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9/03 22:17:42
Name 후아암
Subject 리쌍의 양대리그 결승 일지와 우승 추이, 기록 정리
리쌍 양대리그 결승 일지


<< 에버2007 >>                               << 곰티비3 >>

이제동 우승


<< 박카스2008 >>                            << 곰티비4 >>

이영호 우승                                        이제동 우승


<< 에버2008 >>                              << 아레나 >>

                                                        이제동 준우승


<< 인크루트 >>                               << 클럽데이 >>


<< 바투 >>                                     << 로스트사가 >>

이제동 우승


<< 박카스2009 >>                          << 아발론 >>

이제동 우승


<< 에버2009 >>                             << 네이트 >>

이영호 우승                                       이제동 우승
                                                        이영호 준우승


<< 대한항공 >>                               << 하나대투 >>

이영호 준우승                                    이영호 우승
                                                        이제동 준우승


<< 대한항공2 >>                              << 빅파일 >>

            ?                                           이영호 우승
            ?                                           이제동 준우승




..정리


. 이제동 - 첫우승 이후 9시즌 중 1시즌 제외 전 시즌 결승.
           상동 9시즌간 9회 결승 5회 우승 3회 준우승.

   - 특이사항 및 최근 추이
           바투/로스트사가 시즌부터 5연속 결승.
           3연속 우승 후 준우승 그리고 양대결승. 현재 빅파일 준우승.

     - 대한항공2 우승 시
           스타리그 최초이자 단일리그 최초 4회 우승.
           이윤열 이후 2번째 양대리그 6회 우승.
           최근 5시즌간 4회 우승 2회 준우승.



. 이영호 - 첫우승 이후 8시즌간 7회 결승.
           상동 8시즌에 4회 우승 2회 준우승

   - 특이사항 및 최근 추이
           최근 3시즌간 3연속 양대결승.
           최근 3시즌간 3회 우승 2회 준우승
           빅파일 우승으로 3연속 우승 중.

     - 대한항공2 우승 시
           이윤열 이후 2번째 양대리그 동시 우승.
           이윤열 박성준 이제동에 이어 4번째 골든마우스 획득.
           이윤열 최연성 이제동에 이어 4번째 5회 우승자 등극.
           이윤열 이후 2번째 3시즌간 4회 우승.



- 개인적 소회 -

1.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이제동은 무서울만큼 꾸준하다.
2. 이제동은 대한항공2 우승 시 최근 5시즌간의 기록만으로도 전 본좌의 통산 커리어와 동일해진다.
더 놀라운 사실은 그 결과물들의 절반 이상이 최근 1년간 3연속 양대결승이라는 각성모드의 이영호

와 같은 시즌을 보내고 있으면서 이룩하는 것이라는 점.

3. 역시 각성한 이영호는 엄청나다.
4. 이영호는 대한항공2 우승 시 최근 3시즌만으로도 역시 전 본좌의 통산 커리어와 동일해진다.
더 놀라운 사실은 그 결과물들이 결승무대에서 내려올 줄 모르는 이제동과 같은 시즌을 보내고 있으

면서 이룩하는 것이라는 점.

00. 결론.. 택뱅리쌍 시대가 본좌가 될 만한 네 명이 서로를 물고 뜯으며 치고받았다면
   지금의 리쌍 시대는 6개월 가량의 시간 차를 두고 등장한 본좌 두 명이 동시대를 활보하는 듯한 느낌.




자! 당신은 누구의 기록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가?

상해 결승, 설레이지 않는가?


==================
기록들을 세세히 확인하지 못한 관계로 착오가 있을 수 있으며, 분위기를 위해 반말을 사용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처음느낌
10/09/03 22:23
수정 아이콘
이번결승은 누가우승해도 대기록 나오겠네요
제4대 골든마우스 VS 사상최초 단일대회 4회우승
Han승연
10/09/03 22:23
수정 아이콘
둘다없는게 클럽데이-인쿠르트시절때뿐이라니...

이정도일줄은 몰랐습니다..
Kristiano Honaldo
10/09/03 22:22
수정 아이콘
아레나때 우승했으면 지금 금뱃진데...
10/09/03 22:26
수정 아이콘
터무니 없이 경이로운 데이터네요...

