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09 15:57:40
Name 마빠이
Subject 삼성에 대한 저의 생각이 잘못 되었습니다.
얼마전 삼성은 웅진을 안만나는것이 좋다고 공공연히 말했습니다.
실제로 객관적인 전력도 그렇고 여러모로 다른분들도 그렇게 말했습니다.
막연히 삼성히 웅진을 피할거라 했지만 김가을 감독님은 웅진하고의
일전을 준비하더군요

개인적으로 그냥호기다 만나도 어쩔수없다 라고 생각했지만
오늘 경기 결과로 저의 예상이 완전히 어긋났습니다... ㅠㅠ

예 어느정도 저의생각도 들어맞았습니다.
바로 삼성의 토스가 웅진의 김민철 김명운 쌍김저그에 무너졌기 때문이죠 -_-;;
하지만 삼성의 신인은 바로 엄청나게 저의 예상범위를 넘어선 활약을 합니다.

김기현선수가 신인왕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을 했지만 솔직하게 이재호를
만나는 엔트리라면 삼성이 불리하고 토스가 저그만나면 필패라고 생각했지만
토스가 저그를 다만났는데 나머지 신인들이 전승을 거뒀습니다 . -_-;;;

이건 저의 예상범위를 넘어서 기도 했지만 아마 다른분들도 설마 라고 생각은 했을겁니다.
지금 삼성은 허영무가 잘나가도 송병구가 실질적 정신적 지주라도 이미 7전4선승제로 들어선
삼성은 신인들이 거의 반은 이끌어 가는 팀이라 생각합니다.

허영무가 지고서도 4:2로 이겼는데 웅진을 상대로 이겼다면 삼성은 이번 풀옵은 물론
다음시즌 까지도 승승장구 할수 있는 팀이 될거같습니다.
이번시즌 삼성보다 다음시즌 김기현등 신인들이 활약하는 삼성 더욱더 기대해 보겠습니다.(우승은 티원이 ㅠㅠ)

ps 서울 세탁소는... 진짜 김구현 김윤환 이렇게 부진이 이어지는 이상 이신형 원맨팀이라고 불려도
아무말도 못할거같습니다.

ps2 이영호선수 병원다닌게 진짠가요? 덜덜..

ps3 엠겜 풀옵은 어디서 봐야하나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논트루마
11/07/09 16:10
수정 아이콘
전통적으로 삼성도 리그보다는 플옵에 강한 쪽에 속하죠. KT야 그 분(?)의 기를 받아 2인자컨셉이었다고는 해도 본래 최상위 프로게임단이구요. 특히나 잘 나갈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STX는 여지없이 무너지는 모습... 웅진은 경험부족인지 결승도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무난한 엔트리를 기용하고 안정적인 게임을 지향했지만 결과는 완전히 무너졌네요. 그나마 이긴 2승도 저플전 땡히드라라는 점을 감안하면;;
모리아스
11/07/09 16:15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는 웅진 저그들이 날 잡고 날빌 지르는 것이 만약 송병구 선수도 졌으면 삼성 숙소 초토화 됬을 듯

p.s 서울 세탁소 였나요? 포항 쪽 아니었나요?
11/07/09 16:31
수정 아이콘
한지원 카드가 잘 먹혀서 에결 없이 승부를 결정 지었지만..
차명환 카드가 먹통인 지금 삼칸은 저그가 강한 팀과 에결 승부를 치루면 여전히 불리하단 생각입니다..
타팀들이 보기에도 삼칸의 종족 발란스는 너무 기우는걸루 보입니다..
제가 체감하는 삼칸은 토스75%,테란20%,저그5%로 봐도 지금의 상황으로 봐선 무리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반대쪽에서 KT가 올라오는게 솔직히 STX를 상대하는것 보다 맘이 편할 정도네요..
11/07/09 16:38
수정 아이콘
삼성은 확실히 포스트시즌에 가서 더 뭔가 다른 힘이 느껴진달까;; 아무튼 그래요;;

STX는 그동안 포스트시즌에서 떨어진게 김은동감독의 발트리때문이라 까였지만 오늘 엔트리는 충분히 괜찮았거든요...

