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0/11 10:16:08
Name Leeka
Subject [LOL] 아리 수정안이 공개되었습니다. - 매혹 내용 추가(14:40)
기존에 라이엇에서는 아래와 같은 컨셉으로 바꾼다고 했었는데요.


: 매혹을 맞췃을 때만. 버스트 딜을 낼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
: W와 R은 '상대가 대응할 수 없는데 데미지가 높다'
: 스킬을 맞춘다면 높은 데미지를 주지만, '상대가 스킬을 피한 다면' 줄어드는. 리스크가 있는 방식으로 가겠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패시브 - {(2+챔피언 레벨)+0.09 AP}x(적중한 적 수)  만큼 회복(기존 데미지의 35%)

Q - 그대로
* 논타겟에 맞춰야 되는 스킬이기 때문에.  라이엇의 컨셉과 부합하여 조정하지 않음.

W - 단일 타겟에게 연속으로 들어갈 때 100%-30%-30% 로 변경. (기존 100%-50%-50%)
: 단일대상 풀 히트 기준 64/104/144/184/224 (+0.64 AP) 가 됩니다 (기존 80/130/180/230/280 (+0.8 AP))
- 광역 스킬 판정이 적용되어. 라일라이가 15%, 주문흡혈은 1/3이 적용됩니다.

* 기존에 모렐로가 말한대로. W는 데미지가 감소되었습니다.


E - 마나 소비량이 90으로 고정됩니다. (기존 50/65/80/95/110)
" 1~3렙 너프, 4~5랩 버프.  사실상 마나 소비량은 너프.
- 매혹을 맞출 경우. 대상이 4초동안 아리에게 받는 스킬 데미지가 20% 증가합니다.

* 매혹을 맞출 경우 버스트 딜?. 을 주기 위해 20% 추가 효과가 적용됩니다.

R - 데미지와 계수가 70/105/140(+0.25AP) 로 변경(기존 85/125/165(+0.35AP))
- 혼령질주의 재사용 가능 시간이 7초로 줄어듭니다. (기존 10초)

* 궁의 데미지와 연속 사용 시간이 감소했습니다.



종합 : 라이엇 개발팀 기준. 6레벨 버스트 콤보시
•아리(기존): 575 (+2.85 AP) [매혹 명중], 515 (+2.5 AP) [매혹 빗나감]
•아리(패치 후): 587 (+2.73 AP) [매혹 명중], 454 (+2.04 AP) [매혹 빗나감]

의 데미지가 나온다고 합니다.


그 외의 챔프들은
▫        Annie 465 (+215% AP) [this does not include any damage from Molten Shield or Tibbers's aura]
▫        Fizz 420 (+305% AP) (+4% Missing Health)
▫        Kassadin 350 (+250% AP) [this is with one Nether Blade attack and a zero-stack Riftwalk]
▫        Lissandra 435 (+255% AP)
▫        Lux 650 (+205% AP) [this includes one instance of Illumination popped by R and one instance popped by a basic attack]
▫        Syndra 570 (+230% AP) [this is with zero additional Dark Spheres on Unleashed Power]


개발팀 말을 빌리면
'매혹을 맞출 경우 기존보다 높은 데미지(게임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더더!)
'매혹을 못맞출 경우 기존보다 낮은 데미지(게임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더더!)


가 나온다고 합니다.

4줄 요약
매혹 맞추고 원콤 -> 기존보다 쎔
매혹 못맞추고 원콤 -> 기존보다 약함
한타때 매혹 안맞은 나머지 애들 딜 -> 기존보다 약함
위 3개 케이스는 템이 나오고, 레벨업을 하면 할수록 더더더 기존과 차이가 커짐.



* 스킬별 요약
패시브 너프 / Q 버프 / W 너프 / E 버프&너프 / R 너프 라고 보시면 됩니다.


* 한 유저가 매혹과 데파, 리안드리와 같은 시너지에 대해 질문 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했습니다.

[[아리의 매혹은 아리가 주는 모든 마법 데미지를 증폭시킵니다.
죽음불꽃 손아귀, 리치베인, 리안드리의 고통 등등 모두 20% 추가 데미지를 주게 됩니다.
죽음불꽃 손아귀의 사용 효과와는 스택되므로, 그 둘을 모두 맞은 불운한 표적에게 들어가는 아리의 마법 데미지는 44% 증가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0/11 10:17
수정 아이콘
매혹을 맞춰도 계수는 너프네요. ㅠㅠ

르블랑처럼 단일대상 누커로 만들 생각인가요. 한타 생각하면 너프가 상당한 것 같은데...
스치파이
13/10/11 10:20
수정 아이콘
매혹 스킬 데미지 20% 증폭이 있어서 실제 데미지는 높아질 겁니다.
13/10/11 10:25
수정 아이콘
본문 참고하면 너프가 맞는 것 같아요.

너프전 : 0.66 + 0.8 + 0.35 + 1.05 = 2.86

너프후 : 0.35(매혹) + 1.2*(0.66 + 0.64 + 0.75) = 2.81

깡뎀도 큰차이 없다고 나와있는데 매혹 맞추면 이전 딜 나오는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13/10/11 10:27
수정 아이콘
계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스킬의 기본 데미지 + Q의 트루뎀' 까지 20% 증가하기 때문에. 매혹 맞추면 실제 딜은 예전보다 확실히 높습니다.


계수 꼴랑 0.0? 차이면.. 매혹 20%로 증가하는 기본뎀+트루뎀 데미지가 훨씬 쎄죠.


단지 아리는 지금도 '원콤딜' 이 모자란 상태가 아니라서. 더 쎄져봤자 딱히 쓸곳이 별로 없으니 너프가 되는거고요.
13/10/11 10:29
수정 아이콘
W R 기본뎀 다 너프먹었죠.. 본문에 의하면 너프전에 비해 너프후 깡뎀 차이가 12 나는데요;; 트루뎀이라는 거 감안하더라도 큰 차이 안날 것 같습니다.
13/10/11 10:30
수정 아이콘
그건 '6레벨' 기준이니까요.
렙업 하면 할수록 깡뎀이 더 오르고(스킬레벨). 그래서 매혹 20% 추가도 더 쎄지죠.

W과 R의 깡뎀 감소는 매혹 맞춰서 20% 올리면.. 차이가 많이 줄어서. 결과적으론 Q 데미지 늘어난거덕에 이득을 더 봅니다.

트루뎀은 '상대 마방이 오르면 오를수록' 뎀이 줄어들기 때문에.. 트루뎀 20% 증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득이고요.


저게 결과적으로 너프가 되는건

체력이 950인 적이 있습니다.
기존엔 데미지 1000이 나왔는데
스킬 맞추면 1200 데미지 줄께. 대신 못맞추면 700 줄꺼야.

그럼 어차피 200 데미지는 주나 안주나 적이 죽는거라서.. 너프가 되는거고. 그게 지금 아리죠.
13/10/11 10:36
수정 아이콘
Q가 이득인 것은 맞습니다만

W는 기본뎀 계수 둘다 20% 까였습니다. 20% 까이고 20% 증뎀하면 0.8*1*2 = 0.96으로 근소 너프라고 봐야죠.

R도 기본뎀이 너프를 같이 먹었기 때문에 매혹 맞추면 84 / 126 / 168 (+0.3AP)네요. 기존 데미지가 85 / 125 / 165 (+0.35AP)인 거 생각하면 역시 너프라고 봐야죠. 궁 2렙에 AP 20, 궁 3렙에 AP 60만 돼도 너프네요.

결국 남는 건 Q 20% 증뎀밖에 없다고 봐야 합니다.

한타에서 광역딜 생각하면 시망 수준이고요...
13/10/11 10:42
수정 아이콘
광역딜은. 망했어요 수준이죠. .

사실매혹도 마나소비가 1렙기준 거진2배를만들어서 . . . .
13/10/11 14:50
수정 아이콘
트루뎀은 증폭되지 않는답니다.
YORDLE ONE
13/10/11 10:19
수정 아이콘
수치로 장난치면서 이래저래 생각하다 도저히 안되겠다고 짜낸 대안이란 느낌이 드는데 되게 좀... 별로같네요
수의신비
13/10/11 10:20
수정 아이콘
진짜 겁나 짜증나네요.. 아리 너프는 진짜 에반데...
아.. 이제 뭐하란 소리인지..
오카링
13/10/11 10:20
수정 아이콘
어차피 아무리 너프해봤자.. 그러면 다른애가 상대적으로 강해지고, 그러면 또 그 챔프를 너프하고, 그러다보면 또 아리는 강해집니다 ^^;
아리짱짱걸!
ThisisZero
13/10/11 10:22
수정 아이콘
이제 중요한건 매혹의 데미지 증가와 죽음불꽃 손아귀의 데미지 증가가 중복이 되느냐가 아닐까 싶네요.
크레시안
13/10/11 11:13
수정 아이콘
됩니다.
Judas Pain
13/10/11 10:22
수정 아이콘
보다 테크니컬한 타겟 암살형으로 재조정한다고 좋게 볼 수 있겠지만, 궁너프를 감당못해서 안쓰는 챔프가 될거 같습니다.

아리는 요새의 뜨거운 감자인 데파-암살 아리만이 아니라 중반부터 성배를 중심으로 준광역 지속딜-어그로 형식의 플레이를 할 수도 있고, 암살력이 떨어지는(데미지가 여러 타겟을 자동조준하는 준 광역 형식이라 데미지 분산이 일어남) 후반엔 자연스럽게 준광역 지속딜-어그로 방식의 플레이를 해내야 하죠. 이것이 화려한 아리의 매력이기도 하고 성능이기도 하고 가능성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번 너프는 데파-암살형이 너무 강해서 너프를 한다면서 결과적으론 준광역 지속딜-어그로 타입을 크게 약화시켰는데, 이래선 아리가 르블랑 처럼 라인전에서의 우위와 킬에 의존하는 챔프가 되겠지요. 그런데 아리 라인전이 르블랑 같이 완전 주도가 가능한 캐릭터는 원래 아니었는지라.. 패시브도 저게 하향이라고 판정되면 라인유지력이나 교전유지력도 더 떨어진다고 봐야 하는데...

