달러에 달하지만, 최근 세계대회(Grand Prix)에서 우승한 덱은 그 당시 시점에서 가격이 고작 수십 달러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 덱이 우승하고 나서 덱의 주요 카드들 가격이 확 올랐지만요. 게다가 MTGO의 카드 시세는 오프라인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말입니다. 매직은 재미있어요. 이건 보장합니다. 매직은 단언컨대 TCG의 정점에 선 게임이고, 수많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정상의 자리를 20년 가까이 지켜왔습니다. 전 세계 주요도시를 순회하며 십 수 번의 세계대회(Grand Prix)를 개최하고 여기에는 수백에서 수천 명의 게이머들이 참여합니다. 그리고 MTGO는 그런 매직을 고스란히 온라인으로 옮겨 놓은 게임이며 역시 전 세계의 게이머들이 하나의 서버에 접속해 게임을 즐깁니다. 그 사람이 미국에 있든 독일에 있든, 아니면 한국에 있든 관계없이요.

  한번 TCG의 원조에 관심이 있는 분은 MTGO를 즐겨보심이 어떨까요? 클라이언트는  http://www.wizards.com/Magic/Digital/MagicOnline.aspx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현재 클라이언트는 너무나도 옛날에 만들어져 인터페이스가 완전 개판이지만, 다행히도 그래픽과 인터페이스가 진일보한 Wide Beta버전이 있으니 그걸 권해 드립니다. 다만 게임 시작시 가입비가 있으므로 비자 혹은 마스터 카드가 필수입니다.

  아마 제가 이런 글을 쓰더라도 워낙 진입장벽이 있는 게임이라 신규 유저가 늘어날까 회의감이 듭니다만...... 그래도 혹여 한 사람만이라도 늘어난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왕년에 매직 좀 하셨던 분들, 또 원조 TCG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 한번 MTGO로 와 보지 않으시겠습니까?


-MTGO 아이디 gorgom13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0/21 17:52
수정 아이콘
매직 참 재미있는데, MTGO는 왠지 부담이 되서;; 그냥 라이트하게 스팀에 있는 매직을 사서 간편하게 즐기는 중입니다;;
덱도 못짜고, TCG의 본질인 트레이드도 못하고, 여러가지 제약이 많은 게임이지만... 부담감 없이 즐기기는 이쪽도 좋더라구요.
13/10/21 22:02
수정 아이콘
제가... 오프라인으로 뛰다가
결혼하고 애 낳고 하니 시간이 안 나서 스팀 DOTP로 갔다가
결국 매온을 손댄 케이스입니다. 흐흐.
으앙듀금
13/10/21 17:54
수정 아이콘
크으...중학교때 부스터 뜯는 재미가 쏠쏠했었는데...추억돋네요. 그때의 카드들을 몇년전까지만 해도 가지고 있었더랬죠...

역시 이런건 같이하는 사람이 있어야 재밌는법이죠!
13/10/21 17:58
수정 아이콘
같이하는 사람이 있으면 정말 재미있죠!

저도 고등학교때 친구들과 재미있게 한듯 합니다.
13/10/21 22:03
수정 아이콘
옛날 카드 지금까지 가지고 계시면 돈이 많이 되었을 텐데요. 아쉽습니다.
ArchBLade
13/10/21 17:57
수정 아이콘
4th,5th 시절에 주로 즐겼었는데..정말 오래되었네요. 그땐 정말 미친듯이 했었는데요 그 시절이 그립긴 합니다. 뭐 친구들은 요즘도 가끔 즐긴다지만..다시 카드와 룰을 외울려고 하니 머리가 너무 아파서 포기했네요. 뭐 그래도 매직 자체의 재미는 압도적이라고 봅니다.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카드게임이죠.
13/10/21 22:03
수정 아이콘
4th한글판과 함께 명부마도로 빠져든 경우시군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흐흐.
ArchBLade
13/10/22 21:26
수정 아이콘
정작 한글판은 인쇄가 마음에 안들어서 거의 구매하지 않았습니다.. 크크. 거의 영문판으로 즐겼죠. (물론 시기는 그때입니다.)
13/10/21 18:03
수정 아이콘
어릴때 아버지께서 미국 출장 다녀오시면서 "이게 미국에서 유행하는 게임"이라고 리바이즈드 스타터와 부스터팩을 왕창 사오셨었는데 그땐 같이 할 사람도 없고 나이도 너무 어릴 때라 내팽개쳐놨다가 이사하면서 다 버렸던 기억이 나네요. 고등학교 입학하고 매직 시작하면서 그때 생각이 나서 온 집을 다 뒤졌었는데 '산' 한 장밖에 못 찾고 좌절했었던... (찾아보니 지금 부스터 한팩에 50불씩 하네요; 안 까고 남겨놨으면 재테크 좀 됐을 텐데)