이신형선수로 상대팀의 큰 기둥중 하나인 김대엽선수를 무너트리고 고강민선수 저저전 안좋은데 김윤환선수 붙였고 김도우선수 최근 테테전 기세 좋은데다가 테테전 3연패 황병영선수와 했으니;;

김성현선수는 뭐 이영호선수랑 붙는게 목적이었던것 같고.... 얼터너티브에서 프로토스가 저그전 할만하고 김구현선수가 그맵 성적 좋으니 엔트리는 사실 깔데가 없었는데;;

이 팀은 포스트시즌만 되면 전력활용이 잘 안되네요....
11/07/09 18:47
수정 아이콘
삼성의 오늘 승리는 김기현 선수에게 있었다고 봅니다. 오늘 김기현 선수가 졌다면 에이스 결정전 까지 갔었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에이스 결정전을 갔더라면 웅진이 더 할만 했을것 같습니다. 내일도 엔트리만 잘 활용한다면 삼성이 유리하다고 보여집니다.
새강이
11/07/09 19:37
수정 아이콘
김가을 감독님의 신트리가 작렬했죠 웅진이 3프로토스에 3저그를 붙인거는 엔트리상 괜찮다고 보였는데 삼성 선수들 기량이 좋더군요. 특히 윤용태 선수의 마지막 경기가 너무 아쉬었습니다. 하필 그 위치가 걸리다니요 흑흑
RainBooHwal
11/07/09 20:21
수정 아이콘
웅진vs삼성칸 경기 직관하고 왔습니다.
역시 큰무대에 오니까 김가을감독님의 신트리가 맞아들어가더라구요...
내일은 김민철,김명운 선수에게 박대호,조기석선수도 한번 붙여봤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2년전 플옵때도 CJ와의 대결에서 지금은 은퇴한 한상봉선수에게 역시 은퇴한 박동수선수를 스나이핑해서 두게임이나 잡은적이 있거든요...

그리고 많은분들이 차명환선수를 이야기하셨는데 오늘 경기장에도 안온거 같더라구요...
정말 무슨일이 있는걸까요?
王天君
11/07/09 20:53
수정 아이콘
오늘 플레이오프를 봐도 그렇고, 정규 시즌을 봐도 그렇고, 삼성만큼 이번 시즌에 신인 농사를 잘 지은 팀은 없다고 보입니다.
T1이 각 종족별로 가장 고른 밸런스를 보여주는 팀이라면, 삼성은 신구의 고른 밸런스를 잘 보여주는 팀이라고 볼 수 있겠죠. 저그라인이 약간 후달리긴 하지만, 테란과 토스에서 확실한 1승카드를 4장씩 만들어 낸 건 정말 대단합니다. 에이스인 뱅 허에 의지하는 부분이 굉장히 줄어들어서 이 두 선수가 승을 챙겨주지 못해도 신인들이 승을 챙겨주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프로토스라는 종족 특성 상 에이스였던 뱅 허 두 선수가 아무리 날고 기어도 안정감은 좀 떨어지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 불안한 부분을 신인들이 다 커버를 해주니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는 것 같아요. 팀 내 라인업이 어떻게 선발되는 지는 모르겠지만 에이스였던 선수와 신인들이 꾸준히 기용되는 모습을 보면 팀내 주전 자리를 둔 경쟁에서도 굉장히 긍정적인 효과가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결과론적인 분석도 해볼만 합니다. 최대한 7장의 카드를 꺼내야 하는 프로리그에서 이만큼 다양한 카드를 적재적소에 활용할 주 있는 팀은 정말 흔치 않죠. T1과 CJ 빼고는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오늘 허영무 선수의 패배가 굉장히 아쉽긴 했지만 준비나 플레이 자체의 단점 보다는 경기내에서 발생하는 의외의 변수에 당한 모양새였기 때문에 그렇게 걱정은 안되더군요. 본인도 쿨하게 웃고 나오는데, 팀내 멤버들과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엿보이는 웃음이었습니다.