결국, 평범한 암살자처럼 단일 타겟 암살 테마(성능까진 잘 모르겠고..)를 강화시키면서 아리 고유의 캐릭터성을 죽이는 패치겠지요
경찰아저씨
13/10/11 10:25
수정 아이콘
흠 일단 궁진입하고 코앞에서 매혹던져야 하나요?
그래도 피할려면 피하겠지만...
단지날드
13/10/11 10:26
수정 아이콘
지금 프로급에서도 매혹 적중률이 그렇게까지 좋지는 않던데 진짜 관짝에 제대로 들어갈지도 모르겠네요;
ThisisZero
13/10/11 10:27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저 패치후 데미지는 궁 3방이 매혹 효과 지속상태에서 들어갔을때를 말하는 거겠죠?
도주기고 뭐고 그냥 들어가서 꽂아넣고 죽으라는건가...

생각할 수록 뭔가 아니다 싶긴 합니다. 게다가 매혹으로 데미지가 증가했을 때도 AP 계수 자체는 낮아졌는데
그렇다면 AP가 증가할수록 데미지가 더 줄어드는게 아닐까요?
13/10/11 10:28
수정 아이콘
대신 레벨업을 할 때마다 '스킬의 레벨이 올라가서'
스킬의 기본 데미지가 증가하는데
이 기본 데미지가 다시 20% 증뎀되는게 크죠.

특히 Q의 '가고 오고 하는 트루뎀' 까지 20% 증뎀이라서..


대신 지금의 아리는 '원콤딜' 이 모자란 상태가 아니라서.. 이게 더 쎄져봤자
다른 상태에서의 딜이 줄어들면 엄청 손해인거죠.
ThisisZero
13/10/11 10:32
수정 아이콘
트루뎀도 증가가 되나요? 인벤에서는 안된다고 나와있던데;
13/10/11 10:35
수정 아이콘
전 되는걸로아는데
실제PBE나와서써보면알겠죠

안되면 기본딜도너프라서
그리고또한
13/10/11 11:27
수정 아이콘
스웨인 1렙점화뻥뎀도 막히지 않았나요?
트루뎀은 증감없이 수치 그대로 들어가는 걸로 아는데...
13/10/11 13:09
수정 아이콘
점화는 아리의 스킬이 아니거든요.

점화 - 소환사 주문 판정
Q - 아리 스킬 판정. 의 차이가 있죠.
13/10/11 10:28
수정 아이콘
아 화나.. 대체 왜 너프시키는거야...!!!
세레나
13/10/11 10:28
수정 아이콘
그냥 또다른 르블랑이 될런지.. 물론 아리가 라인 푸쉬력이 아주 좋기 때문에 그렇게 까지 극단적인 스타일까진 안 갈 것 같지만 말이죠.
오카링
13/10/11 10:36
수정 아이콘
근데 매혹 자체 데미지가 너무낮지 않나요? 아무리 하드cc라곤 해도 이런경우는 심한거 같습니다.

엔하로 하드 cc있는 챔들 다 찾아봐도 매혹처럼 단일대상+ 미니언에도 막히는 cc주제에 데미지까지 이렇게 엄청 낮은 스킬은 거의 없던데요. 낮아도 너무 낮아요. 계수까지 참담하고.
13/10/11 10:37
수정 아이콘
사실 매혹은 아리가써서. . 자체딜이높아지면 좀 문제라고보는. . .
치탄다 에루
13/10/11 10:39
수정 아이콘
이건 르블랑이잖아요 르블랑.
그럴거면 E매혹을 4초로 하던가! 이 바보!

패시브도 깨알같은 너프고.. 데미지가 올라갔다곤 해도 궁이 7초니 그건 또 문제고.. 어정쩡한 너프네요.
13/10/11 10:42
수정 아이콘
6렙 이후에 cs먹으러 조금만 전진 한 상대한테 궁쓰고 매혹 맞던 안맞던 궁 2번 더쓰면 죽거나 플래쉬 빠지는게 정상이라고 생각하시는건지..(물론 같은 암살자류 제외)
적어도 궁쓰고 매혹이 안맞으면 내가 위험할 수도 있으니 빠져야겟다 라던가(일단 들어가보고(응?) 자기 손이 잭스라 스킬 못맞추면 살아나오는거도 사기라고 생각하지만..) 안맞았지만 이길 수 있다라는 선택지를 주는게 머가 문제가 된다는건지..
궁 지속시간 너프로 머라고 하는건 이해라도 할 수 있지만 매혹 관련된 문제로 머라고 하는건 이해 할 수가 없는거 같아요..
13/10/11 10:47
수정 아이콘
저 패치 이후로 아리 광역딜이 뭉텅뭉텅 까일 거 생각하면 원콤은 거의 무조건 나와야 한다고 봅니다. 르블랑 판테온 같은 챔프들 보시면 원콤 나와도 안써요..
13/10/11 10:54
수정 아이콘
매혹 맞추면 원콤은 무조건 나옵니다..
못맞춰도 동귀어진 할 생각으로 궁3번 쓸동안 살아만 있으면 원콤 나옵니다..
13/10/11 11:02
수정 아이콘
W R 딜량이 20%가까이 까인 거 생각하면 이제 매혹 못맞추면 원콤이 나오기 힘들죠. 뭐 원콤 안나오더라도 다른 활용도가 충분히 좋다면야 상관없습니다만 문제는 광역딜이 폭풍너프를 먹으면서 암살자 외의 활용도가 확 줄었다는 겁니다. 그렇다고 단일대상 누커로서의 소양이 르블랑 판테온 탈론보다 낫냐 하면 그것도 아니죠. 매력없는 챔프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뭔가 아리 딜링을 과대평가하신다는 느낌이 있네요. 라인전에서 풀피인 상대방이 조금만 머리 내밀어도 필킬이라는 이미지는 딱히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13/10/11 11:22
수정 아이콘
풀피인 상태에서 매혹 맞으면 필킬이죠..
못맞추면 궁으로 다시 빠지면 되니까 문제가 없구요.
매혹 맞추면 예전처럼 필킬이고 매혹을 못맞추면 죽으라는 소리도 아니고 서로 살아가는데 문제가 된다고 하시면
솔직히 게임 너무 편하게 하는거 아니냐는 생각밖에 안듭니다..
애초에 나는 죽을 생각이 없고, 상대가 죽느냐 마느냐만 생각하는거죠
13/10/11 11:29
수정 아이콘
매혹을 그냥 맞추는 것도 아니고 보통 선 혼령질주 쓰고 들어가서 맞추는게 보통인데 들어가서 매혹 못맞추면 궁만 낭비하고 빼야죠.