지금은 하스스톤을 즐기고 있지만 여유가 생기면 다시 매직으로 돌아갈지도 모르겠습니다. 좀 찾아보니 최근에 오프라인에서도 꽤 활성화되어 있는 것 같더라고요.
13/10/21 18:04
수정 아이콘
다시 한국어판 발매가 결정된게 큽니다.
13/10/21 18:09
수정 아이콘
거지같은 인터하비에서 코보게로 판권이 이동되면서..

한글판 나오고 장소도 잘 만들어주고.. 한게 크죠..
13/10/21 18:46
수정 아이콘
현재 서울 내 매장이 10개가 넘어갔고, 전국적으로 판매만 하는 매장까지 포함하면 약 40개정도까지 늘어났습니다.
2000년대 초중반 매장이 딱 한 군데만 있었던 시절을 생각하면...정말 죽었다가 살아난거죠;

여전히 매우 소규모에 영세하긴 하지만, 그래도 국가대표 선발전(방식이 중간에 바뀌어서 3번 치루고 각 선발전 1등이 국대가 됩니다.)이나
Pro-Tour 예선전 등의 초대형 이벤트는 100명 단위까지 모이는 수준까지 회복했습니다. 지역 유저들도 많아져서 프리릴리즈나 게임데이 등의
캐쥬얼 행사가 열리면 대부분 매장에 10명 이상 - 큰 곳은 3~40명까지 - 몰리는 성황을 이루고 있고요.

개인적으로 2007년 매직에 복귀한 이후로, 작년부터는 확실히 매직할 맛이 납니다. 동네 대회를 나가도 기본 4~5라운드는 진행하게 되니
제대로 게임하는 것 같아서요.
13/10/21 22:05
수정 아이콘
아... 리바이즈드라면 뜯었더라도 듀얼랜드가 몇장 있었을 텐데...
지금이라면 장당 백달러씩은 나갈 텐데요. 아쉽네요.
오프라인도 좋지만 많이 바쁘시면 매온으로 오세요~ 슝
뜨와에므와
13/10/21 18:41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이 실물카드가 나올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카드는 역시 직접 손에 들고치는 게 맛이고 재미있을 것 같긴 한데...

그렇게 되면 온-오프 이중호구가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열혈둥이
13/10/21 19:01
수정 아이콘
판마에 유희왕도 나왔는데 하스스톤이 안나오면 블리자드가 돈벌 생각이 없는거죠.. 흐흐

천프로나옵니다. 하스스톤은 룰도 어마무지 단순해서 오프라인으로도 편하게 할 수 있으니까요

판마나 유희왕은 진짜.. 오프라인으로 하면 데미지나 룰계산하느라고 머리터져요 크크
13/10/21 19:30
수정 아이콘
WOW TCG가 있어서 안 만들 겁니다... 그리고 하스스톤은 오프라인 카드 게임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규칙들로 가득한 게임입니다.
13/10/21 19:42
수정 아이콘
예전에 판마할 때 동전 5개 챙겨놓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13/10/21 18:49
수정 아이콘
매온은 샵가서 드렙못할때 궁여지책으로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오프라인에서 얼굴맞대고 드립쳐가면서 하는거에 비하면 많이 심심하긴 합니다.

