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14 12:18:21
Name Leeka
File #1 cl1.jpg (132.2 KB), Download : 19
File #2 cl2.jpg (121.3 KB), Download : 15
Subject [LOL] 클라우드 템플러. 이현우 선수의 은퇴를 바라보면서




* 전성기. 클템 3밴을 하고도 막지 못했던. 시즌2 한국 최고의 정글러. 클라우드 템플러

1. 커리어

2011 WCG 국대 선발전 - 준우승
롤 인비테이셔널 - 우승
롤챔스 스프링 12 - 준우승
롤챔스 섬머 12 - 우승
시즌2 롤드컵 - 준우승
롤챔스 윈터 12 - 준우승
롤챔스 스프링 13 - 4위
롤챔스 섬머 13 - 4위

IEM 시즌7 월드챔피언쉽 - 준우승
IEM 카토비체 - 4강


2. 시즌2 한국 최고의 정글러.

섬머 결승때. '클템 3 저격밴'이 무조건 나올 정도로 한국 최고의 정글러 자리를 굳혔으며.

시즌2 롤드컵에서는.. '스카너 저격밴을 받는' 유일한 선수로. 전세계 최고의 스카너로 이름을 떨침.

롤드컵 4강 3경기. 스카너를 풀어준 CLG.EU에게..  환상적인 이니시에이팅을 통해 팀을 결승전으로 올리는데 큰 공헌.

클템의 쉔 정글은 다른 선수들이 아무도 쓰지 않을 때 조차..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줘서 필밴 카드로 만들어 냄.




3. 클템의 챔프 성적 TOP 7

쉔 - 23승 7패
스카너 - 13승 9패
아무무 - 11승 9패
자르반 - 9승 10패
마오카이 - 8승 4패
녹턴 - 7승 2패
람머스 - 6승 3패





4. 마치면서..

여러 별명도 많지만.
한국에서 가장 인기 많은 정글러 중 한명이자.

시즌2에서 한국을 대표했던 최고의 정글러로.
롤챔스에서 4강을 매번 갔던 커리어로
기록엔 영원히 남을겁니다.


시즌4에서는 해설자로 만날 수 있길 바라면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0/14 12:20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한게 쓴 챔프들이 다 너프됨....
곧내려갈게요
13/10/14 12:22
수정 아이콘
사실 클템은 그렇게 꿀빨러의 느낌도 아니였죠.
그냥 혼자만 잘 쓴 느낌이였는데 희안하게 클템이 잘 쓴 챔프가 다 너프되면서
좋은 모습 보여주기가 어려워 진거 같습니다.
계속 응원했던 선수인데, 은퇴해서 아쉽네요.
해설로 계속 만나보길 바라네요.
프로토
13/10/14 12:20
수정 아이콘
진짜 은퇴할 기량은 아닌데 ㅜㅠㅠ
스트레스가 심했을것같습니다 .
해설자로 오겠죠 ?!
루크레티아
13/10/14 12:26
수정 아이콘
3레임밴, 3전파밴 등의 시초인 3클템밴이죠. 진짜 위엄이 하늘을 찌르네요.
지금 현역 선수들 중에서도 클템보다 아무무, 누누 궁을 제대로 쓸 수 있는 선수는 없다고 확신합니다. 클템이 장판궁 사용은 정말 세체정입니다.
라엘란
13/10/14 12:31
수정 아이콘
장판 궁도 궁이고 한타 각을 재서 이니시에이팅하는 능력도 최고죠. 프로스트가 클템 슈퍼 이니시 장판궁으로 경기 굳힌게 한두번이 아니니..
라운드바
13/10/14 12:27
수정 아이콘
후에 어떤 일을 하던 좋을 일만 있기를 바랍니다 ㅠ_ㅠ
Darth Vader
13/10/14 12:27
수정 아이콘
강해설 자리가 위태해지려나요?
PDD에게전해!
13/10/14 12:28
수정 아이콘
그렇게 클템 욕먹는거 보며 참 안쓰러웠는데... 아쉽네요. 아직 은퇴할 기량은 아닌데.ㅠㅠ
시즌 2 프로스트를 롤챔 결승까지 이끌었던 클템이 은퇴라니..
뭘해야지
13/10/14 12:29
수정 아이콘
시즌2 스카너는 진짜 쩔었죠 솔랭용챔프라고 하던 챔프였는데 혼자서 너프도 만든 ..
원딜은안해요
13/10/14 12:30
수정 아이콘
전략코치로 전향한다는 얘기도 있던데..그냥 CJ에서 나오는 건가요..?
13/10/14 12:34
수정 아이콘
롤 1세대 프로게이머들이 크게 고전하고 있는 요즘인데 남아 있는 선수들은 힘냈으면 좋겠어요. 처음 롤이 들어왔을 때 '이 게임은 세대교체가 느릴지도 모른다'는 반응이 있었는데 스2랑 비슷한, 혹은 더 빠른 속도라 안타깝네요.

