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12 12:33:39
Name kimbilly
Subject 곰TV, GSL Oct. 결승전을 Blizzcon 2011 에서 개최
GSL 과 GSTL이 새로운 포맷으로 시작한지 벌써 3주 가량 흘러가고 있습니다.
초기에 이러한 새로운 포맷을 기획할 때 상당히 고민도 많았고 잘 될지 걱정도 많았지만
많은 분들이 재미있게 GSL을 즐기고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GSL과 MLG는 선수 연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으며
금번 MLG Anaheim의 출전 선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종현, 박수호, 문성원, 임요환 (Champions Pool 시드)
이형섭, 김동주, 양준식 (Oepn Bracket)

해외 대회에서 언제나 최고의 성적을 보여주는 모든 GSL 선수들에게 행운을 빕니다!

아울러 최근 해외 대회들을 보며, 많은 분들이 GSL 결승을 해외에서 개최하면 어떨까에 대한
여러 의견을 나누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해외 결승에 대해 요청하였으며 MLG Columbus 에 갔을 때
GSL의 해외 결승이 의미가 있을 거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GSL은 전 세계 모든 e-sports 팬들의 축제가 되길 원합니다.
한국 내에서만 즐기며 한국이 최강이 되는 그런 대회를 만들고 싶진 않습니다.

한국 게이머들은 언제나 해외 게이머들과 경쟁하고 있으며, 잦은 해외 대회에도 언제나 경쟁을 위해
날아갈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팬 분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정말 즐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GSL은 해외 대회 결승을 결정하고 준비 했습니다.

이 결정은 저희에게도 쉬운 결정이 아니었습니다. 해외로 가서 방송 제작하고 송출하는 문제, 스텝들의 이동 등
모든 것이 처음이며 도전 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GSL을 위한 가치 있는 도전이며 언젠간 해야 할 일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듯 블리즈컨은 매년 미국의 애너하임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블리자드 게임을 사랑하는
모든 여러분들께 최고의 축제입니다.

그 최고의 축제인 블리즈컨에 GSL Oct. 결승이 함께 합니다.

GSL 최초의 해외 결승전 협조에 많은 도움을 주신 파트너 블리자드 에게 정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도 곰티비와 블리자드는 단단한 파트너십을 통해 여러분들께 새로운 경험을 지속적으로 선사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올 연말에 개최되는 대회들로 여러분들께 깜짝 놀랄만한 소식을 전해드릴 것입니다.
(몇 번 언급해 드렸지만 조금 새로운 대회와 Blizzard Cup 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http://esports.gomtv.com/gsl/community/view.gom?mbid=1&msgid=1914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루빨리
11/07/12 12:41
수정 아이콘
소식보고 놀랐습니다. 해외결승이라니 해외결승이라니!! 매번 새로운 시도로 찬사를 얻는군요.

블리즈컨에 참가하는 북미사람들은 채정원 해설 찬양할듯... '오~ 채땅굴~' 하하하
아나이스
11/07/12 12:42
수정 아이콘
게이머의 이목이 집중되는 블리즈컨에 GSL 결승이라니 괜찮네요. 오히려 국내보다 더 많이 관중 올라나?

왜 이렇게 상해에서 하는 프로리그 결승이 머릿속에 오버랩되는지 -_-
The xian
11/07/12 13:01
수정 아이콘
블리즈컨에서 벌어지는 GSL 결승전이라. 좋은 시도로군요.