그래도 퇴근후 방에서 빤스만입고 캔맥주 마시면서 드렙한판을 할수 있다는건 축복인거죠.
오늘도 한판 해야겠네요.
그리고 MTGO 는 초심자용이 아녀요 오프라인매장에서 룰 완벽하게 익힌후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매온에는 오프라인에서 익히기힘든 스택개념을 완벽하게 익힐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하스스톤도 TCG라 주변에서 하는걸 봤는데... 상당히 캐쥬얼해서 5분정도 보고만 있어도 룰이나 게임 흘러가는건 다 알겠더군요 (스택/인스턴트 개념이 없어 심심할 정도). 근데도 나름 엄청 재미있어 보여 역시 블리자드인가 싶었습니다. 쓰레기 같은 MTGO 클라이언트를 던져버리고 싶을정도로 UI가 깔끔하고 타격감도 훌륭하더군요.

근데 베타키가 없네요..
13/10/21 22:34
수정 아이콘
매온은 아예 초심자용 튜토리얼이 없죠. 어디까지나 룰 제대로 숙지한 사람만 오라는 패기.
켈로그김
13/10/21 19:04
수정 아이콘
저는 매직을 참 좋아라는 하는데.. 온라인은 이상하게 손이 안 가더라고요..
온라인상의 사용권/소유권을 두고 돈을 지불하는데 있어서 무의식적인 브레이크가 걸려요..
(그래서 확밀아를 비롯한 최근의 카드게임도 순도100%의 무과금러..;;)

그리고.. 저는 혼자서 여러가지 덱을 짜서 혼자서 가지고 노는 것도 참 좋아했습니다..
컬러별, 테마별로 바인더 꾸려놓고 구경하는 것도 잼나고..
실물 카드만의 매력이라고나 할까...
아직 오프라인 매직을 즐기는 분이 많다면, 커먼박스나 구입해서 갖고 놀아볼까.. 싶네요. ㅠㅠ
(딸내미 좀 크면 같이 갖고 놀기가 참 좋을거 같아요.)

