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6/07 21:19:37
Name 땅콩박사
Subject 그래텍과 cj와의 지분관계
얼마전 그래텍이 블리자의 지적재산권 부분에 관한 모든 권한을

블리자드로부터 얻어냈습니다.

향후 모든 블리자드의 게임들은 그래텍과 계약을 맺고 진행을 하는 상황이 온거죠.

여기서 중요한건 협회와 방송사간의 관계와 cj와의 관계입니다.

그래텍은 06년도 cj계열사에서 온라인 교육 강화를 위해

자회사인 엠넷미디어를 통하여 지분의 24.5프로를 유상증자를 통한 출자전환 방식으로 획득한 회사입니다.

지금 온라인 교육쪽은 실패를 하고 Gtv라는 프로그램을 통한 콘텐츠 공급을 주로 영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그래텍의 지분관계를 보면
                    
        CJ-----39.96----------->CJ오쇼핑------55.17-------->온미디어
          |
          | 지분49.1
          |
     엠넷미디어
          |
          |지분 24.5
          |
      그래텍(곽정욱15.7,배인식10.1,이병기10.1)

간단히 글로 설명하면 CJ는 지주회사로서 엠넷미디어와 CJ오쇼핑 지분을 49.1, 39.96 차지하고 있는 대주주이고

엠넷미디어는 06년에 그래텍이란 회사에 24.5프로의 지분을 투자한 1대 주주입니다.

곽정욱, 배인식, 이병기씨는 그래텍의 창업자로 총35프로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경영은 이들3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CJ는 이들과의 제휴를 통해 안정적인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CJ오쇼핑은 한달전 온미디어 지분 55.17프로를 인수하여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혹시나 모르시는분 있을꺼 같아서 글을 적었습니다.

이점 보시고 협회와 그래텍, 온게임넷, cj게임단과의 관계를 연계시켜 보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07 21:36
수정 아이콘
최대주주라면, 이번 블리자드와의 협상을 몰랐다는 것도 말이 안돼죠.
그 정도의 자금을 쏟아붓는 사업이라면, 당연히 최대주주에게 보고가 갔을테니까요.
그게 아니더라도, CJ측에서 심어놓은 임원을 통해서 모든 상황이 알려지고 있었을겁니다.
아무리 경영권을 일임했다 쳐도 말입니다. CJ는 어쩌면 애초부터 상황이 이렇게 될 줄 알았을지도 모릅니다.
게임균형발전
10/06/07 21:37
수정 아이콘
배인식대표와 창업동기인 부사장들 지분역시
cj 우호지분이라고 볼수있죠.
언론에서 별개문제라고 하였지만 사실상 cj와 그레택이 관계가 매우크기때문에
cj계열사인 온게임넷 역시
한쪽이 너무유리하거나 손해보지않는 계약을 할것이라 예상됩니다.

결국 이게시판에서 몇몇분들이 원하시는
온게임넷이 케스파편을 들어 파행운영하는 일같은건 불가능하다고생각되고
결론적으로 케스파의 입지가 더욱줄어들것으로 보입니다.
Alan_Baxter
10/06/07 22:20
수정 아이콘
곰TV 제작센터 오주양 국장이 온게임넷 PD 출신이고(스터디 인 게임이라는 프로그램에서 통통하신 PD로 출연한 기억이 나네요), 스타투게더를 연출하고 있는 오승민 곰TV PD가 스타 뒷담화 PD 출신인 건 확실한데 뭐 이건 스카웃했다고 생각하고 아..아무튼, 제가 알기로 CJ미디어 게임연출진(슈퍼파이터 등)이 곰TV로 자리를 옮긴 건 확실한데 CJ와 곰TV가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양사의 말은 협회관계사인 CJ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 인듯 싶네요.
10/06/07 23:01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 이스포츠판은 협회와블리자드간의 대결로 보이고 있지만 협회 내부 기업들간의 이스포츠 주도권 싸움으로 볼 수 있을듯합니다. 기존의 이판을 주도했던 KT, SK에서 지금 CJ가 온미디어 인수하면서 강력한 라이벌로 나왔죠. 그외에 기존 주도권세력에 불만인 곳도 많고....재밌는건 블리자드-대한항공 파트너가 됨으로서 국내 이스포츠판에 사실상 대한항공이 뛰어 들었다는것이죠. 이대로 가면 아마 국내 이스포츠판은 CJ, 대한항공등 새로운 기업들이 주도권을 잡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10/06/07 23:12
수정 아이콘
복잡하게 할꺼없이 35(배인식과 아이들) VS 24(CJ) 이거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165 더블넥서스와 옵저버. [9] ROKZeaLoT5555 10/07/06 5555 0
42164 다시 찾아온 캐리어 시대. [4] 라구요7109 10/07/06 7109 0
42163 거점형 압박 테란 킬러 장윤철 [27] 체념토스7242 10/07/06 7242 3
4216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9~2010 5Rond 27회차 경기 [232] 아리아6396 10/07/05 6396 0
42161 2010년 7월 첫째주 WP 랭킹 (2010.7.4 기준) [10] Davi4ever5738 10/07/05 5738 0
42160 ESWC 2010 in 파리 카운터-스트라이크 최종 결과, Na`Vi 우승 [5] epersys4349 10/07/05 4349 0
42159 오랜만에 스타 뒷담화를 보았습니다. [29] ROKZeaLoT9529 10/07/05 9529 1
42158 [ESWC2010] 관전포인트는 2008년도 상금 지급 문제. [2] 우리동네안드4210 10/07/05 4210 0
42156 폭풍이 불어옵니다. [5] V.serum5833 10/07/05 5833 0
42154 공군에이스의 경기력이 살아난 것 같아서 매우 기쁩니다. [21] Winter_Spring8115 10/07/04 8115 0
42153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4일차 [4] kimbilly4153 10/07/04 4153 0
42152 포스트 시즌 남은 가능성 초간단 정리 [21] 빵pro점쟁이7739 10/07/04 7739 0
42151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STX/위메이드vs웅진 [270] SKY926755 10/07/04 6755 0
42150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3일차 [9] kimbilly4999 10/07/03 4999 0
42149 빅파일 MSL 32강 F조 [104] 월희5474 10/07/03 5474 0
42147 [불판] 프로리그 불판입니다. 통신사 더비!! [183] 세레나데5879 10/07/03 5879 0
42145 Mind player - Eagle Jung woo(김정우) [14] 국제공무원5894 10/07/03 5894 3
42144 스타뒷담화(게스트:신상호) [84] SKY929196 10/07/02 9196 0
42143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6회차 [297] SKY926449 10/07/02 6449 1
42142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2일차 [7] kimbilly4824 10/07/02 4824 0
42141 프로리그 6강탈락팀 그 이유는? [21] noknow7668 10/07/02 7668 0
42140 스타2의 18세 버젼의 가능성! [9] 힘내라!도망자7734 10/07/02 7734 0
42138 [기사펌] 대한항공 조현민 스타크래프트 마케팅 뜬다 [21] 창이7864 10/07/02 78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