이와는 별개로 롤챔스 틀었을 때 이제는 귀가 즐겁겠네요.
13/10/14 12:37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스2보다 더더욱 피지컬적인 면에 의존하는 게임이라 세대교체가 더 빠른게 맞는거 같아요
이브이
13/10/14 14:04
수정 아이콘
게다가 지속적인 패치로 게임이 변화하는 시기가 꽤나 잦은것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찬공기
13/10/14 12:35
수정 아이콘
코치는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전략적인 면으로 이름을 날린 전자두뇌 클템이라 코치 이야기도 나오는 것 같은데요. 어짜피 해설도 게임분석 다 해야 하는 입장인데, 1세대 LOL 프로게이머가 대중적인 접점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해설을 맡는게 LOL판의 성장에 있어서도 더 낫지 않을까요.

클템 개인의 커리어에서도 해설이 코치보다 더 주목받을 수 있기에 나은 자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1세대 LOL 프로게이머들 점차 은퇴하면서 해설 자리를 노릴텐데 해설은 자리도 한정되어 있고 쉽게 바꾸기도 힘들잖아요. 해설->코치의 테크는 충분히 가능할테니 선택의 여지를 남겨둘 수 있겠죠. 코치야 한 팀에 여럿 둘 수도 있는 것이니 나중에 끼어들 수 있구요. 직업적인 측면에서도 코치는 잘릴 위험이 해설보다 훨씬 클 것 같아서 별로라고 봅니다. 뭐, 본인이 현명한 판단 하겠지만요..
프로솔로
13/10/14 12:38
수정 아이콘
공부도 잘한다고 하니 해설을 안할지도 모르겠네요.
죽음불꽃소나기
13/10/14 12:38
수정 아이콘
이현우 선수의 경우 해설하는 장면에서도 그렇고, 플레이 스타일도 그렇고, 참 영리한 선수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잘 생각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믿습니다.
앞으로의 일도 잘 생각해서 좋은 결정 내려주길 빌고, 하는 일이 어떤 일이든간에 잘 되길 빌겠습니다.
(팬들의 마음이야 해설 쪽이 아무래도 많겠지만, 그 부분은 이현우 선수 혼자 결정하는 게 아니니까요.)
Judas Pain
13/10/14 12:41
수정 아이콘
코끼리튀김의 팬으로서, 이현우씨는 롤게이머로서 기억될만한 업적을 남겼고 앞으로 무엇을 하든 잘 해나갈 사람이라는 말을 해두고 싶습니다.