오늘 웅진 대 삼성은 에이스보다도 신인들끼리의 대결이 훨씬 큰 비중을 가졌던 양상이 아니었나 합니다. 웅진의 신인은 삼성의 에이스를 무너뜨리는 데 실패했고, 삼성은 성공했죠. 한지원 선수의 활약도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사람two
11/07/09 21:25
수정 아이콘
저도 단순하게 생각해서 저그명가 웅진과 토스명가 삼성의 싸움이라면 상성상 당연히 웅진이 유리할수밖에 없다고 생각했죠...그리고 실제 결과로도 김민철 김명운 선수는 이겼구요...근데 문제는 백업의 활약이...이재호 선수가 신인 김기현 선수한테 잡힌게 너무 결정타였고...
제가을공명형님께서 선수육성은 정말 잘했더군요...삼성은 이번시즌보다 다음시즌이 더 기대됩니다.
김기현 선수가 어디까지 성장할지 모르겠지만 잘만 된다면 부활한 허느님 김기현 주축에 페이스가 조금만 살아난다면 송병구 선수까지 가세하고 이 외에도 백업으로 박대호, 임태규 선수가 버티고 있구요...단, 약점이라면 저그라인이 너무 부실하다는것 정도겠네요...차명환 선수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893 스타2 게임단 SlayerS 팀, 스타2 최초로 여성 게이머가 입단. [95] kimbilly10296 11/07/15 10296 0
44892 대 저그전 옵티컬 플레어의 활용에 대하여 [30] 소디10249 11/07/14 10249 0
44891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2) [119] SKY923973 11/07/14 3973 0
44890 토스는 대 저그전에서 아비터와 다크아콘을 사용하자! [68] 머드7551 11/07/14 7551 0
44889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 [301] SKY924162 11/07/14 4162 0
44888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2) [147] SKY924056 11/07/14 4056 0
44887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 [233] SKY924023 11/07/14 4023 0
44886 신맵도 스타걸도 사라진, 이상한 이번 스타리그 [66] Alan_Baxter8722 11/07/14 8722 0
44883 다승왕을 정확히 이해하기. [56] 절름발이이리7956 11/07/14 7956 16
44882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6회 - 전개2 - [10] aura4636 11/07/14 4636 0
44881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44] 파라디소5194 11/07/14 5194 0
44880 여자도 손스타를 하고 입스타도 하고 스타를 잘만봅니다. [75] 벡터와통계6430 11/07/14 6430 3
44879 개인리그(우승자)와 프로리그(다승왕) 제대로 한 번 비교해봅시다. [116] 매콤한맛5827 11/07/14 5827 2
44878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역대 스1에서 기억나는 선수들, 아까웠던 선수들.. [41] Gloomy6096 11/07/13 6096 0
44877 개인리그 준우승 VS 프로리그 다승왕. 어느쪽의 위상(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 <II> [487] 파라디소8392 11/07/13 8392 2
44876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3) [231] SKY925055 11/07/13 5055 0
44875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2) [191] SKY925027 11/07/13 5027 0
44874 다크아칸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아닐까? [48] 녹턴9154 11/07/13 9154 0
44873 Daum Tekken Crash Season 8 16강 조편성 [3] SKY926638 11/07/13 6638 0
44872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 [249] SKY925300 11/07/13 5300 0
44871 2011 PEPSI GSL July. - Code S, 16강 2회차 [128] kimbilly4499 11/07/13 4499 0
44870 프로리그 MVP 투표에서 보는 아마추어틱한 E스포츠판의 문제점 [31] 바닐라웨하스4517 11/07/13 4517 0
44868 [스압주의] 스타리그 개막전 기다리는 동안 스타리그 오프닝 다 모아 봅시다~ [5] Alan_Baxter4797 11/07/13 4797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