이게 그냥 흔한 미드챔프면 님말대로 문제가 안되는데 이번 패치로 아리의 정체성이 단일대상 누커 가깝게 되어버렸다는 데에는 문제가 생긴다고 봅니다. 스킬셋 저렇게 바꿔놓으면 서로 킬 안따이고 무난히 갔을 때 아리의 한타기여도가 참 슬퍼지거든요. 탈론 르블랑 판테온이 그렇듯이 말이죠. 저 챔프들 상대하다간 까딱하면 원콤나는데 너프할까요? 그냥 암살능력이 떨어져서 문제가 아니라 암살밖에 못하게 만들어놨는데 그 암살도 기존 암살자보다 별로니까 문제라는 겁니다.
13/10/11 11:35
수정 아이콘
자기가 솔킬내겟다고 궁썻는데 다른 스킬 못맞추면 빼는게 정상이죠..
서로킬 안따이고 한타가면 cs만 먹어도 아리는 1인분은 할 수 있지만 탈론 르블랑 판테온 카사딘 피즈는 그게 안되죠..
라인전 할때 나는 cs만 먹어도 되랑 킬을 꼭먹어야되는 많이 다른 느낌이니까요
또한 데파를 코어템으로 가는 이상 단일 타겟 누커라고 생각합니다..
13/10/11 11:42
수정 아이콘
저 패치가 이루어지면 아리가 이제는 한타에서 더이상 1인분을 못한다는 게 제 얘긴데(계속 얘기했잖아요. 광역딜이 왕창 까여서 더이상 한타에서 제대로 기여 못한다고.) 그걸 동의 못하시겠으면 더이상 우리가 얘기를 나눌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지니쏠
13/10/11 10:51
수정 아이콘
아리가 압도적으로 잘 큰 상황이 아닌이상 라인전에서 선궁으로 들어가서 매혹못맞추면 거의 대부분의 상대에게 역으로 발립니다. 암살자가 아닌 브랜드 제라스 애니 등의 누커에게도 물론이거니와, 모데카이저 스웨인 라이즈 등의 탱커에게도 무조건 집니다. 대체 어떤 챔프를 말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13/10/11 10:53
수정 아이콘
발려야 정상이지요 그런데 못맞췄는데 궁은 2번이나 더 쓸수 있어서 살아가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는게 문제죠 그리고 예시로 들어주신 챔프는 대부분 아리 카운터로 꼽히는 챔프들이네요(절반은 매혹을 맞춰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왜 그런챔프만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동급생
13/10/11 10:56
수정 아이콘
카운터가 저렇게 많은 캐 너프를 뭐하러 시키나요?(...)
13/10/11 11:01
수정 아이콘
저기 써진 챔프들이 거의 안쓰이는 챔프들인데요.. 잘쓰이지도 않는 챔프 들어가면서 반론하시는데 저는 아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야 하는건가요?
모모리
13/10/11 11:02
수정 아이콘
카운터가 저렇게 많다고 해봐야 저 챔피언들 다 대회에 나오지도 않습니다....
지니쏠
13/10/11 11:10
수정 아이콘
왜냐면 카운터가 아니니까요.
모모리
13/10/11 11:27
수정 아이콘
당장 롤드컵에서도 아리를 노리고 스웨인을 뽑은 게임이 있죠. 물론 그 게임은 졌고 스웨인이 아리의 카운터인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카운터가 아니라서 안 나오는 건 아닌 거 같네요. 브랜드나 애니 모두 아리한테 좋다고 알려졌지만 그거만 보고 뽑기엔 부담되는 챔피언들이거든요.
지니쏠
13/10/11 11:39
수정 아이콘
카운터를 다소 유리함을 가지고 있는 정도로 정의하느냐 확실하게 말릴 수 있는 챔피언으로 정의하느냐 에 따라 다르겠네요.
모모리
13/10/11 11:53
수정 아이콘
피들스틱이 그렇게 블라디한테 좋다지만 대회에서 블라디 상대로 미드 피들을 뽑진 않죠. 카운터라고 하더라도 메타에서 요구하는 최저치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그 외에는 깜짝전략 이상의 의미가 없구요.
지니쏠
13/10/11 11:01
수정 아이콘
발려야 정상이고 실제로 발립니다. 그런데 안발린다고 말씀하셔서 댓글 단거고요. 그런 챔피언들만이라고 하셨는데, 현재 미드에서 어느정도 쓰이는 챔프 중 제드 탈론 르블랑 피즈 등도 역으로 바르는건 마찬가진데 암살자에게는 진다고 애초에 언급해두셔서 안썼고, 가장 대표적인 누커 셋을 썼는데 저중 아리 카운터 이미지가 조금이라도 있는건 브랜드 뿐이네요. 그 어떤 다른 누커도 마찬가지입니다. 탱커들 역시 라이즈는 너프이후 전혀 아리를 카운터하지 못하고, 스웨인은 장인이던 압도가 아리를 상대할 수 없다고 공략글에 쓰기도 했습니다. 모데가 아리 카운터라는 말은 처음 듣네요. 이외에도 대회등에서 어느정도 쓰이는 그라가스 카사딘 오리아나 모두 다 아리가 선궁진입후 매혹실패시 수월하게 역으로 아리를 따낼 수 있는 챔프들입니다. 못하는 챔프는 기껏해야 트페 하나쯤 생각나네요. 참고로 이 대부분의 챔프들 상대로 그런 상황 발생시 아리는 죽거나 플래시가 빠집니다. 적챔피언 스킬의 쿨이 빠진틈을 노려서 돌진한게 아니고서야 궁으로 여유있게 다시 빠지는건 있을 수가 없는 일이죠.
13/10/11 11:33
수정 아이콘
카운터 문제는 옆으로 새는거 같으니 놔두고, 애초에 상대 스킬 빠진 상태에서 아리가 들어가는게 정상이고
풀피에서도 매혹을 맞추면 원콤내기가 더 좋아졌죠..
풀피에서 들어가서 매혹 못맞췄는데 빠져나오면 솔직히 애니 같은애 아니면 안죽는게 정상이구요..(솔직히 궁1타후 매혹 실패시 수월하게 아리를 솔킬내는 캐릭은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매혹 맞출시에 적을 죽일 확률이 증가하니 아리 숙련도가 높은 유저는 좋아할 일이고..
잘하지도 못하는데 캐릭빨로 좋아서 하는 사람들은 안할테니 좋은 패치인거 같습니다.
오카링
13/10/11 10:59
수정 아이콘
6렙 후에 궁써서 매혹 못맞춰도 상대를 죽이거나 점멸 뺄 수 있는 경우는 절대 없습니다.
상대가 피가 많이 빠져있으면 몰라도요. 그건 자기 잘못이니까 언급할 계제도 아니죠.
롤 접었습니다
13/10/12 15:37
수정 아이콘
좀편견이 심하신듯 하네요 님이 말하시는만큼 아리는op가아닙니다
그리고 암살자챔프중에 라인클리어 힘든챔프는 르블랑빼곤 딱히없죠
13/10/11 10:4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논타겟 스킬을 못맞춰도 암살 한다는게 문제라는 생각은 안해보셨는지요..
13/10/11 10:54
수정 아이콘
1스킬 빗나가는 정도는 중후반에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암살류 챔프가 그렇지만요
그런데 이 패치는 매혹이 빗나가면 암살은 절대 못하고, 아리의 광역딜 및 유틸성 역시 너프를 시켰다는게 문제지요
13/10/11 11:00
수정 아이콘
제드 제외한 암살자 챔프는 파밍이 힘들다는 단점이라도 존재하죠.. 광역딜은 거의 없는 수준이구요
또한 데파 나온 시점에서 원딜이 아리를 1:1로 만나면 죽는건 확정이죠..(이건 패치되도 변함 없을겁니다.)
단, 궁을좀더 많이 써야 할텐데 매혹을 못맞추면 죽이는데 오래걸리니 리스크가 올라가는거고 맞추면 순삭이니 걱정할거 없구요
그정도 리스크도 감당 못한다면 게임 너무 편하게 하는거죠..
13/10/11 11:21
수정 아이콘
ad캐스터류 암살자 챔프는 파밍이 힘들지 않습니다..
그리고 코어템 1개 나온 시점에서 암살자 챔프와 원딜이 1:1로 만나서 안죽는 경우가 있나요?
그리고 맞추면 순삭이라는점에 어폐가 있는게, 예전에도 맞추면 순삭, 못맞추면 순삭이 아니었습니다 -_-;;
13/10/11 11:37
수정 아이콘
그러니 어짜피 맞으면 순삭이니 문제될게 없겠죠.
아리 숙력도가 높은 사람은 좋아할테고
실력 없이 캐릭빨로 하는 유저는 떨어져 나갈테니요..
캐릭빨로 하는 유저가 많다는거 자체가 보통이상의 챔프라는 소리니까요
13/10/11 11:44
수정 아이콘
파밍은 좋아도 쓰이지 않으니까요..
아리는 많이 쓰이고 있고, 많이 쓰이는 챔프가 너프되는건 lol의 숙명이랄까..
꼬미량
13/10/11 10:52
수정 아이콘
다시 오리아나의 시대가 올것같네요
동급생
13/10/11 10:54
수정 아이콘
그나마 있던 여우불 혼령질주 광역딜쪽이 깎였네요
오리아나 제드는 왜 냅두는 건지 필밴이라?-_-

이래서 혹 프로들이 자기 모스트 꺼내기 시작하면 망하길 기도해야 됩니다
Darth Vader
13/10/11 10:56
수정 아이콘
데파가 기본스킬이네요 좋구만요
진입장벽이 높아졌을뿐
템나올수록 20% 증뎀이 기하급수적이죠
ThisisZero
13/10/11 10:57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 기본스킬 데파를 맞아야 현재 스킬데미지와 비슷비슷해지므로 데파가 중복되지 않으면 고인이 될 것 같습니다.
Darth Vader
13/10/11 11:07
수정 아이콘
아리는 항상 템트리로 어떻게든 적응해온챔프라서... 그만큼 매커니즘이 좋은 챔프기때문에 활용법이 또 나오겠죠.
개편된 패시브로 성배트리가서 라인유지력올리고 EQ 포킹형도가능할거같고
리치베인트리로 폭딜하는 유형이 재조명받을수도있을듯하네요
13/10/11 11:59
수정 아이콘
딜량은 시간이 지날 수 록 증가하니 후반 한타때 데파 한명 매혹 한명 맞추고 두명 암살할지도 모르죠..
PDD에게전해!
13/10/11 10:56
수정 아이콘
지금도 마나소모 무지하게 큰데...
르블랑꼴 날지도 모르겠네요.

내 손으로 이제 아리는 못하게 되는 건가..
베네딕트컴버배치
13/10/11 10:59
수정 아이콘
헐 밑글에 매혹데파를 썼는데 진짜로 그럴줄이야...
모모리
13/10/11 11:00
수정 아이콘
아리 너프에 유독 반발이 심한 거 같은데 이해가 안 됩니다. Wr로만 암살하는 아리를 보면 할 말이 없어지던데....
LikeDaniel
13/10/11 12:33
수정 아이콘
아리는 1년 전에 이미 고인급 너프를 받았고 실제로 고인이 되었습니다.
대회에서는 작년 섬머~올해 스프링까지 모습을 '아예' 감췄었구요.

그러던 아리가 버프 하나도 없이 갑자기 핫해졌습니다.
김동준 해설이 4강 CJ 내전에서 엠비션이 미드를 꺼내든 1경기인가 2경기에서 했던 말을 그대로 빌리자면
"여러 미드챔들이 다 너프를 먹어서 미드에 할게 없다. 그래서 아리가 요즘 다시 뜨고있다."
라고 했습니다.


아리는 1년 전에 사형선고를 받은 챔입니다.
그러다가 단 하나의 버프 패치도 없이 1년이 지나자 op급의 반열에 올라선 챔이 되었습니다.