그동안 멋진 플레이를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스마트한 게임운영,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실룩셀룩
13/10/14 12:41
수정 아이콘
당연히 해설 전향하지 않을까요?
타이밍상 딱 지금이 롤해설 티오가 나는 상황이고
만약 지금 해설로 전향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클템이라해도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긴 힘들테니까
그 어느때보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보입니다.
수의신비
13/10/14 12:43
수정 아이콘
강민이 이글을 싫어 합니다..
13/10/14 12:52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예상도 됐던 은퇴였는데 어제 팬미팅도 나오고 해서 아직 한시즌은 볼 수 있겠다라고 맘을 놓고있었는데..
뒤통수한대 맞은 기분이예요..
제가 클템 선수를 많이 응원했나 봅니다 눈물이 멈추지 않는걸 보면.. ㅠㅠ
13/10/14 12:54
수정 아이콘
그동안 수고 많았습니다. MiG 시절부터 팀을 좋아한 적은 없습니다만 클템이라는 선수에게는 매력을 많이 느꼈는데 벌써 선수생활 은퇴라니 아쉬워요. 본인 말처럼 어느 길이든 더 멋진 시작을 할 수 있기를
13/10/14 12:54
수정 아이콘
결사반대 ㅠㅠ 나이가 비슷해서 내심 마음이가는 선순데 이렇게 은퇴하면 나까지 은퇴하는기분이잖 ㅠㅠ 이제 뱅밖에없네
하쿠나마타타
13/10/14 12:57
수정 아이콘
저도요. 하~ 슬픕니다.
13/10/14 12:54
수정 아이콘
아직도 클템보다 나은 정글러가 몇이나 있는진 개인적으론 잘 모르겠지만...솔직히 은퇴한다면 지금 시기가 딱 적절할것 같긴 해요.

학교 문제도 있고 나이도 있으니 다음 진로를 생각해야 할때고, 코치건 해설이건 지금 딱 자리를 잡으면 쭉 일할수 있겠죠

그동안 수고하셨습니다. 어떤 역할로건 곧 볼수 있길 빌게요
13/10/14 12:54
수정 아이콘
루리웹 베댓,

'은퇴는 클템이었으나 일자리를 잃는건 강민이었다'

이런 댓글은 어느 학원 다녀야 달 수 있나요???
13/10/14 13:52
수정 아이콘
빵터졌네요 크크
저지방.우유
13/10/14 18:51
수정 아이콘
아니...크크
야성엽기
13/10/14 12:59
수정 아이콘
중요한 경기에서 아무무, 녹턴, 노틸러스(는 아닌가 아무튼) 같은 정글을 꺼낼 수 있는 유일한 정글러인데 많이 아쉽습니다.
13/10/14 13:02
수정 아이콘
음, 아쉽다는 생각과 감정을 지울 수가 없네요.
해설로서 최고의 재원이고 팀의 구심점이었기에 코치도 훌륭히 잘 소화할 사람입니다.
재능이 있는 사람이기에 앞으로의 모습도 기대가 됩니다만..

블라인드 픽의 쉔 정글, 결승전에서의 스카너 점멸 궁..
다른 선수들과 다른 모습으로 최고의 자리에 있었던 선수라 아쉬움을 털어낼 때 까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adagietto
13/10/14 13:04
수정 아이콘
그동안 수도없이 까이면서 받았을 스트레스가 상상이 안가네요.
본인과 팀을 위해서 힘든 결정을 했군요
워낙 능력있는 사람이니 나가서 뭘해도 잘할겁니다.
개인적으로 롤챔이나 새로 생긴다는 프로리그 해설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은퇴결정했을때 샤이선수랑 팀원들이 그렇게 많이 울었다는데 아..정말 이 날이 결국은 왔네요..
13/10/14 13:05
수정 아이콘
클템은 분명히 강한 미드와 조합되면 좋은 정글러인데
솔직히 얼밤미드가 너무 약함.
양들의꿈
13/10/14 13:23
수정 아이콘
그쵸...시즌 3 빠른별 + 클템은 별로 였는데

갱맘 + 클템은 삼성 오존, KT B 랑은 어느정도 해볼만 했습니다.(2:3 , 0:3 이지만...)

미드만 잘해준다면 클템이 미쳐 날뛰는데 좋은 미드라이너 인재풀을 구할수 없었나 봅니다...