하스스톤도 많이 고민해봤는데..
오프라인이라면 저는 아마도 최소 100만원 이상은 투자할 것 같아요.
그런데 온라인이라면 아마도 시작도 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합니다.
13/10/21 20:24
수정 아이콘
한글판 나왔을때 세라엔젤 2턴만에 발동시켜서 즐겼던 생각이 나네요~
13/10/21 22:35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 아이디가 불길한 달이시네요.
그나저나 두턴에 세라...... 블랙로터스 쓰셨습니까?!
13/10/21 22:49
수정 아이콘
아뇨, 명칭은 생각이 안나는데 마나 하나쓰고 무속성 마나 3개 생성할 수 있는 아티팩트가 있습니다. 대신 탭할때 생명치가 1인가 2인가 감소되는 페널티가 있던가 싶구요.
그래서 첫턴에 이걸 소환하고, 두번째 턴에 플레인 2개에 이 아티팩트를 탭하면 바로 세라가 나오죠. 당시에 이걸로 재미 좀 봤던 기억이 나네요.
하늘보리차
13/10/21 23:38
수정 아이콘
Mana Vault네요.. 아직도 빈티지, 레가시에서 금지네요.
워낙 강력한 카드가 많아서 마나 뻥튀기, 서고조작류등 초강력 콤보가 가능해지는 건 웬만하면 금지더라구요...
13/10/21 23:53
수정 아이콘
빈티지에서는 제한일 겁니다. Black Lotus가 제한인데 Mana Vault가 금지일 리가...
바다코끼리
13/10/22 09:36
수정 아이콘
제 친구는 두번째 턴에 6/6짜리 오르그 띄워서 두번 퍽퍽 때리고 피니시는 적절한 번카드로 마무리..
이퀄라이져
13/10/21 20: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MTGO는 오프라인에서 최소 GPT 8강 이후는 한 다음에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적인 룰도 당연히 알아야 하고 돈을 들이붓을 각오가 아니라면 어느정도 실력을 가지고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교자만두
13/10/21 21:46
수정 아이콘
그것과 스팀의 메직더게더링과는 다른건가요?
13/10/21 22:01
수정 아이콘
스팀판 DOTP(듀얼 오브 더 플레인스워커)는 매직더개더링에서 트레이드와 덱구성을 덜어내고 간추린 형식입니다.
뭐 기본적인 게임방식은 같아요. 다만 재미가 덜하다는 것 정도일까요.
봉다리
13/10/21 23:48
수정 아이콘
그냥 정해진 테마덱으로만 플레이 할 수 있는거죠.
카드를 하나하나 조합해서 자신만의 덱을 못 만드는거 뿐입니다.
어둠서리애니비아
13/10/21 22:20
수정 아이콘
사족이지만, 전 넥서스7로 구입한 매직2014 재미있게 하고 있습니다.
13/10/21 23:36
수정 아이콘
mtg는 환경을 제한시켜 버린게 신의 한수입니다.
13/10/21 23:44
수정 아이콘
아직도 집에 4,5판. 미라지,비전,템페스트,스트롱홀드,웨더라이트,엑소더스.. 레어들이 많은데..(죄다 민트급..) 요새도 카드많이거래되나요??
13/10/21 23:52
수정 아이콘
음. 말씀하신 블럭 중 최고가는 놀랍게도 템페스트 언커먼인 황야입니다. 50불. 그 외에 저주받은 두루말이, 두루말이 선반이 비쌀 겁니다.
미라지에서는 Lion eye's diamond가 비싸고요. 피렉시안 드레드노트하고, 청색 및 백색 튜터요.
다른 건 딱히 생각나는 게 없네요.
13/10/21 23:56
수정 아이콘
헑. 저주받은 두루말이랑 두루말이 선반.. 튜터류 4종.. 피렉시안 드레드노트가 12/12 트램플에 공격력만큼 희생해서 나오는놈이었나요?

우와 황야빼고 다있다!.. 저주두루말이가 3장인가 있는듯!
13/10/22 01:03
수정 아이콘
http://www.cardkingdom.com 에서 가격을 확인하시고 오프라인 매장이나 다음의 in매직더게더링 트레이드 게시판을 이용해서 판매하시면 됩니다.
국내에서 카드거래가격은 카드킹덤의 가격을 기준으로 달러랑 원을 1:1비율로 해서 거래가 됩니다. 예로 들어 50달라 짜리 카드면 우리돈으로 5만원으로 칩니다. 이 가격 그대로 파시거나 약간의 할인을 붙이셔서 파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옛한글카드]는 가격을 최소 10~20프로 더 쳐줍니다. 민트급인데 정말 귀한 한글카드는 협상을 잘 하시면 꽤 비싸게 파실 수 있습니다. 매직은 부동산 불패게임인 관계로 이야기하신 블록 카드들 중 마나2개 뽑는 랜드는 황야 조금 아래 가격으로 거래됩니다. 1.5불~2불 이하 카드는 단일카드론 은근 팔기 힘드실 수 있습니다. 5불 이하 카드는 꾸준하게 오프라인 매장에 들리거나 트레이드 게시판에 글을 남기면 파실수 있고 10불 이상 카드면 어렵지 않게 팔릴 거고 20불 이상 되는 카드는 잘 팔립니다. 트레이드 게시판에 일괄판매를 한다고 글을 올리시거나 전문적인 카드매매를 하는 매장에 일괄로 넘기시는것도 번거러운걸 싫어하시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3/10/22 04:20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감사드립니다! 이번에 집에가서 리스트를 작성해봐야겠어요! 우르자사가에 비싼카드들이 좀 있네요! 장기자랑. 스닉어택. 가이아의 요람도 있던 기억이..
레인지로버
13/10/22 08:39
수정 아이콘
오오.. 저에게 넘겨주세요.. 쪽지 남겼습니다 흐흐..
13/10/22 11:17
수정 아이콘
가이아의 요람은 저도 있었던것 같은데 찾아봐야겠군요;;
13/10/22 02:15
수정 아이콘
15년전에 카투사로 군 입대했는데 그때 미군들에게 매직더게더링을 선물로 몇개 받았습니다.
다들 모여서 해보려고 고민고민 했는데 도저히 룰을 모르겠더군요.