아리 너프때문에 화가 나는게 아니라 계속 이딴식으로 너프 and 너프만 반복하니 화가 나는거죠
모모리
13/10/11 12:56
수정 아이콘
너프로 밸런스 맞춘다는 소리야 계속 나오던 말이고 별다른 상향 없었지만 다른 챔피언이 줄너프되면서 오피로 등극한 경우도 이미 있었지요. (아리처럼 아예 상향을 안 받은 경우는 좀 특이할지 모르지만) 늘상 있던 일인데 아리만 유독 심한 반발이 생기는 기분이더라구요.
13/10/11 13:04
수정 아이콘
아리가 라이엇의 하향평준화식 패치의 상징같은 존재라 평소보다 반발이 심한 것 같습니다. 고인급으로 너프해놓고 아무도 안 쓰이길래 유저들이 의견 제시했더니 '우리가 보기엔 이게 딱 좋은데?' 하던 게 라이엇이었는데, 거기서 밸런스가 안정되긴커녕 계속되는 언밸런스로 결국 주류 미드챔프들 너프로 한바퀴 돌려깎았죠. 그 결과가 지금의 아리인데 다시 폭풍너프 먹인다는 얘기는..앞으로도 계속 너프 일변도 + 가끔 리메이크의 패치로 가겠다는 의도로 유저들이 생각하기 충분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패치 방향에 유저들이 공감하지 못하기에 반발이 심한 거죠.

사실 근본적인 이유는 라이엇 밸런싱 팀의 역량 부족이죠. 적당히 너프해서 딱 평캐 만드는 사례가 별로 없습니다.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죠. 강제로 새 친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은 라이트유저로서는 큰 고통이라고 봅니다.
LikeDaniel
13/10/11 13:22
수정 아이콘
아리처럼 극단적 너프로 관을 짰고 실제로 아예 쓰이지도 않다가 버프 하나 없이 op로 등극된 케이스는 특이한 정도가 아니라 전무후무합니다.
모모리님께서도 알고계시네요
버프는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지금 대다수의 유저들은 아리 너프에 대해 불만이 있는게 아닙니다.
라이엇의 밸런스 패치에 대한 불만인거죠.
HOOK간다
13/10/11 11:01
수정 아이콘
안하고만다.. 아리로 골드 4에서 골드 2로 겨우 올렸구만...

이제 뭘로... 오리아나 너무 어렵던데 ㅠㅠ
13/10/11 11:04
수정 아이콘
순수 데파효과를 매혹으로 대체하고 ap 템을 늘리는건 어떨지요?

템트리를 선데파가 아닌 뭐 가면부터가던가 .. 깡데켑을 가던가

데파 나온뒤로 심홀 안좋아했는데 선 심홀가도 데파효과나면 엄청 손많이 타는 암살자챔프가 될듯..
13/10/11 11:09
수정 아이콘
아리 너프 환영합니다.

더불어 다른 미드 고인챔프,비주류 챔프들의 약간의 버프도 추가했으면 좋겠네요
건이강이별이
13/10/11 11:12
수정 아이콘
전 조금 화가 나는게.
W를 너프하는것 좋습니다. 어차피 전 Q선마했지만 한타쯤 되면 W데미지가 만만치 않더군요, 라인전 한정에서는 W선마해도 강력할것 같구요.
그런데 너프할때는 너무 많은 폭을 너프합니다.
너프 목록
1. 패시브 너프(이건 너프 맞죠??)
2. W데미지 너프(덩달아 계수도 너프) 추가타시 데미지도 너프
3. E는 데미지 증폭이 있지만 어차피 마지막 마스터하기때문에 마나량 너프
4. 궁극기 데미지 너프(덩달아 계수도 너프)
5. 궁극기 시전시간 너프
너프만 5개입니다. 계수까지 합치면 7개죠.
버프 목록
1. E를 맞출시 데미지 증가

이래놓고 아리 너프해서 왜그러는지 모르겟다가.. 말이 되나요?....
13/10/11 11:16
수정 아이콘
굳이따지면 q는간접버프죠

매혹맞추면쎄지고 못맞추면 그대로니
13/10/11 11:23
수정 아이콘
스킬 데미지만 따지면 사실 Q버프 W너프 R너프라고 봐야죠 ㅠ.ㅠ W랑 R은 매혹 맞춰야 원래 데미지 나올까말까라서..(W는 근소하게 너프, R은 선매혹쓰고 증뎀 시간동안 3타 다맞춰도 근소하게 너프)
루크레티아
13/10/11 11:17
수정 아이콘
여우불이야 이해가 가는데, 가만히 있는 궁은 왜 또 너프질인지 모르겠습니다.
13/10/11 11:22
수정 아이콘
궁 너프가 너무 심해서 관짝으로 들어갈 거 같네요..
3회 사용 시간이 7초면 진짜 순식간에 지나가거든요 크크크
허시멜로
13/10/11 11:28
수정 아이콘
아리 너프에 굉장히 민감하신 분들이 많네요~ 그만큼 재미있고 인기가 많은 챔프라 그런건지

분명 아리가 1티어 챔프이고 너프(정말 약간의 조정?)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관짝에 못 박아버릴줄이야...
13/10/11 11:29
수정 아이콘
아리나 제드를 할때 마음이 너무 편하다는게 문제죠..
피즈나 카사딘은 내가 킬을 못먹으면 1인분을 못할까 조바심이라도 나는데
아리나 제드는 그런거도 없죠 cs만 먹어도 1인분하고 둘다 생존기도 좋아서 쉽게 죽지도 않는 챔프구요
그런데 리스크 좀 주고 매혹 적중시 딜링은 오히려 증가하는건데..
정말 게임 편하게 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너프되고 인식이 안좋다 해도 쓸사람은 다쓰고, 잘하는 사람은 다 잘합니다.
뽀삐, 카르마, 딩거 같은거 주력으로 다이아 찍는 사람도 많은데 저정도 패치된다고 뽀삐,카르마,딩거 같은 캐릭된다는 보장도 없구요(물론 얘네들은 상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건이강이별이
13/10/11 11:36
수정 아이콘
피즈나 카사딘도 cs만 먹어도 충분히 1인분은 합니다.. 문제는 근접평타캐릭이라 cs먹기가 좀 까다로워서 그렇지;;
그런데 카사딘은 몰라도 피즈는 어느 순간부터 cs먹기도 안힘들던데요..
그리고 게임 편하게 생각하는거 아니냐고 윗댓글부터 말씀하시는데..
너프는 어느정도 모두 생각했습니다. 단지 너프도 한두개가 아니라 종합적으로 해버리니까 반발이 나오는거구요.
굳이 그렇게 공격적으로 댓글 다실 필요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13/10/11 11:40
수정 아이콘
너프된거만 보고 버프된거는 안보니까 문제이지요..
애초에 데파를 코어템으로 가는 이상 단일 타겟 누커로 생각한다는 건데..
숙련도에 따라 단일 타겟 누킹 능력은 상향되었지요
궁 지속시간 너프는 문제가 될수 있어도 다른부분은 해보지 않으면 모른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13/10/11 11:41
수정 아이콘
흥분했나보네요..덜덜
공격적으로 댓글을 달았다면 죄송합니다.
Physiallergy
13/10/11 11:49
수정 아이콘
1대1 딜량은 몰라도 매혹이 5명 다 들어가는 것도 아닌 한타는요?
그리고 전 유저의 1퍼센트도 안 될 다이아를 기준으로 잡으시는 건 좀 깨네요.
13/10/11 11:54
수정 아이콘
어느순간부터 아리가 데파를 코어템으로 가기 시작했죠.
예전에는 흡책 라일라이 어비셜 존야 모자 등등 다양했는데요
데파를 코어템으로 가는 순간 유저들이 아리를 단일타겟 누커로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라이엇은 그 의도가 아니었을지 모르지만 유저가 그렇게 만든거죠..)
다이아를 얘기한것은 인식이 나쁜챔프에 대한 제 의견을 얘기한것입니다.
조금 너프 되는 것 가지고 못쓰니 라이엇이 문제니 하는 댓글을 보고
아무리 관뚜껑 소리 듣는 챔프라도 숙련도가 올라가면 충분히 활용 가능한데
이번 패치로 아리가 저정도로 안좋은 챔프가 될 가능성도 크지 않아 보이니까요.
뇌업드래군
13/10/12 10:13
수정 아이콘
데파를 갈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흡책->라일라이 트리는 w뎀감소, 너프먹어서 선어비셜 빌드 쓰니 어비셜너프(...)를 당해버리니 한명이라도 잡자 해서 선데파 가게된거죠. 물론 데파는 그전에도 유용한 템이긴 했지만 말이죠.
13/10/11 11:55
수정 아이콘
오히려 데파 따로 매혹 따로 맞추고 둘다 Q로 긁으면서 한명죽일거 두명 죽이는 일이 될지는 모르니까요..
패치해봐야 안다고 생각합니다.
Judas Pain
13/10/11 11:29
수정 아이콘
한두 챔프만을 겨우겨우 파는 일반인이나 즐겜유저들에게 하드 너프 중심 밸런스 패치는 하드코어 소환사가 되던지 본업에 충실하던지의 선택지를 강요하는듯요..