무엇보다 저는 차기 대회의 계획을 미리 밝혔다는 점을 괜찮게 봅니다. 미리 방향을 알려 주는 것이 여러 면에서 좋지요.
Demon Hunter
11/07/12 13:02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이렇게 밝히고 해외 결승하는 것과 리그 막바지에 해외 결승 하는 것의 차이..
11/07/12 13:05
수정 아이콘
대박이네요..
우리나라 모든 분야에서 global 이름 걸고 주도적으로 한 것 중에 GSL 만큼 정말 global 한걸 본 적이 없네요. 멋집니다.
11/07/12 13:06
수정 아이콘
기획만큼은 확실히 GSL이 잘하고 있습니다. 팬들 호응도 좋구요 여러모로 블리즈컨에서 결승이라 이것도 정말 맘에 드네요.. 문제는 매번 나오는 '역시 GSL! 이래야 내 GSL답지!'라는 말 듣는 방송사고가 걸리네요.
아주 최근에 제가 본건 코드A개막경기 이후 다음 코드S 소개할때 지난대회 스폰서명칭으로 다음경기 소개가 됐었죠. 그래서 이번에도 그 스폰서인가 했는데 나와보디 스폰서는 전혀 다른 펩시.. 제가 스폰해주는 기업이였다면 굉장히 어이없고 화날 상황이였죠..

이런 자잘한 방송사고만 없었음 좋겟어요~~~~~~~~`````
이스트
11/07/12 13:11
수정 아이콘
정말 좋네요.
이제 진짜 남은건 해외선수들의 기량이 한국선수들 수준으로 성장하는것뿐.
크리스 선수, 진로 선수, 이드라 선수 생각해봤을떄 재능은 외국선수들도 한국선수만큼 있지만 환경이나 노력이 뒤쳐져있는것 같아요.
으랏차차
11/07/12 13:35
수정 아이콘
오...... 해외 팬들에게는 빅뉴스겠군요!!!!!!

한국에서 하는거하고 해외에서 하는거하고는 분위기 자체가 다르겠군요!!!
개념은?
11/07/12 13:37
수정 아이콘
흠... 근데 라이브중계는 어떻게 될까요. 방송으로 쏘는것도 아니고 인터넷 중계인데 지금처럼 고화질 회선이 지원이 되나요?
지금 곰tv 해외로 스트리밍 서비스하는건 고화질이 지원안된다는 지나가는 말을 예~~전에 들었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고...
고화질 회선이 연결이 되있을라나...

방송 문제만 덜어낸다면 인기하나는 쩔겠네요. 엄청난수의 관중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1/07/12 16:45
수정 아이콘
해외 대회 유치에 앞서 관계자 분들이 유념해야 될 부분이 몇 가지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미국 관중들은 BO7(7판4선승제) 하나만을 보기 위해 GSL을 보러 가지는 않을겁니다.

MLG,NASL을 보러 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일을 풀로 쓰기 위해 장거리 여행을 계획하는 '여행객'들입니다. 땅덩이가 어마어마하게 넓은 북미는 한국처럼 '아 심심한데 오늘 결승전이나 보러 갈까?'하고 마음먹고 당일치기로 가거나 그럴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스타2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체계적으로 일정을 잡고 자잘한 스케쥴을 짜고 숙박할 호텔이나 여관, 주차할 곳 등등을 알아보고 그러면서 비행기를 타고 날아오거나, 10시간 이상 차를 운전하고 오고 하는게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게임을 정말 좋아하는 골수 팬들이 걸러지듯이 모일 수밖에 없고 그래서 호응도 좋습니다.

헌데 아무리 게임을 좋아한다고 해도 꼴랑 결승전 7판 4선승 하나... 이거 하나를 보고 돌아가기 위해 비행기를 예약하거나, 10시간 12시간 차 운전을 하러 올 사람은 정말 GSL을 평소에 좋아하고 꼭 결승전을 보고 싶어하는 골수 팬들을 제외하고는 그렇게 많지 않을겁니다. 따라서 GSL'만'을 보러 MLG나 드림핵, NASL급의 인원이 올 것을 기대한다면 정말 큰코 다칠 가능성이 있어요.

다행히도 블리즈컨에서 개최를 한다면 위에 말했던 관중수 문제는 해결된다고 봐도 됩니다. 블리즈컨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다 결승전을 보러 올테니까요. 하지만 이 경우 엉뚱하게 정 반대의 다른 단점이 부각되는데, 바로 위에서 말했던 GSL을 보고 싶어하는 소수의 골수 팬들이 GSL을 보러 오지를 못 하게 됩니다.