고참들이 너네들이나 가져라 그러고 나눠줬는데 제껀 포장만 뜯고 덱은 아직 뜯지도 않고 아직 보관중이네요.
그냥 Deckmaster라고 써있고 98년도꺼고 19.95 $ 이었던거 같은데 이거 혹시 아직도 가치가 있나요 ?
13/10/22 06:33
수정 아이콘
98년도면 아마 4th겠네요. 미군이 줬으면 영문판일테고, 아마 60장들이일 겁니다. 안타깝지만 별 가치가 없을 거예요. revised라면 훨씬 비싸겠지만요...
선동가
13/10/22 08:34
수정 아이콘
4th 버전 shivan dragon. serra angel. bad moon. crusade. wrath of god. ball lightning. armageddon. berzerk(숲 3rd버전) 등이 있는데 이거 요새도 쓸수있나요? 가격좀 나가는지?
레인지로버
13/10/22 08:45
수정 아이콘
요새도 사용가능합니다. 다만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 카드라서, 가격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Berserk unlimited판 은 가격이 좀 나갑니다.
13/10/22 22:39
수정 아이콘
한글판이라면 사람들이 구할만한 카드가 좀 있네요. 개인적으로 쪽지를 주시면 가격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가을방학
13/10/22 09:07
수정 아이콘
중학교때 정말 재미있게 했던 기억이 나네요.
어리지만 오프라인도 열심히 다니다가, 판마가 나오면서 그쪽이로 이전해 갔네요^^;

초록색에 다른 덱을 섞어 듀얼로 만들어서 (다른 색 하나가 기억이 안나네요)
공격시에 핸드 카드를 버리고 데미지를 주고,
무덤에 있는 마법카드를 쓰기도 했던거 같은데...
(카드를 버리거나 할 시에 낮은 마나?지형?을 써서 쓰는 덱이었던것 같습니다)
옛날에 그 덱을 재미있게 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흐흐

다시해보고 싶네요~ 시간 되면 다운받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탱구와댄스
13/10/22 09:13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 베타키 못구해서 뒤적 거리다가 dotp를 알게 되서 매직에 입문했는데 오오....재밌더군요. 아직 모든 덱을 다 해보지도 않아서 카드 특성도 다 모르지만요.....
바다코끼리
13/10/22 09:41
수정 아이콘
저도 아직 보관 중입니다. 98년에 열심히 하고 괜찮은 카드들은 모셔 두고 있습니다. 황야가 지금 그 시절 최고가 카드라니 천오백원 할 때 수집 좀 해놓을 걸 그랬네요.
레인지로버
13/10/22 09:52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 카드만 잘 보관해뒀었더라면.. 하는 후회가 좀 드네요. 최근에야 다시 예전 카드를 모으기 시작했지만, 자꾸 옛날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요...
13/10/22 09:49
수정 아이콘
크아... 합정에 국내 최초로 매직클럽이 생기고 얼마 안있어 드나들던 손님(..뭐 그땐 코찔찔이 중딩이었지만;;) 이었습니다. 토요일 학교 끝나고 지하철 타고 합정가는게 1주일의 낙이었더랬죠.

고딩땐 잠시 접었다가 20살부터 다시 하게되고, 또 바로 일본 유학길에 올랐는데, 학교 내에 시뮬레이션 게임 서클(이라고 쓰고 TCG 서클이라 읽는)이 있어 한국에서 돌리던 덱 가지고 돌러가서 일본애들이랑 게임하고, 같은 카드인데 제가 쓰던 한글판과 일본판을 교환했던 기억도 나네요.