아리 모스트들에게 애도를.
LikeDaniel
13/10/11 13:2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지금 아리 모스트인 사람들중에서 작년 섬머때 고인 패치를 받은 후부터 계속 해온 사람이 있을까요 ?
계속해서 자기 주챔이 너프에 너프를 먹어서 쓸 수 없게 되니까 아리로 갈아탄 것일겁니다.
Judas Pain
13/10/11 13:47
수정 아이콘
모스트와 꿀빨러의 정확한 비율은 모르겠지만 어느정도 아리를 파서 연구한 사람들이 있었으니, 환경이 갖춰졌을 때 주요 챔프로 올라섰지 싶습니다.
가을방학
13/10/11 11:34
수정 아이콘
이 와중에 딩거랑 제라스 리메이크 다 나왔네요 흐흐
흥미롭습니다.
이지투온
13/10/11 11:49
수정 아이콘
아리에 관한 흔한 오해가 논타겟 못맞춰도 암살이 된다는 생각이신데 조금만 플레이해보시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것을 알 수있어요.
서포터 와드박으러 오는거 데파 w r로만 녹인다? eq빗나가면 궁3타까지 다써야됩니다. eq안맞추고 잡으려면 미드에서 솔킬 세번이상 따고 로밍도 성공한 아리정도여야 가능해요. 블리츠같은경우에는 데파 e q w r까지 다맞아도 안죽는경우도 나옵니다.
아리가 대회에서 흥했을 때 임팩트가 워낙 강하게 남아서 그런 것 같네요.
라이엇에서 단일대상 누커로 아리를 보고 있는 것 같아서 패치를 이런식으로 하는 것 같은데 광역딜 너프먹으면 한타에서 별로 안좋아 질겁니다 아마도.
광역딜도 되고 암살도 되는 계수좋은 다른챔프를 쓰겠죠. 피즈나 그라가스같은
13/10/11 11:58
수정 아이콘
데파를 코어템으로 확정지은 유저들이 아리를 단일타겟 누커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지투온
13/10/11 12:03
수정 아이콘
데파를 코어템으로 확정할 수 밖에 없었던 지난 패치들도 있죠. 스킬데미지 너프와 어비셜 너프. 데파라도 가야지 한명 잡을 수 있으니 데파를 가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계수도 안좋은데 기본데미지까지 너프먹으니 데파를 첫템으로 가는거죠.
13/10/11 12:13
수정 아이콘
문제는 데파를 코어템으로 가서 강력한 챔프가 되었으니까요..
이지투온
13/10/11 12:16
수정 아이콘
데파가서 흥한경기가 많아서 그렇지 데파까지 가는길에 고생이란 고생은 다 해서 망해가는 아리도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주세요.
실제로 데파 갈 상황이 안나와서 집에 갈때마다 신발사고 증폭의 고서사고 와드사고 포션사고 하다보면 이보다 더 잉여한 챔프를 찾기 힘듭니다.

수정 : 피즈 첫 코어템이 리치베인인데 만약 리치베인이 도저히 갈만한 메리트가 없는 템으로 바뀌어서 피즈도 데파를 첫템으로 간다는 상황을 가정해볼게요. 피즈 데파 r q e w평타가 아리보다 훨씬강력합니다. 데파를 가서 강력해진 챔프가 아니라 다른 ap챔프가 데파를 가도 강력한 데 다른템이 더 좋으니깐 다른템을 가는 것 뿐이라 생각합니다.
13/10/11 12:31
수정 아이콘
첫코어템을 뽑는게 힘들정도로 라인전이 힘든캐릭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만약 그렇게 된다면 버프가 되겠죠..
이지투온
13/10/11 12:37
수정 아이콘
끄누님 말씀이 무난하게 첫템 데파 뽑아오는 아리 기준이신 것 같은데 실제 대회보면 데파 무난하게 뽑는 아리가 인상에 강하게 남아서 그렇지 그거 못뽑아서 하위템사고 마법사신발가고 이러는 아리도많이나옵니다
동급생
13/10/11 12:18
수정 아이콘
뭐,바라시는대로 너프가 됐으니 이제 안 강력해지겠죠 좋으실 듯^^
13/10/11 12:26
수정 아이콘
너프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좋은 방향으로 수정된것 같네요..덜덜
13/10/11 12:21
수정 아이콘
아리가 지금과 같이 좋은 스킬 구성과 매커니즘이 아니었으면 데파를 가는 컨셉조차 있을 수 없었겠죠.
롤에는 여전히 안쓰이는 마법사 혹은 암살자 챔프들이 많습니다.. 아리가 너프를 당해서 어쩔 수 없이 데파를 간 것이긴 하지만 요즘 그게 지나치게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맞고, 많은 챔피언 중에서 손에 꼽힐만큼 좋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지투온
13/10/11 12:25
수정 아이콘
위에 수정한 댓글에 참고로, 다른 ap챔프들이 데파 말고 다른템 가도 효율이 나와서 그렇습니다.
지금 등장 안하고있는 다이애나도 데파부터가면 아리보다 누킹쌥니다. 존야가 더 좋을뿐이죠. 브랜드, 애니 등등 안쓰는 챔프가 데파부터 뽑으면 아리보다 딜많이뽑는건 일도 아닙니다.
13/10/11 12:28
수정 아이콘
브랜드, 애니는 생존기가 없으니까요.
데파를 가서 한명을 순삭시키고 빠져 나올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것이죠.
한명 죽이고 죽자는 생각이면 애니,브랜드,다이애나도 데파를 쓸겁니다..
이지투온
13/10/11 12:32
수정 아이콘
한명죽이고 죽는다는 가정이 애매한데요. 선데스캡가도 생존기없는건 똑같습니다.
그리고 생존기도 뛰어난 피즈와 그라가스는요? 제가보기엔 피즈계수너프가 아리 너프보다 시급하다고 봅니다. 데파안가도 한명 짜르고 도망가는데 아주 최적화가 되어있죠.
13/10/11 12:53
수정 아이콘
다른 ap 챔프들이 데파 말고 다른템 가도 효율이 나오는게 아닙니다.. 많은 챔피언들에게 데파는 효율이 별로고 다른템을 갔을때 쓰일 수 있는 수준이다 정도가 맞는 표현인것 같습니다.
이지투온님께서 쓴 댓글을 읽어보았는데, 아리의 경우 망하기 쉽고 망했을 때 대책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시는데 이런 부분은 피즈와 그라가스 같은 챔프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오리아나 정도가 아니면 어떤 챔프든 카운터가 있고 후벼팔 수 있는 약점이 있습니다. 피즈와 그라가스는 아리보다 난이도가 높고, 스킬 맞추기 힘들고 초반 라인전도 어렵습니다. 그에 상응하는 댓가로 피즈에겐 높은 데미지가 주어졌고, 그라가스는 탱키함과 유틸리티가 있는 것이겠죠.
LOL에 존재하는 어떤 챔프던 망했을 땐 별로고 흥했을 땐 강합니다. 다만 챔프별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고 걔중엔 차이가 심해서 극단적인 스타일의 챔프들도 있습니다. 그런 챔프들은 보통 장단점이 뚜렷하고 리스크가 커서 잘 안쓰이구요. 아리는 그런 친구들에 비해선 훨씬 안정적인 편이고, 언급하신 많은 챔프들에 비해서도 확실히 그렇습니다.
이지투온
13/10/11 13:01
수정 아이콘
피즈 q 계수 0.6 / w패시브 0.35 w액티브 0.35 / e 0.75 / r 1
그라가스 q 0.9 / e 0.5 + ad계수 0.66 (w지속효과덕분에 공짜ad 최소 30) / r 1
아리(현재) q 갈때 0.33, q 올때 0.33 / w 0.4 / e 0.35 / r 0.35
계수합의 차이가 엄청납니다. 데파 제외 타 ap템 효율이 아리보다 잘나온다는뜻이죠

템이 똑같이 안나온다고 쳐도 피즈랑 그라가스는 원거리미니언 한방 파밍과 더티파밍이 매우쉽습니다. 아리는 안되고요. 복구 능력에서부터 엄청난 차이가 있어요. 그리고 요새 추세로 봤을때 그라가스와 피즈는 리스크에 비해 리턴이 엄청납니다. 리스크가 그다지 큰것도 아니고요. 나진과 나진소드 롤드컵에서 알렉스이치 피즈한테 나그네 아리가 매우 처참하게 발린것등, 정글러 개입 없다치면 피즈나 그라가스가 아리한테 별로 안쫄립니다.
제 말씀은 아리가 흥했을때 쎄다는 게 아니라 첫템을 데파로 강제 당할 수 밖에 없는데 데파때문에 아리 op설이 나돌기 때문에 이에대한 반론을 하는거구요. 다른챔프가 데파말고 다른템을 가도 효율이 안나온다는 말씀에는 동의가 안되네요
13/10/11 13:13
수정 아이콘
이지투온 님// 피즈랑 그라가스가 원거리 미니언 한방이 나오는건 8~9렙정도는 되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피즈는 특히 생존기를 파밍에 쓰기 때문에 리스크가 있기도 합니다. 때문에 초반 라인전에서 cs를 챙기는게 무척이나 힘들고, 첫 귀환이나 두번째 귀환까지도 상대보다 아이템을 더 잘 가져오기 힘듭니다.
아리가 피즈와 그라가스를 이긴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누가 이기고 지고 이런것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죠. 알렉스가 피즈를 잘 다뤄서일수도 있는겁니다. 또 나그네 선수는 인터뷰에서도 말했듯이 아리보다 다른 챔프에 비중을 많이 둬서 연습했다고 했죠. 그리고 피즈나 그라가스가 정글러 개입이 없다면 안쫄리는건 맞지만 정글러 개입시에 처참하게 망가지기도 합니다. 특히 피즈는 정글러 캠핑에 매우 취약하고 복구능력이 좋다는것도 말이 안됩니다. 그라가스야 안전하게 플레이하면 복구도 어느정도 가능하고 정글러도 회피하겠지만, 공격적으로 궁극기를 썼을 때의 그 좋은 기회비용을 상실하는 셈이죠.
마지막으로 '다른 챔프가 데파말고 다른템을 가도 효율이 안나온다' 이 말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것은 데파를 가면 어떤 챔프던 데미지 증가는 크지만, 그것이 효율 그 자체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실상 대부분의 챔프에게 데파는 데미지만 늘려줄 뿐 효율이 좋지 않은 템이고, 지금 쓰이는 다른 아이템들을 갔을 때 비로소 우리가 생각하는 정도의 효율이 나오는 챔프들이란 얘기였습니다.
이지투온
13/10/11 13:34
수정 아이콘
백학 님// 똑같이 망했을때 9렙 이후부터 원거리 미니언 한방에 필요한 템자체가 다릅니다.
피즈의 라인전 메카니즘은 카사딘과 비슷하죠. 6렙전까지 못먹다가 6렙부터 깡패되는 컨셉.
좀 다른점은 3렙때 피즈한테 함부러 덤비면 역으로 황천갈 수 있죠. 그리고 정글러 캠핑에 취약한건 아리도 매한가지입니다. 플래시라도 한번 빠지면 미드 하프라인 넘어가는것도 힘들죠. 그리고 피즈 e쿨이 그렇게 긴편이 아니라 파밍에 사용해도 됩니다. q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훌륭한 도주기가 될 수 있기때문이죠.