얼밤팬질은 샤이,클템,매라 보면서 했는데 이제 얼밤충은 그만둬야겠네요...에효
대청마루
13/10/14 15:08
수정 아이콘
빠른별+클템이 KT B 상대로 0:6 이고 (롤챔섬머 4강 0:3, 롤드컵진출전 0:3)
갱맘+클템은 KT B 상대로 1:1 일 거에요... (롤챔섬머 16강)
13/10/14 17:28
수정 아이콘
섬머 시즌 ktb 상대는 빠른별+클템이 0:3이고 갱맘+클템이 3:5일 겁니다.
은수저
13/10/14 13:05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에서 가장 정감가던 선수였는데 여러모로 아쉽네요.
롤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 라일락과 함께 클템동영상 보면서 이거저거 배웠던거 같은데 말이죠.
앞으로 뭘 하든지 하는 일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13/10/14 13:18
수정 아이콘
선수가 아닌 다른 모습으로의 활약도 기대해봅니다ㅠ.ㅠ
양들의꿈
13/10/14 13:25
수정 아이콘
하아~ 얼밤충 안할란다 ㅜㅜ
블루 워커
13/10/14 13:25
수정 아이콘
2011 wcg국대 선발전 MIG맴버는 콘샐-건웅-빠별-로코-매라 아니였나요?? 그때 정글 건웅이고 클템은 인비때부터 같이 한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다레니안
13/10/14 13:27
수정 아이콘
클템도 생각이 많을 것 같습니다. 스타1 시절처럼 CJ에서 도와주진 않을테고...
학교 복학하면서 장래를 생각해볼 것 같네요. 학점 및 토익 등 스팩복구도 해야할테구요.
해설도 전문해설을 맡기엔 스케쥴에 좀 무리가 있고 객원해설(16~8강)정도로 참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클템은 뭘해도 잘할 거 같아요. 기업에서 정말 좋아할 인재상이기도 하구요.
+@로 아프리카로 틈틈히 부수입도 창출가능하고... 쓰고보니 할게 너무 많아서 생각이 많을 것 같군요. -_-;;;
13/10/14 13:41
수정 아이콘
은퇴자체는 아쉬운 일이지만 앞으로 뭘해도 클템은 경쟁력이 있어 보입니다.
본인이 슬퍼할 일만은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고 당찬 포부를 밝히기도 했고 말이죠.
일반프로게이머처럼 고졸이나 하위권대학재학도 아니라 선택지가 너무 많아요.;;

1.공부에 전념(스펙쌓기) ->졸업후 좋은기업도전 (요즘 기업에서 바라는 인재상인 사회성풍부로 유리)
2. 해설자로 활약(더이상 설명은 생략)
3. 코치로 활약(경기를 보는 눈 자체는 여전히 쓸만함. 피지컬이 딸릴뿐. 전력분석. 밴픽준비에 유효. 팀분위기 도우미에도 제격)
4. 아프리카 tv 개인방송진출(콘샐도 떠나 전프로 lol게이머가 없는 현재 클템이 진출시 최소한 중박이상보장,예전의 방송경험도 보유)
방민아
13/10/14 16:53
수정 아이콘
코치만 안하면 학교다니면서 해도 되겠네요.
13/10/14 17:29
수정 아이콘
대학원 등록 후 객원해설로 활약 정도가 가장 현실적인 클템의 진로가 아닐까 싶네요. 예전 인터뷰 때 대학원에 가고 싶다고 얘기한 적이 있는걸로 봐서는...

이후로는 코치, 전업해설 정도가 일반적인 테크트리겠죠. 전략을 잘 짜는 분이니 코치로도 대성할 듯 한데, 이건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네요.

일반기업쪽으로 가기엔 이미 이쪽 물을 너무 많이 먹어서 적응하기 쉬울 것 같지가 않습니다.
쇼쿠라
13/10/14 13:4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은퇴의 큰이유중 하나가
프로스트 경기에서 지면
무조건 정글러까던 몇몇분들때문이라고 생각되네요
물론 해설로의 기대감이 커서 그런건 알지만
막상 지금 클템이 s급은 안되도 a급 정글러는 된다고 보는데
정말 아쉽네요
13/10/14 14:31
수정 아이콘
꼭 그뿐만은 아닌거 같습니다.
물론 언론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말하긴 힘들겠지만 본인이 가능성이 있다면 다시 한번
도전할만한 패기가 있던 선수였다고 봐요.
하지만 자의로 은퇴를 결정한 거라면 다른 생각이 있어 그만둔게 아닐까 싶습니다.
Quelzaram
13/10/14 13:49
수정 아이콘
해설의 기대감이 커서 선수로 활동했던 시기의 성적을 비판했다는 건 자기 합리화에 가까운 변명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비난받을 때도 클템이 못해서 졌다기보다는 메타와 저격 너프의 희생양에 가까웠지만, 이걸 생각하고 인정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거든요.
경기도 고만고만하게 잘하지만 해설 능력이 아까워서 깠다? 그냥 까고 싶으니 깐 겁니다.
본인이 말도 잘하고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과는 별개로 말이죠.
단지날드
13/10/14 13:53
수정 아이콘
시즌2 한국 최고의 정글러라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롤챔스에서 계속 볼 수있었으면 좋겠네요
13/10/14 13:54
수정 아이콘
현재의 프로스트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선수들의 집합체라 잘하든 못하든 응원했는데... 그 중 하나가 빠진다니 정말 아쉽네요.

