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6/08 17:22:49
Name 信主SUNNY
File #1 no1.jpg (1021.3 KB), Download : 36
Subject 그림으로 보는 종족의 대표선수


며칠 전에 양대리그 대회별로 종족별 1위선수와 2위선수를 보여드렸는데요.
합산한 점수도요.

아래 주소로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free2&no=41967

위 그림은 글로만 보면 스크롤도 있고, 종족이 같이 나오는데다 양대리그가 섞여나오기 때문에 언제 누가 좋은 성적을 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 같아서요.
그런 것을 좀 더 잘 보기위해 그림파일로 만들었습니다.

가운데가 해당대회 1위고, 그 뒤로 2위입니다.
1위는 2칸으로 썼고, 2위는 한칸으로 썼습니다. 공동순위도 조금 있습니다만, 대강 칸수로 해당선수의 활약을 가늠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종족별로 그림이구요, 상위 5명은 따로 색을 입혔습니다. 색은 순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종족별1,2위에 등장한 시기를 의미합니다.
임요환 - 홍진호 - 박용욱
이윤열 - 조용호 - 박정석
서지훈 - 박성준 - 강 민
최연성 - 마재윤 - 송병구
이영호 - 이제동 - 김택용
이렇게 같은 색입니다.
딱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시간순서이니 대강 활동시기가 비슷할거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信主SUNNY
10/06/08 17:23
수정 아이콘
코맨트로 덧붙입니다. 이글에는 '누구가 꼴보기 싫으니 지워주세요'라는 코맨트를 보지 않았으면 합니다. 결국은 흑역사가 되었지만, 이글은 역사를 보는 글이고, 그리고 역사의 한페이지입니다. 그런식으로 빠지게 되면 역사에 이상한 공백만 남게 됩니다.

오랫동안 만들어 온 역사를 한순간에 없애버릴 뻔했던 것에 대한 분노는 알겠습니다만,
그렇다고 지난 역사에 중간 중간 뻥뚫린 구멍을 만들고 싶지는 않습니다.

보기에 불편하시다면, 그냥 뒤로를 눌러주시길 기원합니다.
제가 올리는 모든 글에는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빠지지도 않을 것이며,
그 선수들이 특별히 흐리거나 금이 가있거나하는 경우도 없을 것입니다.
감전주의
10/06/08 17:34
수정 아이콘
뭐 어쨌든 사실이니까요..
10/06/08 17:37
수정 아이콘
이 자료를 보면 이제동에겐 없지만 임이최M 에겐 있었던 공통점이 보이긴 하네요...한쪽에서 적어도 3회연속 종족1위를 하면서 동시에 양대에서 1위. 그 공통점이 박정석 홍진호 강민한테도 보이고요...우승횟수가 1회, 0회인 박정석/홍진호는 너무 아쉽네요;;

그리고 온게임넷에서는 박성준선수가 참 -_-;; 6회연속도 할뻔했는데 역시 신에겐...

이영호선수는 다른건 몰라도 마지막 두개가 압권..
루크레티아
10/06/08 17:51
수정 아이콘
이 자료에서는 역대 최고의 저그는 역시 홍진호군요.
투신도, 폭군도, 마재윤도 이 자료에서만큼은 홍진호의 아래라고 보입니다.
라이크
10/06/08 17:57
수정 아이콘
이제동, 이영호 역시 시대를 양분하고 있는 모습.. 토스도 슬슬 부활해야할텐데
진리는망내
10/06/08 18:27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 참 아쉽네요. 이거보면..
엠겜에서 -_-;;
좋은풍경
10/06/08 19:44
수정 아이콘
승부조작자라는 이름조차도 안 넣으시는 건 확실히 그렇네요. 하물며 이름 색깔이라도 살짝 바꿔도 될텐데요. 보기 거슬립니다.
평범한 선수들과 구별이 안되게 한건 문제가 있습니다. 저번에는 처음이기도 하고 글이어서 아무 말씀 안드렸는데,
다시 올리신 도표까지 다시 올라와있다는 건 "꼬리표 달기 싫으시다는 본인의 의사"를 분명히 반영하신 듯하네요.
그러면 저같은 반대 의사가 달릴 수 밖에요.

개인이 정리한 자료인만큼 개인의 의도대로 정리되는 거야 정리하신 분의 '권리'죠.
그치만 보기 불편한 걸 보기 불편하다고 말하는 걸 막으실 수는 없습니다.
많이 수고하셔서 정리를 하셔도 피지알 사이트에 올린 이상 말이죠.

저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명예롭게 거론되고 보존되는건 절대 반대입니다.
저도 말씀드리고 싶네요. 제 의견일 뿐이니 信主SUNNY 님께서 그냥 제 댓글 넘기시라고요.
...그치만 그게 잘 안되실 겁니다.