데파관련해서는 아리는 데파 말고 리치베인이나 성배를 가면 딜 기대값이 다른챔프와 현격하게 다릅니다.
다른챔프의 선택지는 넓은 반면 아리의 선택지는 90%이상 선데파밖에없죠. 데파나왔을 때 누킹 능력도 다른챔프에 비해서 월등하냐라고 생각하면 그정도도 아닙니다. 데파 못뽑으면 망하는 챔프라는거죠.
데파 3100원, 리치베인 3000원, 성배 2600원이라서 템 나오는 속도도 데파가 가장 늦습니다.
코어템중에 가장 비싼축에 속하는 템을 뽑아야 1인분이 되는 챔프라고 지금도 제약이 심한데 이걸 너프하는건 잘못된 방향이라고봅니다.
다른템을 갔을때 효율은 위에서 말씀드린 계수차이로 설명할 수 있겠네요.

[다른 ap 챔프들이 데파 말고 다른템 가도 효율이 나오는게 아닙니다.. ]위에 댓글에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다른템 가도 충분히 효율나오는 챔프들많습니다.
13/10/11 14:15
수정 아이콘
저도 피즈는 너프가 필요하다고 생각은 하고있습니다.
카사딘은 잘 모르겠구요.
애니나 브랜드 는 데스캡을 가는게 광역딜 측명에서 효과적이니까요.
이지투온
13/10/11 14:3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선데파 안가면 존재 의의 자체가 없어지는 아리를 굳이 너프해야 될 필요가 없다는게 제 결론이죠. 데파뽑기도 만만치않고 그돈으로 다른템 가도 효율이 타 챔프보다 안나오고. 생존좋은거야 챔프자체의 컨셉이죠.
w r 데미지너프 + 어비셜 너프때문에 고인행 될뻔한거 데파때문에 연명하고 있는거지 절대 op챔프가 아니라는 말씀이고 이 부분에서는 끄누님과 저의 의견차이가 있는거고요.
지금도 한타에서 한명 순삭 못하면 그다지 좋은 챔프가 아닌데 여기에 광역딜을 없앤다 라는건 패치방향이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뜬금없는 칼질로 고인확정한 트페,라이즈를 보고서도 아리까지 고인만드는건 좋은방향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13/10/11 14:39
수정 아이콘
이지투온 님// 너프는 혹은 수정은 필요했습니다. 랭크게임 픽밴율만 봐도 알 수 있는거죠.
확실한건 매혹을 맞출경우 1명 삭제 능력은 증가 했다는거죠..
또한 e에 데미지 증가가 생겨서 데파가 아닌 다른템으로도 충분한 딜이 나올 가능성이 있구요(매혹을 맞춘다는 가정하에)
오히려 숙련도가 높은 유저에게는 데파가 아닌 다른템트리를 탈 수도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계속 말씀드렸듯이 숙련도 없이 챔프 빨로 하는 사람이 너무 많으니까요..
이지투온
13/10/11 14:55
수정 아이콘
끄누 님// 아리 픽밴률 올라간 시점이 라이즈 고인패치 이후입니다. 대항마가 없기때문에 픽하는것일 뿐 챔프 자체가 op가 아니죠. 픽밴률 올라가서 너프한다 라는 생각 이전에 왜 픽밴률이 올라갔는지에 대한 분석과 이에대한 문제해결이 먼저죠. 매혹못맞추면 단일 딜 하향에 광역딜은 볼것도 없이 하향 이런 패치를 하기 전에 뭐가 근본적인 문제인지 고민하는 모습이 없습니다 라이엇 패치팀은. 만약 이 패치로 아리 고인되고 다른챔프 픽밴률이 올라가면 그거 또 너프하고 또다른거뜨면 또너프하고 또너프하고 다양한 챔프 보고싶다고 너프하는게 오히려 다른 챔프 픽밴률 올라가는 결과만 낳고 있습니다. 많이보이니깐 너프,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그냥 강해보이니깐너프 이런식보다는 카운터버프를 해준다던가 아이템 성능을 바꾼다던가 식으로 하는게 게임 다양성 측면에서 도움이 더 될겁니다. 멀쩡한 챔프 고인만드는 패치는 그동안의 패치역사가 보여주죠.
13/10/11 14:57
수정 아이콘
끄누 님// 아리가 이득봐야 하는 초중반에 매혹이 맞아야 이전수준의 데미지가 나오는데 데파를 안 갈수가 없죠. 지금도 데파 안가면 암살이 불가능한 딜수준입니다.

6레벨 기준으로 매혹 맞추면 추가 AP가 없는 상황에서 딱 데미지 10 더들어가고, 계수까지 생각하면 e 맞추고 풀콤 넣어야 데미지가 똑같게 들어갑니다. 이런 상황에서 데파를 생략 한다는건 말이 안되는데요. 결국 몇몇 고인 챔프처럼 소수의 장인만 하는 챔프가 될겁니다.
닥터페퍼
13/10/11 11:51
수정 아이콘
하...... 아리가 모스트 챔인 실론즈는 웁니다.ㅠ
라이즈를 관짝에 쳐박더니 이제 아리까지.. 미드는 이즈나 써야겠네요ㅠ
켈로그김
13/10/11 11:55
수정 아이콘
베이가 : 일루와~
13/10/11 12:09
수정 아이콘
솔까말 데파가 코어템이 된이유도 아리가 너프가되서죠.
희망의레이스
13/10/11 12:1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너프되면서 데파없으면 아무것도 못 하는 챔프가 되었죠.
세종대왕
13/10/11 12:17
수정 아이콘
지금 아리딜이 너무 세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아리 너프는 환영이네요.
너프 하는김에 제드도 좀 너프시키지...
다레니안
13/10/11 12:23
수정 아이콘
드디어 밴카드 하나를 자유롭게 쓸 수있겠군요. 하는김에 제드랑 카사딘도 좀...
저 신경쓰여요
13/10/11 12:25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패치 환영이네요. 아이 신나
페스티
13/10/11 12:25
수정 아이콘
뭔가 버그나 꼼수가 없는 이상 그대로 고인행 될 것 같네요.
희망의레이스
13/10/11 12:28
수정 아이콘
제드도 e에 슬로우나 좀 없애줬으면 좋겠네요. 계수 낮추고.
정육점쿠폰
13/10/11 12:30
수정 아이콘
일단 제드부터 고인을 만들고 나서 아리를 손보던가 하지. 궁 한방으로 추가AD계수가 7까지 올라가는 유래없는 미친 챔프인데.
13/10/11 12:35
수정 아이콘
아리는 마법사 혹은 암살자 챔프들 중에서 독보적인 추노/도주 능력 그리고 LOL 최강의 cc인 매혹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드는 논외로 하죠.. 제드는 현재 필밴이고 아마 근시일내에 반드시 너프가 될겁니다
제 생각엔 패치내용처럼 전체적인 데미지 기대값을 줄어드는게 여러 면을 생각해봤을때 올바른 해결책이라고 봅니다.
아리는 사거리를 이용한 견제도 괜찮은 편이고, 갱 호응이나 소규모 교전에서도 좋습니다. 애초에 상대 체력 관리를 힘들게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아리가 매혹을 맞추지 못해도 w와 r 데미지로 킬을 따는 경우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체력 관리를 못해서 그런거라고 하기엔.. 70~80퍼센트의 체력을 가지고 있어도 죽는 경우도 많고.
100퍼센트 체력일때 죽는다/안죽는다 이런건 의미가 없는 얘기인게 애초에 그런 상황에서 킬 시도하는 아리는 없으니까요. 코어템 하나 이상 나오기 전에 100퍼센트 체력의 상대를 원콤내는건 르블랑이나 신드라 정도가 스킬을 모두 맞췄을때 아니면 거의 없죠. 그렇다고 이 둘이 아리보다 좋은 미드라이너는 아니잖아요? 뚜렷한 약점도 있는 챔프들이구요.
루키즈
13/10/11 12:51
수정 아이콘
매혹데파 콤보는 어떻게 되는거죠
중첩되나..
13/10/11 12:56
수정 아이콘
이런 컨셉을 줄거면 차라리 조건 두개만 더 줬으면 좋겠네요.
[W: 여우불 - 이제부터 매혹에 걸린 대상을 우선적으로 공격합니다.]
[R: 혼령 질주 - 이제부터 매혹에 걸린 대상을 우선적으로 공격합니다.]
할 거라면 확실하게 해 버리는 겁니다.
가을방학
13/10/11 13:15
수정 아이콘
이건 좋은거 같네요~
탱구와댄스
13/10/11 13:05
수정 아이콘
트린다미어 e스킬도 너프했던데 라이엇 얘넨 뭔 생각으로 패치 하는지 모르겠네요. 트린다미어 버프해도 모자란데 너~~프? 진짜 패치 이따위로 계속 할 생각인가......
13/10/11 13:12
수정 아이콘
트린은 북미솔랭기준 자이라나 카사딘보다도 승률이 좋아서 손 댈만 했죠
13/10/11 13:35
수정 아이콘
저는 쿨타임쪽을 손볼줄 알았는데...
Jealousy
13/10/11 14:20
수정 아이콘
뭐 합당한 너프라봐요 아리요즘해보는데 적당히 평타만쳐도 데파궁wq만써도 원딜이나 서폿이 녹더군요 근데 제드부터좀하지;
포프의대모험
13/10/11 14:21
수정 아이콘
너프전엔 다이애나처럼 투도란 마관신 어비셜 갔죠
w너프 어비셜너프 궁너프 다쳐맞고 관짝에 반쯤 누웠는데 남들이 뚜껑덮고 못질하는 사이에 간신히 기어나온 챔프를 또 죽이네요
13/10/11 14:42
수정 아이콘
[[아리의 매혹은 아리가 주는 모든 마법 데미지를 증폭시킵니다.
죽음불꽃 손아귀, 리치베인, 리안드리의 고통 등등 모두 20% 추가 데미지를 주게 됩니다.
죽음불꽃 손아귀의 사용 효과와는 스택되므로, 그 둘을 모두 맞은 불운한 표적에게 들어가는 아리의 마법 데미지는 44% 증가합니다.]
]