해설로라도 꼭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롤링스타
13/10/14 13:58
수정 아이콘
제발 해설 플리즈...
시네라스
13/10/14 14:11
수정 아이콘
애초에 헬리오스 선수가 프로스트로 이동하는거 자체가 이해가 안되었었는데
클템선수가 은퇴를 작정했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개편이었네요. 서머시즌 3,4위전을 보면서 그래도 아직은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아 근데, 그 바론 스틸 당한 경기가 은퇴경기가 되다니...
어쨌든 기왕 이판에서 오래봤으면 합니다. 1순위는 해설이고 2순위는 코치진이겠죠. 졸업하고 나서 돌아온다고 해도 워낙 입담이 좋아서 환영받을거구요.
대청마루
13/10/14 14:19
수정 아이콘
이번 롤챔섬머 4강 KTB와의 경기에서 얼밤이 빠른별의 미드가 그냥 폭파당하면서 3:0으로 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단 클템이 까이는 분위기를 보곤 클템 오래못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에 장건웅 은퇴할때 이제 어그로담당이 클템이 되나.... 라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진짜 말대로 됨(...)
아쉽지만 지금 관두는게 본인 선택이니만큼, 외부의 팬들이 미래에 이거해라 저거해라 간섭할 수는 없는거죠. 뭘해도 다 잘할거라고 봅니다.
一切唯心造
13/10/14 14:20
수정 아이콘
코치로 뛰는 것보다 프리랜서해설하면서 학업스펙 쌓는게 장기적으로 좋아보이네요
13/10/14 14:27
수정 아이콘
지금 빨리 메이저 해설의 레벨이 되는게 장래 롤판의 성장을 봤을때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13/10/14 14:43
수정 아이콘
해설로 가는거 정말 환영입니다. 더 재능있는 쪽을 택하는게 현명한게 맞다고 봅니다 화이팅
loveyoureal
13/10/14 14:45
수정 아이콘
고생하셨습니다.
이지스
13/10/14 14:49
수정 아이콘
지금 바로 투입돼도 국내 넘버원을 다투는 해설인데 무조건 해야죠. 선수로서의 클템도 좋아했지만 해설로서의 클템은 너무 기대가 많이 돼서 빨리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영원한초보
13/10/14 15:11
수정 아이콘
메테오스의 정글러의 난이 제압되는 걸 보고 좌절한 것 같습니다 ㅜㅜ
C9이 프나틱을 이겼다면...
이제 국내 초식 정글러는 없어지는 건가요?(헬리오스는 초식도 아니고 육식도 아니고)
막눈과 클템이 성향은 안맞아도 공격적 운영과 안정적 운영의 밸런스 면에서 발전성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프로스트 걱정 많이 되네요
생겨요
13/10/14 15:14
수정 아이콘
학벌도 좋은편이고 해설로 전향할 경우 미래의 불확실성을 생각하면
그냥 학업에 전념하는게 좋을 것 같은데
클템의 선택이 궁금하네요
도시의미학
13/10/14 15:15
수정 아이콘
혹시나 싶어서 소환사 아이디 검색해보니 아이디도 바꿨네요.