그것과는 별개로, 정리 자체는 매우 수고하셨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승부조작자에 관해 입장이 전혀 다른 것이지 자료 자체는 매우 훌륭합니다.
어쨌건 훌륭한 자료임에도 저런 인간들을 안고가시는 이상,
이 자료에 대해 미리 그렇게 사전 양해를 구하셔도 저같은 태클(?)이 달리는 건 어쩔 수가 없을 겁니다.

기록 삭제도 아니요, 하물며 꼬리표까지 안붙인다면 저 사람들은 E스포츠에 "명예"롭게 남기 때문입니다.
쓰리강냉이
10/06/08 20:38
수정 아이콘
베지밀 마시다가 삼성준 이라는 걸 보고 터졌네요 . 풉
열씨미
10/06/09 01:33
수정 아이콘
지난번에 보았을 때도 그랬지만 역시나 홍진호, 박정석 선수가 돋보이네요.
이 두 선수를 참 오래 응원했었고, 정말 오랫동안 스타판에서 큰 활약을 했었다고 생각했었는데 홍진호선수나 박정석선수나 박성준, 송병구 등등등 차세대 선수들이 치고 올라오고 그들이 점점 판을 지배해가면서 지금에와서는 기억도 가물가물하고 어떤 데이터로 그들의 활약상을 내세우기가 어려웠는데 이 자료로 인해 왜 그들이 최고의 선수들이었는지 명확해 지는 느낌입니다.
信主SUNNY
10/06/09 02:12
수정 아이콘
저그의 상위 5명선수들이 비교적 순서대로 분포되어 있고,
토스는 앞시대의 3명과 뒷시대의 2명으로 딱 갈려 있다면,
테란은 테란시대의 4테란과 지금의 이영호선수로 갈리죠.

이영호선수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고,
테란에서 이영호선수의 시대가 열린 뒤, 대회별 테란 1,2위에 기존 4인이 이름을 올린건 이윤열선수라는 것입니다.

짧게보면 작년까지 활약한 것이고, 길게보면 마지막활약을 한지 1년이나 지난 것인데...
시즌2에서 시즌3의 사이 기간이 더 길었던 것을 생각해본다면, 다시금 이윤열선수의 이름을 볼 수 있을거라 기대합니다.
10/06/09 02:49
수정 아이콘
아... 온게임넷에서 우승없이 3연속 테란 1위...
임이최마율~
10/06/09 13:32
수정 아이콘
토스는 여전히 택뱅이군요..
태연사랑
10/06/11 09:14
수정 아이콘
역시 황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089 Blizzard WarCraft III 2010 Tournament 지역 결선 - 최종 결승전 [54] kimbilly4485 10/06/25 4485 0
42088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4회차 [231] SKY926483 10/06/25 6483 0
42086 이번 MSL 조편성 및 대진 [18] 영웅과몽상가5859 10/06/25 5859 0
42085 스타크래프트2 미디어 데이 - 발표 내용 정리 및 직캠 영상 [2] kimbilly4802 10/06/25 4802 0
42084 워3 토너먼트 관련 이벤트 [29] reality4811 10/06/24 4811 0
42083 <스압> 블리자드 행사 후기입니다. (부제: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만 있더라.) [10] 하나6251 10/06/24 6251 0
42082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조지명식 [113] SKY925500 10/06/24 5500 0
42081 오늘 스타크래프트2 미디어데이가 있었습니다. [2] 하심군4547 10/06/24 4547 0
4208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3회차(3) [179] SKY926491 10/06/23 6491 0
42079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3회차(2) [237] SKY924986 10/06/23 4986 0
42078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3회차 [237] SKY924923 10/06/23 4923 0
42077 이제는 고집의 싸움인것 같네요;; [24] SKY926913 10/06/23 6913 0
42076 오늘의 프로리그-CJvs화승/KTvsEstro [297] SKY926691 10/06/23 6691 0
42075 오늘 스파키즈팀의 패배를 보며 [12] sonmal8362 10/06/22 8362 0
42074 오늘의 프로리그- 하이트VS 공군/웅진VS MBC게임(2) [95] 영웅과몽상가5563 10/06/22 5563 0
42073 이성은선수와 박지호선수가 공군에 지원했네요. [40] Frostbite.7473 10/06/22 7473 0
42072 오늘의 프로리그- 하이트VS 공군/웅진VS MBC게임(1) [290] 영웅과몽상가5295 10/06/22 5295 0
42071 김윤환 선수 부진의 원인은? [14] 영웅과몽상가5884 10/06/22 5884 0
42070 프로리그 남은 일정 정리 [28] 루스터스6935 10/06/21 6935 0
42069 KT팬으로써 바라보는 현재의 삼성칸. [20] SKY925781 10/06/21 5781 0
42068 김택용 선수의 에이스 결정전 승리가 가져온 것들 [32] 영웅과몽상가7543 10/06/21 7543 0
42067 100621 오늘의 프로리그 - STX VS 삼성 // SKT VS 위메이드 (2) [167] 별비4525 10/06/21 4525 0
42066 100621 오늘의 프로리그 - STX VS 삼성 // SKT VS 위메이드 [333] 별비4898 10/06/21 489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