지금은... 스팀에서 파는 MTG나 사서 가끔 돌려보는 유저가 됐지만요.
13/10/22 22:40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카드 사기가 좀 많았습니다만, 요즘에는 미국의 대형 거래 사이트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카드 가격가지고 장난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만 아주 없진 않습니다. 예전 카드를 파시려는 분은 사이트 등에서 조금 알아보시고 하는게 도움이 될 듯 합니다.
Starlight
13/10/22 23:16
수정 아이콘
크 스컬클램프로 꿀좀 빨다가 밴먹고선 그뒤로 덱 굴리는게 힘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 뒤로 TCG에서 카드 드로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568 [LOL] 시즌4 변경 사항이 1차 공개 되었습니다. [79] Leeka11969 13/10/24 11969 1
52566 [하스스톤] 나도 투기장에서 대박 한 번 쳐보자! - 흑마 덱 짜기 [13] 루윈9321 13/10/24 9321 2
52565 [하스스톤] 전사 덱 소개 + 덱 변천사입니다 [19] 반반쓰9067 13/10/23 9067 0
52564 [하스스톤] 정신지배 수정 예정이 떴습니다. [42] Leeka9893 13/10/23 9893 0
52563 [공지] 피지알 기부 프로젝트 결과 공유 [20] Toby5722 13/10/22 5722 12
52562 [하스스톤] 사냥꾼 원턴킬 플레이 영상 입니다. [26] 현실의 현실12432 13/10/23 12432 0
52561 [기타] C&C 온라인에서의 한국 [20] 눈시BBv311601 13/10/23 11601 3
52560 [하스스톤] 변태사제 덱을 소개합니다 [13] 굴리9445 13/10/22 9445 0
52559 [기타] 오늘 킬링캠프 엄재경 해설 편 잘 봤습니다. [151] LEADA12419 13/10/22 12419 3
52558 [LOL] 프로의 플레이로 보는 징크스 리뷰 [43] 사랑비11814 13/10/22 11814 0
52557 [LOL] 대만 LOL 프로리그가 출범했다고 합니다. [34] 마빠이9216 13/10/22 9216 0
52556 [LOL] 서폿유저들에게 꿀챔프를 소개합니다. [52] 오빠언니10899 13/10/22 10899 1
52555 [LOL] 압도가 천년정지를 당했습니다 [226] 김치남20945 13/10/22 20945 0
52554 [하스스톤] 많은 사람들이 햇갈려 하는 이슈들 정리. #8 [19] Leeka8493 13/10/22 8493 3
52553 [하스스톤] 쓰래기가 되어버린 Leeroy Jenkins [17] Lumines9647 13/10/22 9647 0
52552 [하스스톤] 투기장 흑마 가이드 영상 [21] 루윈8786 13/10/22 8786 1
52551 [하스스톤] 투기장을 돌파해보자 제 1일차!! [27] Euphoria9823 13/10/21 9823 1
52550 [스타2] 2013년 10월 셋째주 WP 랭킹 (2013.10.20 기준) - 챔피언 백동준 & 최성훈의 랭킹은? [6] Davi4ever6467 13/10/21 6467 0
52549 [LOL] 여자들에게 물어본 LOL 캐릭터 인기순위 [60] 버스커버스커36498 13/10/21 36498 9
52548 [기타] TCG의 원조는?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MTGO) [51] 글곰7932 13/10/21 7932 1
52547 [하스스톤] 깨알잼 듬뿍 바른 멀록덱. [45] 현실의 현실10827 13/10/21 10827 1
52546 [하스스톤] 여러 잘못 알려진 사실들 이야기 - #7 [94] Leeka13290 13/10/21 13290 0
52545 [LOL] 연동 RPG 컨셉안 (가제 Life of Legends) [31] Lustboy11912 13/10/21 11912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