저 스스로는 클템선수의 가능성에 기대를 건다는 말을 많이 했기에 은퇴가 더 아쉽습니다.
롤 게이머들을 알게 된지 이제 겨우 5달 밖에 안됐는데 변화가 너무 잦아서 적응이 안되네요.

클템선수 앞으로 좋은일만 있길 바랍니다.
Ovv_Run!
13/10/14 15:2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방송보면서 정글 따라하던데 엊그제 같은데..
시즌 4를 한시즌이라도 해보고 결정했으면 좋았을텐데 너무 아쉽습니다.
해설자로 꼭 만났으면 좋겠네요.
클레멘티아
13/10/14 15:48
수정 아이콘
윈터시즌까지는 하길 바랬는데 말이죠.
복학도 늦은 거 같고, (벌써 중간고사 기간인데?) 만약 복학한다면 내년 봄인데,
그렇다면 이번 윈터시즌까지는 할수 있지 않았을까...
시즌4되면 정글이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르는데 말이죠. (그리고 대격변일수록 경험이란 걸 무시할수 없죠,)
아마.. 복학을 내년 봄에 한다 하면 해설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래퍼드 처럼 객원해설의 전례도 있고 말이죠.
단, 문제는 돌아오는 박용욱 헤설이 문제인데,
만약 박용욱 해설이 롤을 맡게 된다면,
김동준 - 박용욱 / 클템 - 강민 이런식으로 짜여 질꺼 같아 불안하네요..
김동준 - 클템 조합을 보고 싶은데 말이죠.
Legend0fProToss
13/10/14 15:51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도 cj계열사인데 스무스한 인사이동은 안되려나요?!
사유라
13/10/14 15:53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인데 만약 프로리그랑 롤챔스가 공존한다면 강민은 리그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네요.
챔스는 클템이 하고...
사유라
13/10/14 15:55
수정 아이콘
정소림캐스터가 슬슬 롤에 발을 들여 놓는것도 챔스,프로리그를 전용준,성캐,정소림 3인의 캐스터로 로테이션 돌릴것 같습니다.
옵드라
13/10/14 16:23
수정 아이콘
클템 잘가요 ㅠㅠ
신과함께
13/10/14 16:32
수정 아이콘
다들 팬으로서 원하는 방향이 있겠지만 저는 꼭 해설로 만났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그리고 클템 선수! 게이머로서도 정말 멋진 플레이 많이 보여줬습니다.
뭘 해도 화이팅하시길 바래요!
자르반4세
13/10/14 17:14
수정 아이콘
강력한 미드라이너와 함께 했었다면 더 높은 곳에 있었을텐데..
클템 선수 떠났으니 프로스트와도 멀어질것 같네요.
아 막눈이 왔구나..

여튼 클템선수 덕분에 정글을 시작했고 주챔인 자르반도 시작했습니다.
무슨일을 하시더라도 잘되실거 같아서 걱정은 안되네요.
이왕이면 롤챔스시간에 볼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수고 많이 하셨어요.
13/10/14 17:53
수정 아이콘
4시즌까지만 해봤으면 어땠을까 생각해요.
2시즌에 비해서 3시즌이 클템선수한테 너무 불리했다고 생각한지라...
게다가 미드라이너의 부진이 겹치기까지 했구요.
그렇게 이중고를 겪으면서도 4강에 맨날 얼굴을 비춘다는건 오히려 클래스를 보여주는 거라 생각하는데 많아 아쉽네요.
13/10/14 18:00
수정 아이콘
아 싫다.... 프로스트 매력이 조금씩 사라져 가는 느낌... 쉔으로 스플릿 푸쉬 하면서 역전하던 모습이 눈에 선한데...
그래도 항상 팀을 챔스 4강에 올린 정글러인데 이상할 정도로 까이는 거 보면서 화도 많이 났는데...
이렇게 은퇴를 결정하다니 정말 안타깝네요..... 지금 날고 긴다는 정글러들이 아무리 잘해도 항상 기억속 최고 정글러는
클라우드 템플러일겁니다. 멋진 모습으로 다시 만나길 기대하겠습니다.
HOOK간다
13/10/14 18:09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빠로서 클템 선수의 부재는 크게 다가올 것 같네요...;;

클템선수가 6~70% 오더를 맡고 있는데....