매혹 관련해서 개발팀에서 위와 같이 추가 답변을 달아서 첨부합니다~
13/10/11 14:49
수정 아이콘
그냥 그만해야지...

아리는 지금도 데파 빨로 버티는거지 전혀 OP가 아닙니다. 관짝 들어간거 다른 챔프 슬금슬금 너프당하고 리메이크된 데파랑 시너지가 나오면서 간신히 쓰이는거죠. e 못맞추면 지금도 서폿밖에 순삭 못하고, 어지간한 ap누커는 서폿따위 궁 안쓰고 순삭시키는게 지금 세상인데 무슨 아리만 OP라고 억지주장 하시는분 많군요.

너프 할거면 제드부터 해야죠. 그림자 한번 돌리면 광역딜 되고, 궁으로 상대 cc 씹으면서 접근도 되고 부족한 것 없는 OP죠. 아리요? 처음 디자인 컨셉때는 다양한 유틸리티 능력으로 템도 여러가지를 갔지만 이젠 르블랑이랑 다를 것도 없습니다. 암살로 킬 못내면 바로 썩어들어가죠. 심연의 홀 너프되고 관으로 들어갔다가 데파덕에 다시 관차고 나온건데 건드릴거면 데파를 건드려야지 무슨 패치만 했다 하면 챔프 고인 만들기 바쁜건지...

다른 미드 챔프도 데파 선템으로 가져가면 아리 수준으로 암살 가능합니다. 굳이 위험부담 있는 암살빌드 안 타도 중반이후 활약이 가능하니 가지 않을 뿐이죠. 아리는 지금 데파 안가면 중반에 딜을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고요.
13/10/11 15:10
수정 아이콘
다른 미드 챔프는 아리처럼 데파 가면 아리 수준으로 암살 못하죠...

아리처럼 "빠르게 접근 → cc넣고 순삭 → 안전하게 도주" 가능한 챔프가 있나요.. 르블랑 정도?

미드 챔프 중 제드,오리아나,아리,피즈+(카사딘,그라가스)는 소폭 너프 해서 미드에 춘추전국시대가 왔으면 좋겠네요..
13/10/11 15:14
수정 아이콘
그 외의 챔프도 암살은 가능 합니다. 굳이 저렇게 킬 내려고 안달 안 해도 파밍만 해서 템 맞추면 중반에 딜이 되니까 도주스킬도 없는 챔프로 무리하게 킬을 따내야 하는 데파빌드 갈 이유가 없는 것이죠.

아리는 저렇게 위험부담 있는 암살로 초중반에 이득 못 보면 중반 넘어가서 1인분 하기가 쉽지 않으니까 선데파 암살에 목숨거는 트리를 타는 것이고요.
13/10/11 15:13
수정 아이콘
아리의 매혹은 트루뎀을 증폭시키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마법데미지' 만 증폭된다고 하네요.
즉 q의 돌아오는 데미지는 증폭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아리 너프방향에 대해서 반대 의견을 내자면,
아리는 이미 깡뎀을 너프당한 챔프죠.
선데캡을 가도 딜이 어정쩡해서 잘 안쓰이던 챔프였고,
선데파 아리는 암살자능력을 올려주어 아리를 다시 1티어로 올라오게 만들었죠.

아리의 매력은, 암살자와 한타지향형 챔프의 중간점에 있다는겁니다.
암살에'만' 특화된 챔프( 르블랑,카사딘,탈론,피즈 )
한타에'만' 특화된 챔프( 오리아나,카서스 등등 )
이 중간점에 위치하는 몇안되는 챔프란 말이죠.
이번 너프로 인해 아리의 역할이 조금 더 르블랑 , 피즈.. 이쪽으로 치우치고 말았죠.
매력적인 챔프하나 사라지고, 르블랑 탈론 처럼 암살에만 기댈 수 밖에 없게 변경되었으니...
아쉽군요.
곧 '아통기한' 이란 단어가 생기겠군요.
13/10/11 15:17
수정 아이콘
챔프 컨셉 무시하고 너프해서 고인 만드는게 라이엇의 종특이다보니 챔프들이 점점 더 몰개성화 되는 것 같습니다.
13/10/11 15:20
수정 아이콘
기본 스킬들 좀 놔두고,
유틸적인 측면(궁)만 소폭하향 했으면 좋을거 같은데...
한번에 너무 많은걸 너프하네요 라이엇은... 에휴..
전기돼지
13/10/11 16:22
수정 아이콘
고인제조기 갓렐로
13/10/11 16:44
수정 아이콘
라이엇의 주장인 이번 [아리 패치는 너프가 아니다. 매혹을 맞추면 오히려 버프다] 라는 주장에 다소 의구심이 들어서 계산해봤습니다.

1. 이번 패치의 중심에 있는 매혹의 변경점입니다. 본문과 다르게 해석될 부분이 있어서 원문을 첨부합니다.

[Now increases the magic damage Ahri deals to the target by 20% for 4 seconds]

4초동안 아리가 가하는 마법 데미지가 20% 증가합니다. 그렇습니다. 아리가 가하는 데미지라고 다 증가하는 게 아닙니다. 아리의 스킬 데미지라고 다 증가하는 것도 아닙니다. 증가데미지는 마법데미지에 한정됩니다. 죽음불꽃 손아귀의 액티브 데미지 역시 뻥뎀이 적용되기 때문에 최대 체력의 3%만큼 데미지가 더 들어가는 것은 참 기쁜 일입니다만, 아리 딜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현혹의 구슬의 고정 데미지'에는 데미지 증가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이제 패치전후 스킬 데미지의 변화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아리의 단일대상 누킹능력이 척도이므로, 여우불의 경우 3타가 모두 매혹을 맞은 챔피언에게만 들어갔다고 가정합니다.(가정이 깨질 경우 기대 딜링은 낮아집니다.) 그리고 주문력 계수의 경우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겠습니다.

i) 현혹의 구슬(Q)

기존 데미지 : 40/65/90/115/140 (+0.33AP) [마법 피해 ] + 40/65/90/115/140 (+0.33AP) [고정 피해]

패치 후 데미지 : 40/65/90/115/140 (+0.33AP) [마법 피해 ] + 40/65/90/115/140 (+0.33AP) [고정 피해]

패치 후 데미지(매혹 효과 적용) : 48/78/108/138/168 (+0.4AP) [마법 피해 ] + 40/65/90/115/140 (+0.33AP) [고정 피해]

패치 후 매혹을 맞히고 Q를 맞히면 기존 Q의 데미지보다 8/13/18/23/28 (+0.07AP) 만큼의 데미지가 더 들어갑니다.

ii) 여우불(W)

패치 전 데미지 : 80/130/180/230/280 (+0.8 AP)

패치 후 데미지 : 64/104/144/184/224 (+0.64 AP)

패치 후 데미지(매혹 효과 적용) : 76.8/124.8/172.8/220.8/268.8 (+0.77 AP)

패치 후 매혹을 맞히고 W를 풀히트시키면 기존 W의 데미지보다 3.2/5.2/7.2/9.2/11.2 (+0.03 AP) 만큼의 데미지가 적게 들어갑니다. 뭐 별 차이 없네요.

iii) E(매혹)

매혹 자체는 증뎀의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변화가 없습니다. 마나소모 증가는 좀 아프겠네요.

iv) R(혼령 질주)

패치 전 3타 데미지 : 255/375/495 (+1.05 AP)

패치 후 3타 데미지 : 210/315/420 (+0.75 AP)

패치 후 3타 데미지(매혹 이후 3타) : 252/378/504 (+0.9AP)

이 경우, 패치 전에 비해 1렙궁의 경우 -3, 2렙궁의 경우 3, 3렙궁의 경우 9만큼의 데미지 증가-_-;;;가 있으며, AP계수는 0.15 감소합니다.

패치 후 3타 데미지(궁-매혹 이후 2타) : 238/357/476 (+0.85AP)

이 경우 상당히 슬퍼집니다 패치 전에 비해 17/18/19 (+0.2AP) 만큼 감소하네요.