블리즈컨 티켓은 이미 오래 전에 매진되었기 때문에 지금 와서는 구할 방법이 전무합니다. 블리즈컨에서 GSL 결승을 한다는 얘기를 진작에 들었으면 블리즈컨 티켓을 산다고 나섰을 사람들이 지금보다 훨씬 많을 겁니다. 하지만 지금 와서는 티켓을 구할 방법이 없고, 따라서 GSL을 보러 오고 싶어하는 골수 GSL 팬들이 GSL을 보러 올 방법이 없습니다. 기껏 해외에서 개최되는데 티켓이 없어서 가지를 못하면 북미 사람들 입장에서 얼마나 억울할까요?

윈윈할 수 있는 전략은... 블리즈컨 티켓을 산 사람들은 일단 GSL을 볼 수 있게 하고, 또 따로 블리즈컨 티켓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GSL 티켓을 판매하는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앞서 말했듯이 블리즈컨 없이 7판 4선승제짜리 GSL만을 보러 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그렇게까지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머리 속에 숙지해 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오고 싶어하는 골수 팬들을 위해 이러한 티켓을 제공하는 것은 필요해 보이고요.
Lainworks
11/07/12 16:58
수정 아이콘
3,4 위전도 가서 했으면 좋겠네요. 가능하다면.

그리고 그 전전주쯤에 GSTL 이 끝나있을텐데
GSTL 의 다승주자들 잘 뽑아서 비너스리그 vs 주피터리그 올스타전 해도 재밌을것 같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897 2002년 풋풋했던 그들 [18] 정열6956 11/07/15 6956 5
44896 프로토스전 퀸의 활용 [20] 다레니안5655 11/07/15 5655 0
44895 스카웃의 봉인해제를 위하여.. [82] mirtoss6180 11/07/15 6180 0
44893 스타2 게임단 SlayerS 팀, 스타2 최초로 여성 게이머가 입단. [95] kimbilly10297 11/07/15 10297 0
44892 대 저그전 옵티컬 플레어의 활용에 대하여 [30] 소디10250 11/07/14 10250 0
44891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2) [119] SKY923973 11/07/14 3973 0
44890 토스는 대 저그전에서 아비터와 다크아콘을 사용하자! [68] 머드7552 11/07/14 7552 0
44889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 [301] SKY924162 11/07/14 4162 0
44888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2) [147] SKY924056 11/07/14 4056 0
44887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 [233] SKY924023 11/07/14 4023 0
44886 신맵도 스타걸도 사라진, 이상한 이번 스타리그 [66] Alan_Baxter8722 11/07/14 8722 0
44883 다승왕을 정확히 이해하기. [56] 절름발이이리7959 11/07/14 7959 16
44882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6회 - 전개2 - [10] aura4636 11/07/14 4636 0
44881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44] 파라디소5194 11/07/14 5194 0
44880 여자도 손스타를 하고 입스타도 하고 스타를 잘만봅니다. [75] 벡터와통계6430 11/07/14 6430 3
44879 개인리그(우승자)와 프로리그(다승왕) 제대로 한 번 비교해봅시다. [116] 매콤한맛5830 11/07/14 5830 2
44878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역대 스1에서 기억나는 선수들, 아까웠던 선수들.. [41] Gloomy6098 11/07/13 6098 0
44877 개인리그 준우승 VS 프로리그 다승왕. 어느쪽의 위상(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 <II> [487] 파라디소8394 11/07/13 8394 2
44876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3) [231] SKY925055 11/07/13 5055 0
44875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2) [191] SKY925028 11/07/13 5028 0
44874 다크아칸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아닐까? [48] 녹턴9155 11/07/13 9155 0
44873 Daum Tekken Crash Season 8 16강 조편성 [3] SKY926639 11/07/13 6639 0
44872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 [249] SKY925301 11/07/13 53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