클템선수 없이 하는 게임을 보니.. 운영이 좀 별로였는데 말이죠;;

프로스트의 부진이 눈에 선합니다.
13/10/14 18:12
수정 아이콘
정말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앞으로 행복한 일들 많기를!
13/10/14 18:19
수정 아이콘
정말 재평가의 롤인지 시대가 급변하는건지 모르겠지만 클템 3벤하던 시절 보니 가슴 짠하네요.
개인적으로 호감을 가지고 있는데 어디서든 잘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3/10/14 18:20
수정 아이콘
시즌2 롤드컵 준우승은 순전히 그의 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최고의 활약을 보여준 정글러가 이렇게 떠난다니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클라우드템플러, 프로스트의 영원한 맏형으로 기억할 겁니다.
13/10/14 18:21
수정 아이콘
롤은 잘 모르지만 굉장히 다재다능한선수라 봤는데 아쉽네요.... 롤드컵 해설 재밌게 들었는데 해설이든 코치든 다시 볼수 있길....
오렌지샌드
13/10/14 18:22
수정 아이콘
이제 프로스트의 경기는 더욱더 프로스트가 아니겠네요. 한때 유일하다시피 했던 독특한 컬러의 팀이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그와는 별개로 클템 선수의 앞길은 밝아보이네요.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커피보다홍차
13/10/14 18:25
수정 아이콘
저랑 동갑이기도 하고, 이 나이때에 피지컬 왕성한 10대후반, 20대 초반 선수들과 경쟁하는 모습을 보며, 그리고 참 스마트한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에
팬이였는데, 아쉽고 서운하고 그렇지만 응원도 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하는 일도 잘 되길 바랍니다!
13/10/14 18:36
수정 아이콘
먼저 수고하셨다는 말씀 전하고 싶네요.
시즌2를 지배했던 정글러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을 듯 싶네요.
잘가요 ㅠㅠ 해설로 다시 꼭 보고 싶네요!
레몬커피
13/10/14 18:42
수정 아이콘
직접 해설 참여도 좋고 개인적으로 개인방송 하면 재미있을 거 같네요.
저지방.우유
13/10/14 18:52
수정 아이콘
정말 해설로 만났으면 합니다!
자제좀
13/10/14 19:21
수정 아이콘
시즌2 세계최고정글러 클템..꼭 다시 볼수있길
레이몬드
13/10/14 20:09
수정 아이콘
장건웅이 클템에 대한 글을 썼네요. 한 번쯤 읽어보면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http://blog.naver.com/rjsdndgod/50181223470
13/10/15 14:19
수정 아이콘
장건웅이 팀에 있을 때면 아직 빠른별이 잘나갈 때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때도 빠른별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군요..
Vienna Calling
13/10/14 22:38
수정 아이콘
클템은 어떻게든 욀 것 같은데 강민은......
겜알못
13/10/14 23:21
수정 아이콘
제가 제일 좋아하는 선수였는데 너무 아쉬워요...흐엉.....다시 돌아와..돌아와 돌아와 ㅠㅠㅠ
be manner player
13/10/14 23:56
수정 아이콘
장건웅 전 선수 글에도 언급됐지만 미드가 밀리면 정글이 뭘 보여주기가 어렵죠(물론 역도 성립합니다).
댄디 선수만 봐도 다데 선수의 폼에 따라 활약이 요동치는 걸 보면 알 수 있듯이요.
클템 선수 경기 보면서 즐거웠고 앞으로 어디로 가셔도 좋은 모습 보이길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키스도사
13/10/15 01:19
수정 아이콘
시즌2에서 가장 뛰어난 정글러를 꼽으라면 전 클템을 뽑고 싶네요. 롤드컵 결승에서 아쉽게 미끄러 지긴 했지만 그전까지 모습은 세체정이었죠. 그때도 자르밧 창을 못맞추고 쉔 도발이 대지를 갈랏지만 운영에 있어서는 누구도 따라올수가 없던 정글러. 김치메타의 초석을 닦은 아주부의 오더 담당이라는 것만 봐도 롤판에서는 중요한 인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환호를 받기도 하고 놀림감도 되기도 했지만 이제는 다 추억으로 남겟네요. 조만간 해설로 꼭 볼수 있었으면 좋겟습니다
13/10/15 11:44
수정 아이콘
클템은 롤해설뿐만이 아니라 다른 종목게임을 해설해도 잘할 것 같은데