3. 만렙 아리의 전체 딜링의 변화는 본문의 내용을 첨부합니다. 제가 구한 값들이랑 계산해보니까 반올림 오차범위 안으로 판단됩니다. 본문의 계산내용이 매혹증뎀이 적용된 내용이라는 거죠.

•아리(기존): 575 (+2.85 AP) [매혹 명중], 515 (+2.5 AP) [매혹 빗나감]
•아리(패치 후): 587 (+2.73 AP) [매혹 명중], 559(+2.68 AP) [궁-매혹 이후 풀콤보] 454 (+2.04 AP) [매혹 빗나감]

데파의 전체체력 3% 추가데미지를 생각해봅시다. 만렙 원딜 기준으로 체력이 약 2000정도 된다고 했을 때, 추가데미지가 60정도라고 보면, 주문력 0 기준(주문력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패치 후 아리의 딜링보다 패치 전 아리의 딜링이 강해집니다.) 패치 후 매혹-데파-RQWRR 콤보의 추가데미지는 75정도네요. 매혹 이전에 선궁으로 파고들기라도 했으면 추가데미지는 40정도로 떨어지고요. 물론 이 데미지는 패치 후 아리의 데미지가 패치 전에 비해 가장 강해보이도록 조작된 환경 하의 데미지입니다.(데파 뻥뎀이 가장 많이 나오도록 원딜의 체력을 높게 설정한 것, 아리의 레벨을 스킬 깡뎀 차이가 가장 큰 만렙으로 설정한 것, 패치 후 낮아진 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것) 경기 중반 원딜의 체력이 1500~1800수준이라는 것과, 만렙 이전 아리의 경우 스킬 깡데미지 차이가 더 적게 난다는 것 데파가 갓 나온 아리도 주문력이 150이 넘어간다는 것 등을 따지면 차이는 더 좁아집니다. 아리가 데파-2도란-심연의홀 정도 나오면 특성 합쳐서 250정도 주문력이 나오는데 상대 원딜 체력 1500정도로 설정하면 차이가 더 줄어들어서 전자의 경우 데미지 30정도밖에 차이 안나고 후자의 경우 역전됩니다.


이게 뭐라고 이렇게까지 계산을 하고 글을 썼는지 모르겠지만. 저거 그냥 너프라고 봐야 돼요 ㅠ.ㅠ 아리가 맞출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풀콤을 맞춰도 예전보다 나을 게 거의 없다시피 하고 그 외의 상황에선 딜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개인적으로 라이엇이 왜 매혹 맞추면 딜 올라간다는 코멘트 달았는지 이해가 안가요. 자기들 계산 하에서도 딜 거의 안올라간 게 보이는데..
13/10/11 16:57
수정 아이콘
라이엇 답변보다가 그냥 든 생각인데

매니리즌 선수가 변칙적으로 갔던.. 삼도류 아리의 딜은 올라갔네요..
(리치베인도 20% 증뎀..)

의도한건 아니겠지만....
13/10/11 16:59
수정 아이콘
영관은 요즘 뭐하고 지내는지 ㅠ.ㅠ
13/10/11 17:09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단순히 생각해도 20% 증뎀으로는 기존보다 더 '높은' 데미지를 줄 수가 없습니다 -_-
25%~30%정도는 되어야 매혹을 맞췄을 때 강력한 데미지, 그 외에는 그저그런 데미지라는 컨셉에 부합하죠..
게다가 궁을 10초에 나눠쓰는게 참 좋았는데.. 7초라니!
13/10/11 17:07
수정 아이콘
모르겠네요

아리가 더 강력해지던 아니던 상관없지만

데파가 아니면 소위 스웨인류의 여러명에게 분산대미지를 주는 아리의 QWR딜메커니즘은 현재메타에선 안그래도 쓰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그동안의 너프로 아리가 고인이였다가 그나마 데파덕에 요즘 많이 픽되는 이유기도 하구요

그런데 이건 아리의 스킬계수와 궁을 꾸준히 너프했기때문에 요구하는 정답이 암살하나만 남아버려서 이렇게 되버린거지

애초에 아리를 암살자로만 쓸이유도 그러고싶어서도 아니죠

이런 너프의 순서가 챔프를 하고싶지 않게하고 재미를 떨군다는게 불만인거에요

QW로 광역딜을 주면서 E로 상대한명을 cc를 넣고 R로 포지셔닝을 바꿔가며 오랜생존 + 지속딜 컨셉이 가능했던때 역시

잘못크면 이도저도 아닌챔프인데도 꾸준한 계수와 궁쿨너프로 고인을 만들고 그래서 유저들이 그렇다면 바뀐데파로 암살하는건 쓸만하다

해서 사용하니까 암살이 너무 강력하니 e안맞으면 그냥 완전 잉여챔프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같은 너프가 반가울리가 없죠 스킬디자인을 건드리던가 아니면 계수조정을 다시해서 로밍이 강력하고

한타때 생존시간이 길면서 지속딜을 하는 트페컨셉의 아리나 데파암살아리등을 상대조합을 봐서든 개인 취향이든

유저스스로 선택하게 할수 있어야 맞는 패치이고 제대로된 챔프 디자인이죠

제드나 탈론처럼 스킬셋이 암살전용인 챔프도 아닌데 왜 대체 라이엇이 강제로 암살챔아니면 못쓰게 만드는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13/10/11 17:13
수정 아이콘
능력부족 아니면 설명이 안된다고 봅니다. 다재다능한 메이지로 디자인한 걸 밸런싱 어렵다고 본인들 손으로 뒤집어 엎은 격이니까요.

작년 여름까지만 해도 '아리는 누커라기보단..'하는 말이 나왔는데 지금은 순간누킹 아니면 답이 없는 챔프가 되어가네요
Machiavelli
13/10/11 17:18
수정 아이콘
아리 수고하셨습니다. 관뚜껑 닫겠습니다
탱구와레오
13/10/11 18:47
수정 아이콘
아리 안해서 상관은 없는데..

참 너프오브너프네요... 모렐로가 몇달전에 얘기한 완벽한 밸런스의 아리는 어디로?
정형돈
13/10/11 19:55
수정 아이콘
럼블처럼 장난질쳐놨네요.
이렇게 하면 쎄요^^하면서 실제딜량은 뼈아픈 너프
밀가리
13/10/12 14:25
수정 아이콘
제드 E스킬 쿨타임 증가 너프 먹고, 고인소리 들었죠. 그러나 지금은 OP. 아리도 마찬가지 일거라고 봅니다. 지금처럼 1티어는 아니지만 계속 쓰일 듯
안드로마케
13/10/17 11:41
수정 아이콘
지금 제드가 오피가 된건 카직스와 제이스 너프의 여파가 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583 [LOL] 강력해질 예정인 정글러,서포터(1) [38] 사랑비8680 13/10/25 8680 1
52581 [LOL] 1정글+1로머 전술은 시즌4에서 부활할수 있을까? [30] 마빠이9478 13/10/25 9478 0
52580 [LOL] 시즌4. 와드 개편안이 공개되었습니다. [101] Leeka10367 13/10/25 10367 1
52579 [하스스톤] 전사 덱 소개 [진격의 가로쉬] [5] 이호철10529 13/10/25 10529 2
52578 [하스스톤] 기본적인 플레이 팁: 핸드 우위에 대하여 (+ 평범한 법사덱 소개) [30] 삭제됨16866 13/10/25 16866 1
52577 [스타2] 밸런스 테스트용 신규맵 추가 [12] 저퀴8509 13/10/25 8509 0
52576 [LOL] 클템. 이현우 해설의 데뷔??.. 가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72] Leeka12035 13/10/24 12035 6
52574 [하스스톤] PvP가 아닌 PvE 추가를 기대하며.. [19] Lumines8141 13/10/24 8141 0
52573 [하스스톤] [망상글] 차후에 추가될 것 같은 녀석들 [28] 이호철11565 13/10/24 11565 0
52572 [LOL] 시즌4 한국 공식 AMA가 시작되었습니다. [23] Leeka8770 13/10/24 8770 2
52571 [하스스톤] 왜 난 늘 카드가 이상하게 나올까? #9 [15] Leeka7257 13/10/24 7257 0
52569 [하스스톤] 마법사라면 마법을 써야됩니다. [10] 모챠렐라7510 13/10/24 7510 0
52568 [LOL] 시즌4 변경 사항이 1차 공개 되었습니다. [79] Leeka11917 13/10/24 11917 1
52566 [하스스톤] 나도 투기장에서 대박 한 번 쳐보자! - 흑마 덱 짜기 [13] 루윈9266 13/10/24 9266 2
52565 [하스스톤] 전사 덱 소개 + 덱 변천사입니다 [19] 반반쓰9008 13/10/23 9008 0
52564 [하스스톤] 정신지배 수정 예정이 떴습니다. [42] Leeka9764 13/10/23 9764 0
52563 [공지] 피지알 기부 프로젝트 결과 공유 [20] Toby5658 13/10/22 5658 12
52562 [하스스톤] 사냥꾼 원턴킬 플레이 영상 입니다. [26] 현실의 현실12364 13/10/23 12364 0
52561 [기타] C&C 온라인에서의 한국 [20] 눈시BBv311532 13/10/23 11532 3
52560 [하스스톤] 변태사제 덱을 소개합니다 [13] 굴리9392 13/10/22 9392 0
52559 [기타] 오늘 킬링캠프 엄재경 해설 편 잘 봤습니다. [151] LEADA12332 13/10/22 12332 3
52558 [LOL] 프로의 플레이로 보는 징크스 리뷰 [43] 사랑비11772 13/10/22 11772 0
52557 [LOL] 대만 LOL 프로리그가 출범했다고 합니다. [34] 마빠이9137 13/10/22 91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