대단합니다..리쌍 우와
개념은?
10/09/03 22:25
수정 아이콘
이렇게까지 이영호가 잘하는데
만약 이번에 이제동이 이영호를 꺾는다면 그래도 아직 이제동인가? 라는 생각이 제 머리속으로 들 텐데..

이게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이렇게 이영호가 잘함에도 그런생각이 제 머리속을 스친다면.. 그만큼 이제동의 꾸준함은 정말 대단하네요.
10/09/03 22:30
수정 아이콘
당대(2010년)에 이영호가 보여준 결승 기록은 경악을 금치 못할 수준,
역대(2007~2010년) 이제동의 결승 기록 역시 언빌리버블.

원조 '기록의 신' 이윤열의 아성에 두 선수 모두 거의 다다랐습니다.
운체풍신
10/09/03 22:36
수정 아이콘
걸린 기록만으로 치면 리쌍이 또다시 결승에서 붙지 않는 한 역대 최고로 많은 기록들이 걸린 결승전이 되겠네요.
msl보다 훨씬 더 기대가 됩니다.
공실이
10/09/03 22:4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둘이 결승에 자주 올줄 이야..

온풍기 사건때 괜히 오바해서 엠겜의 진행에 대해 밤새 욕하고 술먹고
괜히 다음날 숙취에 시달렸군요 ....
10/09/04 01:55
수정 아이콘
설레이다 못해 겁에 질려 두근거립니다 이둘은 슬럼프도 없는지ㅠㅠ
택뱅리쌍이었는데 택뱅은 어디가고 리쌍시대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864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어머들의 전향 문제, 2군 선수들에 대한 처우 개선 문제, 과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160] 물의 정령 운디13532 10/09/05 13532 1
42862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3) [113] SKY926739 10/09/05 6739 0
42859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2) [204] SKY927614 10/09/05 7614 0
42858 왜 프로팀이 존재해야 하냐구요? [141] 담배상품권9326 10/09/05 9326 3
42857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 [294] SKY928560 10/09/05 8560 0
42856 2010년 9월 첫째주 WP 랭킹 (2010.9.5 기준) [7] Davi4ever5610 10/09/05 5610 0
42855 현재 한국에서 열리고있는 게임리그 [23] 파르티아8554 10/09/05 8554 0
42854 Daum Tekken Crash Season 5 4강(+특별전)(2) [503] SKY9214187 10/09/05 14187 0
42853 E-Sports.....? 게임은 그저 게임일 뿐이였나.... [36] 개념은?7019 10/09/05 7019 5
42852 Daum Tekken Crash Season 5 4강(+특별전) [287] SKY929216 10/09/05 9216 0
42851 프로팀이 존재가치가 있는가 [182] 모리아스11669 10/09/05 11669 0
42850 GSL 개막전 소감(스포일러 있습니다.) [5] 빼꼼후다닥5949 10/09/05 5949 0
42849 카운터-스트라이크 9월 1주차 주요소식 epersys4469 10/09/05 4469 0
42846 더러운 언론플레이!! 이러고도 협회인가? [12] 아유8075 10/09/04 8075 2
42844 2010 GSL Pre-season TG삼보-인텔 STARCRAFT II OPEN 64강 개막전 경기(3) [308] 핀드9777 10/09/04 9777 0
42843 2010 GSL Pre-season TG삼보-인텔 STARCRAFT II OPEN 64강 개막전 경기(2) [186] 핀드6921 10/09/04 6921 0
42842 연이은 리쌍록이 흥미가 떨어지는 이유는?? [32] 고양이털때문7397 10/09/04 7397 0
42841 2010 GSL Pre-season TG삼보-인텔 STARCRAFT II OPEN 64강 개막전 경기 [286] 핀드9493 10/09/04 9493 0
42840 이영호 vs 송병구 경기를 통해 본 이영호를 플토로 잡는 방법..? [11] 개념은?6367 10/09/04 6367 0
42838 스타 1 중심의 e스포츠에 변화가 필요하다. [25] 아유4981 10/09/04 4981 0
42836 플토 vs 테란 밸런스 종결자 [50] 녹턴8245 10/09/04 8245 0
42835 스타2 그리고 스타1의 시청률 [72] 파르티아8292 10/09/04 8292 0
42834 대강 지금까지 나온 협회와 그레텍의 입장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14] 담배상품권7571 10/09/04 75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