프리랜서의 길로 가는것도...
13/10/15 14:16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초창기 한국롤의 최강자였던 MiG 프로스트의 롤챔스 원년 멤버 중에 주전으로 남은 건 사실상 매드라이프 뿐이겠네요..
커피보다홍차
13/10/15 15:07
수정 아이콘
유머게시판에 있는, 은퇴 인터뷰(?) 영상입니다.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177823&divpage=30&ss=on&sc=on&keyword=%EC%9D%80%ED%87%B4

못보신 분들은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Carpe Diem
13/10/15 18:45
수정 아이콘
제발 해설로..봤으면 좋겠어요. 클템+동준 조합이면 최고일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16 [스타2] WCS 시즌3 파이널 소감 [21] 저퀴6508 13/10/28 6508 0
52615 [하스스톤] 하스스톤 여러가지 짜투리 팁들 #11 [13] Leeka7849 13/10/28 7849 0
52614 [하스스톤] 도적이라면 한방이죠! 미라클로그덱 [10] 레삐10408 13/10/28 10408 0
52613 [하스스톤] 마음이 편해진거같아요. [16] 루키즈6543 13/10/28 6543 0
52612 [하스스톤] 클로즈 베타 직업 밸런스. 뜨거운 카드들 [58] 미움의제국8518 13/10/27 8518 0
52610 [하스스톤] 직업별 10렙까지 얻는 카드 정리 [17] 정용현15235 13/10/27 15235 0
52609 [도타2] 도타를 처음하는 유저를 위한 상점가이드. + 깨알팁 [21] 하카세16947 13/10/27 16947 2
52608 [도타2] LOL로 알아보는 초보자 추천 근거리 영웅(아바돈, 영혼파괴자) [22] 하카세10405 13/10/27 10405 1
52605 [도타2] 접근하기 - 1 [31] Quelzaram9429 13/10/27 9429 0
52604 [기타] [철권] 태그2 언리미티드 2013 대회 다녀왔습니다. [7] 모커리6336 13/10/27 6336 3
52601 [하스스톤] 하스스톤의 미래에 대한 예측 [73] 걸스데이 덕후10327 13/10/27 10327 0
52600 [도타2] 진입장벽? 어차피 그건 결과가 말해줍니다. [27] 송아지파워9941 13/10/27 9941 0
52599 [LOL] 전용준 캐스터에게도 위기감이 필요할 때가 아닐까요? [97] 사랑한순간의Fire15883 13/10/26 15883 4
52597 [도타2] 진입장벽? 하지만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90] 삭제됨17818 13/10/26 17818 0
52596 [도타2] 진압장벽? 그것은 편견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253] 엘더스크롤11838 13/10/26 11838 1
52595 [LOL] 프리시즌 변경 사항 안내 - 서포터 [17] 마빠이10106 13/10/26 10106 0
52594 [도타2] 개인적인 매력들 [42] 세이젤8385 13/10/26 8385 0
52592 [도타2] 흥행이 절망적으로 보이는 이유 [302] 뜨와에므와16642 13/10/26 16642 0
52591 [기타] 프로게이머들의 아프리카 방송 참여가 잘못된 것일까...? [200] Duvet11637 13/10/26 11637 2
52590 [하스스톤] 직업별 비밀 목록 [29] Toby27332 13/10/25 27332 0
52589 [하스스톤] 드디어 투기장 9승을 했습니다. [14] 길갈7650 13/10/25 7650 0
52588 [기타] 워크래프트 세계관속 최강의 존재 수호자 에이그윈 [34] kdmwin12165 13/10/25 12165 0
52586 [하스스톤] 하스스톤 영웅별 간략 소개 #10 [37] Leeka8589 13/10/25 85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